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성원-
dc.contributor.author이정연-
dc.creator이정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0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7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6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797-
dc.description.abstractInquiry skill is one of the critical subject in the field of science education. Improving scientific inquiries is known to be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achieving sciential attainments. This study is to be in part of developing inquiry processes which could improve students' inquiry skills and creativity while in classes with inquiry activities. Here is to show how inquiry processes are presented in each science and art classes. Researching literatures, analysing reference books, and studying teach lessons took more than 6 months in total. Great amount of effort was put in obtaining resources to understand terms, teach lessons, and how inquiries are done in art education. After perceiving theoretical background, developing questions and pilot interviews were carried on. Searching teachers for the interview, miniature surveys via e-mail, 30-minute to 2-hour genuine interviews, and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Data were collected in interviews with revised questionnaires. Results are deducted by analysing through analysing framework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noted between the science and art classes through this study. Understanding about inquiry, motivating students with their relevant experiences in the beginning, and emphasizing on observation and recognition of the problem were resemblances. Use of tools during development stage, and difficulties from deficiencies of interests of students were additional similarities. In close-up stage, evaluating by results and conclusions drawn through inquiry process or evaluating by degree of participation has also been noted as a common feature. Resources used in motivation, resources used in recognizing the problem, and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lesson in searching for measures to reach the conclusion are the differences. In development stage, whether inquiry processes is announced or initiated by the students, and interaction were distinct features. In close-up stage, characters of evaluating feedback diversity of the conclusion and evaluation factors showed disparity. By going through the results, conclusion of applying these points in the art lesson can make science class more meaningful and improve students' inquiry skills. Inquiry lessons in regular course of education were limited to guided inquiry processes not corresponding to ideal initiative type. To set into initial science inquiry purposes, ideas of art education, interactions in conception process, and study of methods to attain creative results are expected to be in great effect if applied. Furthermore, can aid to integrating and merging science and art classes.;과학교육에서 탐구는 중요한 주제중의 하나로써 과학적 소양을 갖추도록 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대두되고 있다. 학생의 과학 탐구의 기회를 확대하고 창의성을 향상시키며 탐구의 즐거움을 체험하도록 하기 위하여 탐구수업을 보다 의미 있게 구성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과학과 미술을 연계하여 교육하면 과학적 개념들을 통해 학생들이 창의적인 미술활동을 할 수 있고 미술활동과 과학교육 내용이 통합적 방법으로 지도될 때 과학교육이 더욱 즐겁고 흥미로우며 과학 지식의 습득과 개념 습득에 보다 유익하게 접근된다고 하였다. 과학과 미술을 비슷한 점과 다른 점을 ‘탐구’라는 개념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두 교과를 통합하거나 연관 지어 수업을 구성할 때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과학교사가 탐구수업이나 개념수업 중 탐구가 포함된 활동을 수업을 할 때 학습자의 탐구력이나 창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탐구과정을 구성하는데 기반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중등 과학교사와 미술 교사의 수업을 대상으로 하여 각 교과의 수업에서 나타나는 탐구과정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과학수업과 미술수업에서는 탐구과정의 비슷한 점과 다른 점이 나타났다. 학생들의 경험과 관계되는 동기 유발 자료를 제시하는 점, 전개과정에서 도구를 사용하여 조작 활동을 한다는 점이 유사했다.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으로는 학생들의 흥미 부재로 인한 요인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정리단계에서는 탐구과정에서 도출된 결과물이나 결론 또는 참여도로 평가하는 공통적인 특성이 나타난다. 차이점을 살펴보면 먼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 하는 수업과정에서 차이가 있었다. 과학수업에서는 이 단계에 해당하는 가설설정이 생략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 이유는 이론이나 법칙을 검증하는 확인실험의 경우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과정을 그대로 따라 수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가설설정이라는 고차원적인 탐구과정이 생략됨으로써 실험과정에서 학생들이 궁리하고 사고할 수 있는 기회가 적어질 수 있다. 도입단계에서 가설설정이 어렵더라도 학생들의 사고기회를 확보하기 위하여 결과에 대해 ‘예상’해보는 수준의 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미술수업에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단계는 발상, 구상단계로 대응시킬 수 있다. 이 과정은 작품에 대한 계획을 세우는 단계로 아이디어를 떠올리고 스케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발상과 구상은 어떤 표현수업의 유형이든 필요한 과정으로써 학생들의 사고, 생각이 중시된다. 상호작용의 형태에서도 두 교과는 차이를 보였으며 과학수업에서는 교사-집단, 학생-학생과 상호작용 형태가 많았고, 미술수업에서는 교사가 개인과 상호작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과학수업은 모둠을 이루어 협동학습을 하는 경우가 많고, 미술수업은 작품 제작에 있어 개별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정리단계에서 결과가 도출될 때 과학수업은 탐구목표에 맞는 결론이 도출되도록 하는 것에 수업의 목표가 있으며, 미술수업은 내용 측면에서 수업의 목표가 있기 보다는 표현기법을 사용하여 주제를 표현해 내는 구상력, 표현력에 초점이 있으므로 과정과 결과의 다양성을 인정하였다. 학생들이 창의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는 미술수업에서 좀 더 많이 나타나는 것처럼 보인다. 그 밖에, 피드백 형태와 평가요소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교과를 통합하여 수업을 구성할 때 통합의 매개 역할을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각각의 단일 교과를 수업함에 있어서도 상호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교사들의 실태조사 결과 정규과정 속의 탐구수업은 구조화된 탐구과정에 국한되는 경우가 많았다. 미술수업에서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창의적이고 발산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는 방안을 모색하여 활용하는 것이 의미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발상과 구상과정에서 교사가 학생과 일대일 상호작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과학 수업에서도 개별 지도나 교사와 학생 일대일 상호작용이 나타나나, 주로 그룹에 대한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개별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학생들의 사고과정을 직접적으로 돕고 오개념을 수정하면서, 학생의 사고과정을 촉진하는 발문을 도입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또, 미술에서의 탐구과정을 활용하면 창의적인 산출이 이루어지도록 학생들에게 자율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제시하되 탐구과정은 학생이 스스로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방안 탐색도 필요하다. 미술수업에서 과학적 탐구방법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한 바와 같이, 과학에서도 탐구수업을 더욱 의미 있게 구성하고 학생들에게 탐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함에 있어 미술수업에서 나타나는 유익한 요소들을 과학에서의 탐구수업에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나아가 과학과 미술의 통합・융합수업을 계획함에 있어서도 효과적인 학습이 일어 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3 C. 용어 정의 4 D.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A. 과학에서 정의하는 탐구 5 1. 과학적 탐구의 정의 5 2. 탐구과정 7 B. 미술에서 정의하는 탐구의 11 1. 교육과정 11 2. 탐구 미술수업 15 3. 발상과 구상 19 Ⅲ. 연구 방법 22 A. 연구 대상 22 B. 연구 절차 24 1. 연구 수행 절차 개요 24 2. 자료수집과 자료 분석 25 가. 미술수업과 교과서 분석 25 나. 과학교사와 미술교사 인터뷰 프로토콜 29 Ⅳ. 연구 결과 32 A. 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탐구과정 32 1. 탐구에 대한 인식 32 2. 탐구수업 계획 33 3. 탐구수업 도입 35 가. 문제인식 단계 35 나. 가설설정 단계 38 4. 탐구수업 전개 41 가. 변인통제 단계 41 나. 탐구수업에서 모둠의 역할 44 다. 수준 차 조절 45 5. 탐구수업 정리 47 가. 자료해석과 결론도출 단계 47 나. 탐구수업의 평가 50 다. 탐구수업 중 어려운 점 51 B. 미술수업에서 나타나는 탐구과정 54 1. 탐구에 대한 인식 54 가. 탐구에 대한 정의 54 나. 사고과정이 중요한 이유 55 다. 미술수업에서 적용되고 있는 기초탐구 요소 55 라. 미술수업에서 적용되고 있는 통합탐구 요소 56 2. 표현수업 도입 59 가. 준비 과정 60 나. 발상 과정 62 다. 구상 과정 64 4. 탐구수업의 전개와 정리 67 가. 수준 차 조절 68 나. 표현수업에서 모둠의 역할 69 다. 탐구수업 중 어려운 점 70 라. 표현수업 평가 70 C. 과학수업과 미술수업에서 나타나는 탐구과정의 비슷한 점과 다른 점 72 1. 과학수업과 미술수업에서 나타나는 탐구과정의 비슷한 점 72 2. 과학수업과 미술수업에서 나타나는 탐구과정의 다른 점 76 Ⅶ. 결론 및 제언 79 A. 결론 79 B. 제언 83 참고문헌 84 ABSTRACT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415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500-
dc.title교사 인터뷰를 통한 과학수업과 미술수업에서 나타나는 탐구과정 실태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탐구수업과 표현수업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Comparative Study on Inquiry Processes in Science and Arts Class-
dc.creator.othernameLee, Jeong-Yeon-
dc.format.pageviii,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