View : 926 Download: 0

중학교 가정교과와 타 교과 교과서의 '식생활 단원' 중복 내용 분석

Title
중학교 가정교과와 타 교과 교과서의 '식생활 단원' 중복 내용 분석
Other Titles
The analysis of common contents of “Food and Nutrition Unit” of middle school textbooks for Home Economics and other subjects
Authors
양수정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채정현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duplicated contents and determine the relation of "Food and Nutrition unit" of the textbooks between Home Economics and other subjects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determine the purposes,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curriculum, textbooks from the first national curriculum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based on the 「Content Elements」of the “Food and Nutrition unit” of Home Economics textbooks Ⅰ․Ⅱ. In addition, to analyze duplicated contents of “Food and Nutrition unit” between 「Home Economics」and other subjects, the textbooks of 「Science Ⅰ․Ⅱ․Ⅲ」, 「Ethics Ⅰ․Ⅱ」, 「Physical education」, and 「Health educat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objectiv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ood and Nutrition unit” of 「Home Economics」 in the middle schools from the 1st national curriculum to 2009 revised curriculum, the analysis conducted showed that the curriculum had been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ocial needs. Second, in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Food and Nutrition unit”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1st national curriculum to 2009 revised curriculum,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contents of the ‘Food and Nutrition unit’ had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objectiv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Third, in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Food and Nutrition unit” of the 11 kinds of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written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t was observed that even though these textbooks were written under the same curriculum, the manner of expression, the configuration, and the focused contents differed depending on the publishers. Fourth, according to the analyses of the common contents with other subjects related to the "Food and Nutrition unit" Ⅰ․Ⅱ in the 「Home Economics」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under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common contents were found in「Science」curriculum and 「Health education」 curriculum, followed by 「Physical education」 and 「Ethics」. It was observed that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provided not only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dietary issues that the youth face but also a plan to address those issues, as 「Home Economics」 textbooks were focused on “dietary problems of youth”, “balanced diet”, “green diet”, and “Korean-style diet”. The 「Science」 curriculum focused on scientific theories and principles, as the 「Physical Education」and the 「Health education」 focused on health. In contrast, it was revealed that the 「Ethics」 curriculum considered “Koreans’ identity” and “environment”. Overally as for the strength of "Food and Nutrition unit" of 「Home Economics」compared to those of other subjects, comprehensive contents for dietary life had been dealt with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ce in 「Home Economics」, while other subjects focused on specific contents or examples concerned with "Food and Nutrition unit". In this regard, it is considered that if dietary education is conducted mainly with 「Home Economics」, the dietary educatio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will be more effectively conducted. The “content standards” which accounted for a lower portion in the 「Home Economics」was “modern diet and dietary problems”. As for “favorite food and health”, “smoking”, “drinking”, “drug prevention and resolution”, “modern diet and disease (cancer,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etc.)”, “dietary supplements”, and “genetically modified food”, these contents are emerging critical issues in modern society.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appropriately reflect these contents on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contents” not presented in other curriculums were “diet”and “table manners”. With regard to such contents as “food culture of Korea and the world”, “types and features of Korean foods”, “dining practices and table manners” and “tradition, fusion food recipes“, their importance has grown bigger and bigger in line with the social trends such as globalization and 'Hallyu'.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those contents in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as this home economics curriculum is the only one where the creative dietary education can be carried out.;본 연구는 제1차 교육과정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식생활 단원’의 성격과 목표, 내용을 살펴보고, 2009 개정 가정교과서 ‘식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타 교과의 교과서와 중복되는 내용을 분석하여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내용을 살펴보기 위하여 제1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가정교과서Ⅰ․Ⅱ의 각 11종, 총 22권을 가정교과서 ‘식생활 단원’의 「내용 요소」를 준거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가정교과서의 ‘식생활 단원’과 타 교과의 교과서 중복 내용 분석을 위하여 과학교과서Ⅰ․Ⅱ․Ⅲ, 도덕교과서Ⅰ․Ⅱ, 체육교과서, 보건교과서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1차 교육과정기부터 2009 개정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의 ‘식생활 단원’의 성격 및 목표는 교육과정이 개정되는 시대의 흐름과 사회적 요구에 맞춰 변화되었다. 또한 제1차 교육과정기부터 2009 개정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의 ‘식생활 단원’ 내용 분석 결과, ‘식생활 단원’의 내용이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에 맞춰 변화되었다. 시기별 교육과정의 내용을 살펴본 결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은 이전 교육과정에 비해 ‘조리원리’, ‘식품의 저장․가공’ 등에 대한 식생활 교육 내용이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학년군의 도입과 시수감소로 인하여 가정교과의 내용이 축소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둘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된 11종 중학교 가정교과서Ⅰ․Ⅱ의 ‘식생활 단원’ 내용 분석 결과, 동일한 교육과정에 의해 집필되었지만 출판사마다 표현된 방식과 구성, 중요하게 다루는 내용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가정교과서Ⅰ․Ⅱ ‘식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타 교과의 교과서와 중복 내용 분석 결과, 가정교과의 ‘식생활 단원’과 중복 내용이 많은 교과는 과학과 보건이었다. 그 다음 체육, 도덕 순이었다. 가정교과는 ‘청소년의 식생활 문제’와 ‘균형 잡힌 식생활’, ‘녹색 식생활’, ‘한국형 식생활’에 초점이 맞춰져 청소년들이 당면한 식생활 문제에 대한 이론적 기초와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까지 제시되어 있다. 과학교과서는 ‘영양소의 역할’, ‘소화․흡수’ 등에 관한 과학적 이론과 원리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체육과 보건교과는 ‘건강’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도덕교과는 식생활 교육과 관련된 부분에서 ‘한국인의 정체성’ 과 ‘환경’을 중요시 하고 있었다. 가정교과는 식생활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청소년기의 특성에 맞추어 다루고 있었지만, 타 교과에서는 특정 영역의 내용만 제시하거나 예시적 성격으로 다루고 있었다. 이에 중학교에서의 식생활 교육은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는 가정교과를 중심으로 각 교과의 개별적 특성을 반영한다면 효과적으로 실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가정교과에서 비중이 낮게 구성된 「내용 기준」은 ‘현대 식생활 문제 및 식이요법’ 부분이었다. ‘기호식품과 건강’, ‘흡연, 음주, 약물의 예방과 해결방법’, ‘현대 식생활과 질병(암, 고혈압, 당뇨병 등)’, ‘건강 보조식품, 유전자 조작 식품의 문제’ 등은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만큼 이러한 내용을 가정과교육과정에 적절히 반영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타 교과에서 비중이 낮은 「내용 기준」은 ‘식생활과 식사예절’ 부분이었다. ‘한국과 세계의 식생활 문화’와 ‘한국 음식의 종류와 특징’, ‘한국과 세계 음식의 식사 방법과 식사 예절’, ‘전통․퓨전음식 만들기’는 세계화, 한류 등의 사회적 흐름에 맞춰 중요성이 커진 부분이고, 가정교과만의 독창성 있는 식생활 교육이 가능한 부분이므로 차기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