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현주-
dc.contributor.author강혜숙-
dc.creator강혜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1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47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4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473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청소년의 문제행동 특성을 우울성향 및 충동성향으로 분류하고 각 성향별 그룹 즉흥연주에서의 연주 패턴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사정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Y중학교에 재학 중이며 정서 행동문제를 보이는 청소년 40명이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대상은 전교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AMPQ-Ⅱ와 K-BDI 검사 결과 우울감과 자살척도가 높고 부적 행동 문제가 있는 학생 중 전문 상담사의 추천을 받아 선정되었으며 충동성 검사인 Barratt-11과 우울척도 검사인 K-BDI 결과를 바탕으로 충동성향과 우울성향으로 나누었다. 문제 행동 특성별로 남녀 각 두 그룹씩 총 4그룹으로 구성되었으며 타악기 즉흥연주 프로그램을 45분간 총 2회 실시하였다. 관찰 분석을 위해 연주 중 10분을 타임샘플링 하여 그룹 내 리듬 연주 패턴과 리듬분할 형태를 분석하였고 대상의 악기 선택, 즉흥연주 시 연주 강도 및 템포 측정, 그룹별 연주 지속시간에 관한 데이터 수집이 이루어졌다. 연구의 신뢰도를 위해 모든 과정은 비디오로 녹화 되었으며 연구자 외 음악치료 인턴십 과정의 관찰자 1인이 현장 관찰 및 비디오 분석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즉흥연주 리듬형에 관하여 배경적 리듬, 전경적 리듬, 전경적 배경리듬형의 3가지 카테고리로 나누어 그룹별 연주 리듬형을 수치화 하였을 때 두 그룹 간 리듬형 분포 차를 분석하면 우울성향 그룹의 69%가 배경적 리듬형을, 충동성향 그룹의 52.6%가 전경적 배경리듬형을 리듬 모티브로 사용함으로써 문제행동 특성 집단 간 즉흥연주 리듬형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11.450, p=0.003). 둘째, 악기 선택의 경우 악기 소재별 선택과(=0.68, p=0.88) 연주 방법별 분류에 의한 선택 시(=0.18, p=0.67) 각각의 문제 행동 특성과 악기 선택에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두 집단 모두 40% 이상이 가죽 재질의 악기를 선택하였고 우울성향의 경우 메탈 소재의 악기 선택 비율이 충동성향 그룹에 비하여 다소 높게 분석되었다. 셋째, 즉흥연주 강도와 관련하여 두 그룹간 평균 0.3dB의 차이를 보여(t=-0.51, p=0.61) 문제 행동 특성과 즉흥연주 강도에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며 넷째, 템포의 경우 두 그룹 간 9.3%의 차이를 보여(t=28.99, p=0.00) 충동성향 그룹의 연주 템포가 다소 빠른 것으로 분석됨으로서 문제 행동 특성과 즉흥연주 템포에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즉흥연주 활동 중 연구자의 중재가 포함되지 않은 상황에서 갑작스러운 연주의 끊김이 자주 발생하였고 이러한 연주 패턴에 관한 두 그룹 간 비교를 위하여 그룹 별 즉흥연주 지속시간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충동성향의 경우 평균 연주시간이 4분 08초인 것에 반해 우울성향의 경우 평균 연주시간이 8분 28초로 t=-2.29, p=0.04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충동성향 집단의 경우 우울성향 집단보다 평균 연주 지속시간이 짧음을 의미한다(p<0.05).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치료사가 음악치료 환경 내 즉흥연주에서의 대상별 리듬표현의 특징을 알고, 리듬 관련 요소들이 치료적으로 유의미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치료적 즉흥연주에서의 소리 형태를 통한 다양한 자기표현은 언어적 자기표현에 소극적인 청소년들에게 소리를 통하여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며, 이러한 청소년의 자기표현에 대하여 치료사가 음악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함으로써 음악적 동질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음악치료의 효과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classify juveniles problem behaviors into depression tendencies an impulsive tendencies and to investigate performance patterns in a group improvision. To this end,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as 40 juveniles attending in Y middle school in Seoul and showing problems of emotional behaviors. The subjects were, as a result of AMPQ-Ⅱand K-BDI test conducted targeting all students, chosen getting recommendation from professional counselors among students with high depression and suicide scale and negatively behavioral problems, based on Barratt-11 of impulsive test and K-BDI of depression scale test, impulsive tendencies and depression tendencies were divided. The subjects consisted of a total of four groups with two female groups and two male groups by problem behaviors' characteristics, percussion improvisation program was performed a total of twice for 45 minutes. For observation analysis, rhythm performance patterns and rhythm split forms in a group were analyzed by sampling 10 minutes in playing, the collection of the data for the subjects' instruments selection, performance intensity and tempo measure in improvisation, performance duration by groups was made. For the reliability of the study, all processes were videotaped, one observer in music therapy internship process except for researchers involved in field observation and video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spect to improvisation rhythm types, when charting performance rhythm types by groups by dividing to three categories such as background rhythm, foreground rhythm and foreground and background rhythm, in analyzing rhythm-typed distribution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s 69% of the group with depression tendencies and 52.6% of the group with impulsive tendencies used background rhythm type and foreground rhythm type as a rhythm motif,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rovisation performance rhythm type between the groups with problem behaviors' characteristics(=11.450, p=0.003). Second, in the case of selecting instruments, in selecting instrument materials(=0.68, p=0.88) and classifying performance methods(=0.18, p=0.67),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each problem behavior's characteristics and instruments choice. However, more than 40% of the two groups selected instruments made of leather, in the case of the group of depression tendencies, the ratio of selecting instruments made of metal materials was slightly higher than a group of impulsive tendencies. Third, regarding the intensity of improvisation, 0.3dB in average between the two groups was shown(t=-0.51, p=0.61) 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bout problem behaviors' characteristics and the intensity of improvisation, fourth, in the case of the tempo, 9.3% between the two groups was shown(t=28.99, p=0.00), as performance tempo of the group of impulsive tendencies was analyzed to be fast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bout problem behaviors' characteristics and the intensity of improvisation. At last, sudden interruption's disconnection occurred frequently in situations without researchers' intervention during improvisation, for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for performance patterns, improvisation duration by groups was analyzed. As a result, while the average performance time in impulsive tendencies was 4 minutes and 08 seconds, that of depression tendencies was 8 minutes and 28 seconds(t=-2.29, p=0.04) so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case of the group of impulsive tendencies, the average performance duration was shorter than the group of depression tendencies(p<0.05). Based on the results, there i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n that therapists know features of target-specific expression of the rhythm in improvisation in music therapy environment, and help people so rhythm-related factors may be used significantly in therapy. Through sound forms in therapeutic improvisation, a variety of self-expression give juveniles who are passive in verbal self-expression a place of communication through sound, in regard to these juveniles's self-expression, it's expected that therapists will help increase the effect of music therapy by making them respond to music sensitively and form musical chemistr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연구의 범위 6 Ⅱ. 이론적 배경 7 A. 정서 행동 문제 7 1. 청소년기의 정서 7 2. 청소년기의 정서 행동 문제 8 가. 외현화 문제 8 나. 내재화 문제 9 B. 정서 행동 문제를 위한 음악치료 10 1. 그룹 음악활동 11 2. 타악기 연주 12 C. 리듬 14 1. 리듬 요소군의 심리적 의미 14 2. 리듬의 치료적 특성 17 D. 타악기 그룹 즉흥 연주 18 1. 악기의 심리적 의미 18 2. 타악기 즉흥 연주 19 Ⅲ. 연구방법 21 A. 연구 대상 21 1. 충동성 척도 검사 22 2. 우울 척도 검사 23 B. 연구 절차 25 1. 타악기 즉흥 연주 25 가. 즉흥 연주 단계 26 1) 주제와 관련된 이야기 나누기 26 2) 제시된 악기 및 선택을 위한 질문 27 나. 리듬형 분석 28 다. 연주 강도 측정 28 라. 연주 템포 측정 28 마. 연주 지속시간 측정 28 C. 측정 도구 29 1. 정서 행동 특성 검사 29 가. 충동성 검사 29 나. 우울척도 검사 30 D. 자료 분석 31 Ⅳ. 결과 및 논의 32 A. 연구 결과 32 1. 타악기 리듬 즉흥연주 결과 32 가. 리듬형 분석 32 나. 악기 선택 34 다. 연주 강도 분석 37 라. 연주 템포 분석 38 마. 연주 지속시간 분석 40 B. 논의 42 Ⅴ. 결론 및 제언 45 A. 결론 45 B. 제언 48 참고문헌 50 부록 57 ABSTRACT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568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15.85154-
dc.title청소년의 문제행동특성에 따른 타악기 즉흥연주에서의 연주패턴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arison of performance patterns in percussion improvis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juveniles problem behaviors-
dc.creator.othernameKang, Hye-Sook-
dc.format.pagex, 6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