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1 Download: 0

음악의 템포와 친숙도가 스트룹(Stroop)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Title
음악의 템포와 친숙도가 스트룹(Stroop)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the tempo and the familiarity of music on Stroop task performance : focusing on children in the upper grades of an elementary school
Authors
김미령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본 연구는 음악의 템포와 친숙도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트룹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실험 대상자가 아닌 서울시 W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104명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캐논’을 친숙한 음악으로 선정하였고, 비친숙한 음악을 만들기 위해 캐논과 선율이 다른 새로운 음악을 작곡하였다. 그 뒤 ‘캐논’과 새로 작곡한 곡을 각각 템포가 60bpm, 120bpm인 음악으로 제작하여 빠른-친숙 음악, 빠른-비친숙 음악, 느린-친숙 음악, 느린-비친숙 음악을 실험에 사용할 음악으로 선정하였다. 본 실험으로 서울시 W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100명을 각 음악 청취 집단과 음악 미청취 집단에 무선배치하여, 각 조건하에서 지속적 주의력이 요구되는 스트룹 단어 과제와 색상 과제, 선택적 주의력이 요구되는 스트룹 색상-단어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고 각 집단의 점수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템포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지속적 주의력이 요구되는 단어 과제에서 빠른 음악 청취 집단의 점수가 느린 음악 청취 집단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선택적 주의력이 요구되는 색상-단어 과제에서 빠른 음악 청취 집단과 느린 음악 청취 집단 간의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음악 친숙도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지속적 주의력이 요구되는 색상 과제에서 친숙한 음악 청취 집단의 점수가 비친숙한 음악 청취 집단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선택적 주의력이 요구되는 색상-단어 과제에서 친숙한 음악 청취 집단과 비친숙한 음악 청취 집단 간의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각 음악 청취 집단과 음악 미청취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지속적 주의력이 요구되는 단어 과제와 색상 과제에서 빠르고 친숙한 음악을 들은 집단의 점수가 음악 미청취 집단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선택적 주의력이 요구되는 색상-단어 과제에서 빠르고 비친숙한 음악을 들은 집단의 점수가 음악 미청취 집단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음악의 템포와 친숙도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트룹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인지 과제 수행시 감상하기에 적절한 음악 특성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고, 인지 분야에서의 음악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This study has a purpose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tempo and the familiarity of music on Stroop task performance of the upper-grade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To achieve this, we chose 104 students in 5th and 6th grades of W Elementary School in Seoul not as the test subjects of the study but to do a pre-test survey. Through this survey, we chose 'Canon' as a familiar music. To make a unfamiliar music, we composed a new music with different melody from 'Canon'. Then we made two variations of 'Canon' and the newly composed music with two different tempos: one with 60bpm and the other with 120bpm. Different combinations of these music such as fast-familiar music, fast-unfamiliar music, slow-familiar music, and slow-unfamiliar music were used for the comparison test. For the study, 100 students in 5th and 6th grades of W Elementary School in Seoul were randomly assigned to each music-listening group and not listening to music group. Then under the specific conditions, students had to carry out the Stroop word task and color task requiring sustained attention and do the Stroop color-word task requiring selective attention. We analyzed the score of each group and have deriv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or the influence of tempo on the attention, the score of fast music-listening group on the word task requiring sustained atten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low music-listening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score of the color-word task requiring selective attention between fast music-listening and slow music-listening groups. When we looked a the result on the influence of the familiarity of music, we discovered that the score of familiar music-listening group on the color task requiring sustained atten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unfamiliar music-listening group. The scores of the color-word task requiring selective attention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amiliar music-listening and unfamiliar music-listening groups. When we looked at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groups of music-listening and not listening to music group, the score of fast-familiar music-listening group on the word task and color task requiring sustained atten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t listening to music group. With the color-word task requiring selective attention, the score of fast-unfamiliar music-listening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t-listening to music group.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o provide a reference of the suitable music characteristic to listen during the cognitive task performance and to check the application potential of music in the field of cognitive psychology by examining the effect of the tempo and the familiarity of the music on the Stroop task performance of the upper-grade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