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박민정-
dc.creator박민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4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36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3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3608-
dc.description.abstractThe theory of inclusive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from physical inclusive education only focused on the level of personal damages to offering educational support to each student. Meanwhile maladjustment at school has been arisen out of the low participation in class caused by difficulties of teaching each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negative attitude of disabilities acceptance. Therefore progressive educational support is needed to each student include the disabled. Much of the literature on UDL has focused on basic descriptions and principles of UDL, bu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impact of UDL planni g and instrcutional methods that tailor materials and assessments to meet the demands of al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clusive physical class applied UDL(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on the class participation and the disabilities attitude.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60 freshmen of A middle school located in Bucheon.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sisted of 30 students(3 disabled included) and the control group was consisted of same numbers. 18 sessions were carried out with inclusive physical class applied UDL.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descriptive statics was performed on disabled while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on non-disabled.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disabilities acceptance attitude and class participation of non-disabled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econd, disabled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higher score in the inclusive physical class applied UDL than the control group. Thir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class participation of non-disavbled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inclusive physical class applied UDL may effective method of enhancing class participation and disabilities acceptance attitud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high quality education collaborated between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for both non-disabled and disabled students in a way to present how to implement inclusive physical class applied UDL in a secondary educational environment.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UDL is effective for diverse learners by examining the sociality and affective aspect.;통합교육의 개념은 학교의 학생들이 보이는 다양성을 인정하고 각자에 맞는 교육적 지원을 제공하는 데까지 진전하였다. 하지만 오늘날 통합교육 현장에서는 비장애학생이 장애학생의 다름을 이해하지 못하고, 장애학생을 대하는 태도가 여전히 부정적인 경우가 많다. 또한 학습자가 지닌 특성들을 고려한 수업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인해 학생들의 수업참여도가 낮은 편이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다양한 학습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며 모든 학생을 위한 수업설계를 실시하는 보편적 학습설계가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보편적 학습설계와 관련된 연구들은 개념과 원리의 도입 및 실행 전략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통합체육 교과에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더욱이 최근 학교폭력 예방 및 근절을 위한 인성교육의 일환으로 실시된 ‘학교스포츠클럽’ 으로 인해 매주 통합체육을 실시해야 하는 시간은 증가되었지만, 통합체육에 대한 구체적인 교수법 및 실행방법에 대한 연구도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중학교 통합체육수업을 실시하였을 때,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와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학생 참여자는 경기도 부천 지역 소재 중학교 1학년 중 스포츠클럽시간에 표현활동 종목을 선택한 60명의 학생들이다. 집단 구성은 실험집단 한 학급에 30명, 통제집단 한 학급에 30명으로 총 60명의 학생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학급은 비장애학생 27명과 장애학생 3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재는 실험집단의 스포츠클럽 강사에 의해 진행되고, 스포츠클럽 담당 교사는 학생들의 관리 및 평가를 담당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주 2회, 45분씩, 총 18회기 동안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중학교 통합체육수업을 실시하였다.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중학교 통합체육수업은 교수법협의회와 PAL의 4단계과정을 거쳐 작성한 수업지도안 고안 및 검토 협의회를 거쳐 구성되었다.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중학교 통합체육수업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간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와 수업참여도를 사전ㆍ사후 검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 태도검사(이현수, 2004), 장애학생의 수업참여도검사(조예진, 2007), 비장애학생의 수업참여도검사(김유니, 2012)를 사용하였다. 장애학생의 경우 수업참여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어떠한 차이가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검사 점수에 대한 기술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비장애학생의 경우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와 수업참여도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중학교 통합체육수업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비장애학생들이 통제집단의 비장애학생들에 비하여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중학교 통합체육수업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장애학생은 통제집단의 장애학생에 비해 수업참여도 검사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더 높은 점수를 얻었다. 셋째,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중학교 통합체육수업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비장애학생들이 통제집단의 비장애학생들에 비하여 수업참여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중학교 통합체육수업이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 및 수업참여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중등 교육 현장에서 보편적 학습설계를 중학교 통합체육수업에 적용하는 구체적 실행방법을 제시하여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 모두를 대상으로 여러 교사가 공동의 협력적 노력을 통하여 질 높은 교육을 시도 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보편적 학습설계의 효과에 대하여 사회성과 정서적 측면에서의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보편적 학습설계가 다양한 능력을 가진 학생들에게 유효한 것임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 문제 3 C.용어 정의 4 Ⅱ.이론적 배경 6 A.보편적 학습설계 6 1.보편적 학습설계 개념 6 2.보편적 학습설계 원리 및 수업계획과정 7 3.보편적 학습설계와 관련된 선행연구 고찰 11 B.중학교 통합체육수업 13 1.통합체육수업의 필요성 및 동향 13 2.통합체육수업의 실제 16 Ⅲ.연구방법 19 A.연구참여자 19 1.연구참여 장애학생 20 2.연구참여 비장애학생 21 3.연구참여 교사 21 B.실험기간 및 장소 22 1.실험기간 22 2.실험장소 23 C.독립변인: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통합체육수업 24 1.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통합체육수업 개발 절차 24 2.교수법 선정 및 활동구성 26 3.학습지도안 고안 및 검토 29 D.종속변인 및 측정도구 31 1.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 태도 31 2.수업참여도 32 E.실험 설계 및 절차 33 1.실험설계 33 2.실험절차 33 F.자료처리 35 G.중재충실도 36 H.사회적 타당도 36 Ⅳ.연구결과 39 A.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중학교 통합체육수업 실시 유무에 따른 비장애학생들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39 B.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중학교 통합체육수업 실시 유무에 따른 수업참여도 42 1.장애학생의 수업참여도 변화 41 2.비장애학생의 수업참여도 변화 43 Ⅴ.논의 및 제언 45 A.논의 45 1.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중학교 통합체육수업이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논의 45 2.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중학교 통합체육수업이 학생들의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논의 47 B.제언 49 참고문헌 51 부록 59 ABSTRACT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2860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중학교 통합체육수업이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와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inclusive physical Class Applied Universal Design for disabilities attitudes and class participation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a General Middle School-
dc.creator.othernamePark, Min Jung-
dc.format.pagex,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1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