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1 Download: 0

미술활동·창의적 체험활동 연계 교수-학습 모형 개발

Title
미술활동·창의적 체험활동 연계 교수-학습 모형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Teaching Learning Model Combining Art Activities with Activity for Creative Experience : Focusing on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in Specialized High School
Authors
김선영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용
Abstract
Keeping up with the times, the trend of education begins a new phase. As the demand of the right person for society is likely to depend o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curriculum of our country changes with the demand of the right person for society needed for a new era. As a 'future curriculum,' the adoption of program for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of 'Amended Curriculum of 2009', which was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s a new one which integrated existing discretionary activity in extra-curricular activity. That program is a sort of newly established extra-curricular activity in order to make students have various functions of cognitive, emotional and physical capacity and spontaneity through participating in various experience programs beyond existing educational activities focused on knowledge of school subjects so that the education can focus on the creativity and broad humanism education of each student.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prescribed in Article 23 Section 2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in the Amended Curriculum of 2009 (Notification No. 2009-41, 2009 ,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have been implemented voluntarily and gradually based on individual schools, grades and districts since March 1, 2011 and, presently, all schools have fully carried out since 2013.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an be roughly subdivided into four areas: self-regulated activity; club activity; volunteer activity; and career exploration activity. Among those, career exploration activity is an activity exploring and designing career path through self development activity suitable to students' own interest, specialty and aptitude, which includes self understanding, career information search, career plan and career exploration experience. In this paper, I desire to suggest a teaching learning model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matching to each detailed areas of career exploration activity by combining with fine art activities focusing on the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among those four areas. The reason why I select career exploration activity out of those four sub-areas is to accomplish my goals: I am willing to solve various problems I have noticed in the real educational scene; and I want to make students be aware of their career more systematically - one of the most important matter in high school education- so that quality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which are more meaningful in practice, can be carried out.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I have tried to focus on is to develop teaching learning model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ombining with fine art activity which is systematic for one semester, 16 classes, to cope with the detailed areas of career exploration activity. While existing researches have suggested lots of teaching learning programs for career education for art class, they have not been able to suggest teaching learning model for one semester where each area of detailed career exploration activity - self understanding, information search, career plan and career experience can be distributed in a balanced way. In addition, those researches evaluated that activity by only one results of single practice, while I seek to complete a systematic portfolio by putting together all the results of each activity process which has some connection. As a result, students could complete their respective portfolio which is actually necessary for them. Accordingly, focusing on these matters, I tried to recommend those students to have self-directed study for active participation and meaningful career exploration for developing their individual career building through conducting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ombined with fine art activities in the curriculum of high schools.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research goals as described above, my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as follow: First, I examine theoretical background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and career education in high schools through reference books and precedent researches and, based on such examination, I systemize the appropriateness of development of teaching learning model combining fine art activity. In addition, I show the importance of career exploration activity in high schools through the concept and significance of fine art and career education. Second, I analyze domestic and foreign examples of career education. Among those examples, I examined excellent ones having good directions. Based on precedent researches, I explore the directions to which teaching learning model of career exploration activity combined with fine art activity and design such model differentiated from the precedent researches. Third, I newly developed teaching learning model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combined with fine art activity and, as a process applying that model to a real class, I applied that model to 50 senor students majoring in visual design in a woman's specialized high school which is located in Songpa-gu, Seoul from Aug. 16, 2013 to Oct. 16 , 2013. With the output of classes, those students completed their respective portfolio through taking the classe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related to career exploration activity. Fourth, I examine whether my teaching learning model has any educational effect by analyzing the output of students' activity completed in the classes and the level of responses from the students given after taking those classes. Then, I identify some limits and problems of such model for this paper and, finally, I make a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paper is as follow: After completing application of my model, I analyzed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after classes. To the question asking whether my teaching learning model was helpful for their career exploration activity, almost 90 % of all target students made positive answer and the largest number of such students checked to the answer key of 'the class applied by my model was the time when they seriously consider their careers'. To the question asking whether the combined classe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and fine art activity suggested by my model were effective or not, almost 96% of all target students made positive answer. To the question asking whether career exploration classes are necessary or not, almost 92% of all target students made positive answer and the most important reasons for such necessity are information acquisition, interest, accessibility and spontaneity in order. To the question, on which I focused the most, asking whether detailed career exploration classes through segmented career education areas are necessary or not, almost 96% of all target students made positive answer. As a result of these questionnaires, I discovered that my teaching learning model was significantly meaningful to the students. Moreover, it is found that the students were very much interested in self understanding area and career experience area among the detailed areas of career exploration activity. This result shows that the school years of high school students are not only a simple period of studying but also a period of exploring themselves and making a plan for their life. I also discovered that such period is also the one where students themselves desire so much to examine self understanding of :what they are interested the most; what specialties they have; and what aptitude they have. It is also discovered that the things, which are experienced, felt or realized by the students for themselves over the parts which they can hardly experience in the regular curriculum, had a great deal of influence on career building of students, which made them be more exciting and participate in the classes actively. Two examples of present social problems can be high rate of unemployment of young people and aging society. While there may be various reasons for the former problem even though there are overflowing jobs , the most representative reasons are: lack of professionalism; and lack of chance to have career exploration. Thus, I believe that the career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urriculum in high schools for young people who will lead out country in the future. I hope that they will seriously consider, explore and plan their career in order to grow as ones having self-initiation for selecting their own career.;시대의 변화에 발맞추어 교육의 흐름도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급변하는 사회 현상에 따라 원하는 인재상의 요구가 달라지듯이 우리나라의 교육과정도 새로운 시대가 원하는 인재상에 맞추어 변화되어진다.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발표한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창의적 체험활동의 도입은 새로운 ‘미래형 교육과정’으로서 종래의 재량활동과 특별활동을 통합한 새로운 것이다. 이는 기존에 편재되었던 교과 지식 위주의 교육활동에서 벗어나 학생 개개인의 창의성과 폭넓은 인성교육을 강화하는 다양한 체험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자발성과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기능을 골고루 갖추기 위하여 신설한 교과 외 활동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 2009)에서 초․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고시한 창의적 체험활동은 2011년 3월 1일부터 자율적으로 학교 급 및 학년 군별로 단계적으로 시행이 되었으며, 현재 2013년부터는 모든 학교 급에 전면 시행되고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크게 자율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의 네 가지 하위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이 중에서 진로활동은 자신의 흥미, 특기, 적성에 적합한 자기 계발 활동을 통하여 진로를 탐색하고 설계하는 활동으로서 자기이해, 진로 정보 탐색, 진로 계획, 진로 체험활동 등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네 가지 하위 영역 중에서 진로활동에 중심을 맞추었다. 미술활동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연계하여 진로활동의 각 세부 영역에 맞춘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창의적 체험활동의 네 가지 하위영역 중, 진로활동을 선택하게 된 이유에는 본 연구자가 교육 현장에서 바라본 진로활동 수업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개선 해 보기 위함과 동시에 고등학교 교육의 가장 큰 주요사항인 학생들의 진로인식을 보다 체계적으로 확립하여 실질적으로 의미 있는 양질의 진로활동을 실현하기 위함에 목표가 있다. 본 연구자가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자 했던 가장 중요한 부분은 진로활동의 세부영역에 맞춘 16차시 즉, 한 학기 분량의 체계성을 갖는 미술활동과 연계한 창의적 체험활동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이었다. 기존 선행연구들에서는 미술교과에서의 진로활동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들을 많이 제시하고 있었으나, 진로활동의 세부영역인 자기이해, 정보탐색, 진로계획, 진로체험 영역을 균형 있게 분배하여 구성진 한 학기의 교수-학습 모형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단발적인 실기활동으로 하나의 결과물만으로 평가가 되어졌는데, 본 연구자는 연계성 있는 각각의 활동 과정들을 통하여 산출된 결과물들을 종합하여 하나의 체계적인 포트폴리오를 완성시키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실질적으로 필요한 개개인의 포트폴리오를 완성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러한 사항들에 초점을 맞추어서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미술활동과 연계한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이 개개인의 진로개발을 위한 적극적인 참여성과 의미 있는 진로탐색을 위한 자기주도적 학습을 권장시키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졌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위해 문헌과 선행연구들을 통한 고등학교에서의 창의적 체험활동과 진로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것을 토대로 미술활동과 연계한 진로활동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에 대한 당위성을 체계화 하였다. 또한 미술교육과 진로교육의 개념과 의의를 통해 고등학교에서의 진로활동에 대한 중요성을 밝혔다. 둘째, 국내와 국외의 진로활동 교육사례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와 외국의 사례 중, 우수한 방향성을 지닌 진로교육 사례를 조사 하였다.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본 연구자가 제시하고자 하는 미술활동과 연계한 진로활동 교수-학습 모형의 수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해서 모색하며, 기존의 선행연구들과는 차별화된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 하였다. 셋째, 미술활동과 연계한 창의적 체험활동 수업의 교수-학습 모형을 새롭게 개발하고 16차시 수업을 실제 적용하는 과정으로 2013년 8월 16일부터 10월 16일까지 서울시 송파구에 소재한 I여자특성화고등학교 시각디자인전공 3학년 학생 50명을 대상으로 실제 적용하였다. 본 수업의 결과물로 학생들은 진로활동에 관련된 창의적 체험활동 수업을 통한 개개인의 포트폴리오를 완성하였다. 넷째, 수업에서 완성한 학생들의 활동 결과물들과 수업 후 반응도를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자가 제시한 교수-학습 모형이 교육적 효과를 지녔는지에 대한 유의미성을 점검하였다. 본 연구 논문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이 갖고 있는 제한적인 문제점들을 파악한 후, 향후의 개선방안과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자가 제시한 교수-학습 모형의 실제 적용을 마친 후, 학생들에게 수업 후 반응도 설문지를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교수-학습 모형이 진로활동 탐색에 도움이 되었는가를 묻는 질문에 전체 학생 중, 90%가 긍정적인 응답을 보였으며 도움이 된 이유에 대해서는 ‘자신의 진로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여 생각하는 시간이 되었다’의 문항에 가장 많은 응답을 해 주었다. 본 교수-학습 모형이 제시하는 창의적 체험활동과 미술활동이 함께 이루어지는 연계 수업의 효과성에 대해 묻는 질문에는 96%가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진로탐색 수업의 필요성에 대해 묻는 질문에는 92%의 긍정적 응답을 주었으며, 진로탐색 수업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정보획득성, 흥미성, 접근성, 자발성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무엇보다도 연구자가 가장 초점을 맞추었던 세분화된 진로지도 영역을 통한 구체적인 진로활동 수업의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96%가 긍정적인 응답을 하여주었다. 이러한 설문지의 응답 결과를 통해서 확인한 결과, 본 교수-학습 모형이 학생들에게 상당히 유의미한 수업으로서의 결과를 갖게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진로활동의 세부 영역 중 자기이해 영역과 진로체험의 영역에 매우 높은 흥미와 관심을 보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들에게 있어서 학창시절이 단순히 학업을 수행하는 시기만이 아닌 자기 자신 스스로에 대해서 탐색하며 계획을 하는 시기적 특징을 갖고 있다는 점이였다. 스스로를 돌아보고 파악하여 자신이 어떠한 흥미와 특기, 적성에 적합한지 자기이해에 대한 관찰을 학생들 스스로가 많이 원하고 있는 시기라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진로체험을 통해서 기존의 이론 위주의 교과 시간에서는 경험하기 힘든 부분들을 스스로가 체험 해 보며 느끼고, 깨닫게 되는 점들이 학생들의 진로계획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흥미도와 참여도가 높게 나타남을 체감할 수 있었다. 현 사회의 문제점에는 청년실업률과 함께 인간 수명의 고령화를 언급 할 수 있을 것이다. 청년실업률이 해결되지 않는 이유에는 다양한 사항들이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넘쳐나는 직업군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업률이 높아지는 이유에는 바로 서지 못한 직업의식과 함께 스스로의 진로탐색에 대한 고민이 미흡했던 점들도 이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를 이끌어 갈 청소년들에게 고등학교 교육에서의 진로교육은 그 무엇보다 중요한 교육과정이라고 생각하는 바이다. 더 이상 누군가에 의해서 선택되어지는 진로가 아닌 학생들 스스로가 고민하며 탐색하고 계획하여 의미 있는 자신의 진로를 주체적으로 선택하는 자기주도성을 지닌 청소년들로 성장 해 나아가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