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인수-
dc.contributor.author박정희-
dc.creator박정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1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1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7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152-
dc.description.abstract최근 국내에 체류하는 외국인의 증가와 더불어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다문화 학생들이 급증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교실 내에 문화적 다양성이 증가함에 따라 다문화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다문화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 또한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특히 다문화 학생의 대부분이 초등학생임을 고려할 때, 초등교사가 다문화교육역량을 갖추어야 한다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문화교육역량의 구성요인이 무엇인지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상태이며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한 도구가 개발되지 않았다.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교육역량의 요인 구조를 밝히고, 다문화교육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교육역량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라는 두 가지 연구목적에 대하여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다문화교육역량 척도개발을 위해 다문화교육역량의 구성요인과 구성요인별 문항은 무엇인지 살펴보았고, 신뢰도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둘째, 개발된 다문화교육역량 척도의 타당화를 위해 다문화교육역량 척도의 구인타당도, 공인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가 어떠한지 확인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고찰을 통해 다문화역량의 이론적 구성 요인을 설정하고, 다문화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97개의 초기 문항을 추출하였다. 둘째, 델파이 방법을 통하여 21명의 다문화교육 전문가들이 2회에 걸쳐 초기 문항에 대한 내용 타당도 및 문장 이해도를 점검하였고, 그 결과 60개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셋째, 요인분석을 위해 서울, 경기, 인천에 근무하는 다문화교육 경험이 있는 초등교사 1,02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1,025명의 표집을 무선 할당하여 611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414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는 교차타당화 방법을 사용하였다. 넷째, 개발된 척도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다른 기준과 관련한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다문화교육역량 척도와 다문화 효능감(multicultural efficacy), 다문화 감수성(milticultural sensitivity)과의 상관관계를 산출하였다. 또한 다문화 수업 수강 여부, 다문화연수 이수 정도에 따른 다문화역량의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문항내적 일치도인 Cronbach’s α값을 산출하였다. SPSS 20.0과 AMO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총 32문항, 7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7개의 요인은 다문화교육 인식, 편견 인식, 다문화교육 지식, 다문화용어 지식, 다문화교수 기술, 정서지원 기술, 부모상담 기술이다. 둘째,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추출된 7개 요인이 인식, 지식, 기술로 수렴하는 3요인 위계 모형을 설정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형적합도가 기준에 부합하여 다문화교육역량의 인식, 지식, 기술의 3요인 위계모형의 구인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셋째, 다른 변수와의 관계에 의한 근거로서 다문화교육역량과 다문화 효능감과 다문화 감수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 결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증명되어 공인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또한 다문화 강좌 수강 유무 및 다문화 연수 이수 유무에 따른 다문화역량의 차이검증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준거관련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넷째, 신뢰도 분석 결과 하위영역별 신뢰도 및 문항 전체 신뢰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다문화교육역량 척도는 한국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성과 신뢰성이 확보된 도구라고 할 수 있다. 끝으로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역량의 척도 개발의 의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scal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to validate it. The number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background who enter the elementary school has increased greatly in recent years. Cultural diversity in the classroom has been increasing. And a interest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has getting more attention at school. A role of teachers in multicultural education become more and more important. But any valid scale for measure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not been developed yet. Therefore it is needed to identify the constru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and to develop the scale for measurement of it. The procedure and results for the study are as follows. In order to develop the scale, the first step was to review related theories such as culture, competence, multiculture, multicultural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literature review, theoretical construct factors(awareness, knowledge and skill)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was established and ninety seven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the Delphi survey, twenty one experts in multicultural education field examined the items and provided their comments on the items twice. Based upon the expert’s comments, sixty items were finally selected. Second, main survey was conducted for verifying the scale’s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participants were 1,025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taught multicultural student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provinc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principal axis factoring with direct rotation(promax). After deleting the items with high mean and low factor loading, it was determined that the scale was composed of seven components: multicultural education awareness, bias awareness, multicultural education knowledge, multicultural terminology knowledge, multicultural teaching skill, affective support skill, parents cooperation skill. Finally 32 items were determin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scal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o acknowledge that three factors hierarchical model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scale might be fit. Three factors hierarchical model was that seven sub-factors were convergent three main-factors(awareness, knowledge, skill). In result, hierarchical model was valid, showing its model fit, TLI .90, CFI .91, RMSEA .05, and χ2/df 2.23. Concurrent validity was also verified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and two variables;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nd multicultural sensitivity(.74, .40 respectively, p<.01).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also verified. The group which attended the multiculture related training or lectures and the group with the non-experienc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aspects. The scale demonstrated that Cronbach’s alpha = .92 for internal consistency of total items.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seven sub-factor Cronbach’s alpha ranged from .66 to .89, and three main-factor Cronbach’s alpha ranged from .78 to .90. These values were quite adequate according to the standards. In conclusion, this scale demonstrated a satisfactory validity and reliability. It was foun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scale wa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ment for evaluati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development of the scale can provide many implications on a variety of studies regarding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multicultural schoo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7 C. 용어의 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9 A. 다문화와 다문화 사회 9 1. 다문화의 개념 9 2. 한국 다문화 사회의 특수성 13 B. 다문화역량 21 1. 다문화역량의 개념 21 2. 다문화역량 모형 24 3. 다문화역량의 구성요소 28 4. 다문화역량 척도 40 C. 다문화교육 49 1. 다문화교육의 개념 49 2. 다문화 학생 실태 57 3. 다문화교육에서 초등교사의 역할 66 D. 다문화교육역량 70 1. 다문화교육역량의 개념 70 2. 다문화교육역량의 구성요소 73 3. 다문화교육역량 척도 86 Ⅲ. 연구방법 93 A. 연구 대상 93 1. 델파이 조사 대상 93 2. 설문조사 대상 97 B. 척도 개발 과정 100 C. 분석 방법 102 1. 문헌분석 102 2. 델파이 방법 102 3. 요인분석 106 4. 다른 기준과 관련한 타당도 분석 111 5. 신뢰도 분석 116 Ⅳ. 연구결과 117 A. 다문화교육역량 척도의 개발 117 1. 다문화교육역량 척도 초기 추출 문항 117 2. 다문화교육역량 척도 예비문항 확정 121 3. 탐색적 요인분석 126 4. 신뢰도 검증 138 B. 다문화교육역량 척도의 타당화 139 1. 구인타당도(확인적 요인분석) 139 2. 공인타당도 146 3. 준거관련타당도 147 Ⅴ. 결론 149 A. 요약 및 논의 149 B. 연구의 한계 및 제언 161 참고문헌 165 부록 194 ABSTRACT 21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487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e Scal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dc.creator.othernamePark, Jeong Hee-
dc.format.pageviii, 221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