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유경-
dc.contributor.author윤수경-
dc.creator윤수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2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73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1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7330-
dc.description.abstractHigher education is widespread in South Korea, and most students spend their life in universities before they join the society.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clearly understand relative advantages of receiving higher education, although it is expensive, compared to students who do not continue their study to higher education. It is also valuable to identify what students learn through higher education, and how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achieved through higher education affect their post-college life.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1) identifying activities for which students attending 4-year institutions or 2-year technical colleges spend their time, (2) identifying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students participate in higher education, and (3) analyzing how such activities affect students’ learning and career outcome. The main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mpirically analyze causal relationships of receiving higher education on students’ career achievement. This research also presents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where students are involved during higher education, and presents analysis results on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activities. To achieve these goals, I define the achievement through higher education as a tuple of students’ academic outcome and post-college employment outcome, and analyze various factors influencing the outcomes. In specific, this study addresses four research questions: (1) How students’ education level affects their career outcome?, (2) What factors affect students’ involvement in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3) What factors affect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4) What factors affect students’ career outcome? In this study, career outcomes within two years after graduation are considered, and the outcome includes employment status, employment type, relevance to major, suitability to education level and skill level, salary, and job satisfaction level. Academic outcome includes grades and satisfaction level on institutions and majors. Factors affecting the outcome of higher education are classified into students’ personal background and college experience, which is further classified into college environment where students attend and efforts students invest to achieve from the higher education. That is, college experience means students’ perception on learning environments supported by colleges, and student involvement means the amount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energy that students devoted to their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experience. Curricular activity involvement includes learning attitude, self-study hours for major courses, hours spent to receive education from private institutions. Extra-curricular activity involvement includes hours spent for club activity, volunteering, self-study for English, private education for English, and job training. The data available from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is used to perform analyses to answer the questions described above. In specific, I used the 1st ~ 7th data on the cohort of 3rd grade high-school students, and used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s analysis methods. Analysis results for the first question (How students’ education level affects their career outcome?) show that students graduated either 4-year institutions or 2-year technical colleges have better career outcome compared to high-school graduates, when personal background factors are controlled. This implies that students with higher education get rewarded with better career opportunities. It is noteworthy that high-quality career consulting in high school, which is a factor in personal background, affects career outcome significantly. Analysis results for the second question (What factors affect students’ involvement in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show that high school type, desired education level, and emphasis on higher-degree problem solving capability are major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curricular involvement, and that extra-curricular involvement are affected by gender, high school typ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type, and the satisfaction level on career consulting. Analysis results for the third question (What factors affect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how that grade is positively affected by learning attitude but negatively when students perceive that education in their institutions is challenging and requires complex problem-solving capability. Students graduated specialized high schools typically receive lower grades compared to students graduated regular high schools. Students attending 4-year institutions are more satisfied on their institutions compared to students attending 2-year technical colleges, and students who selected major from internal motive are more satisfied on their majors compared to students who selected major from external motive. Compared to students majoring in humanities, students majoring in education, medical science and pharmacy are more satisfied in their majors and institutions. Also, good social relationship in universities also positively affects the satisfaction level on majors and institutions. Main results from the analysis for the fourth question (What factors affect students’ career outcome?) are as follows. First, among factors in personal background, gender affects employment type. That is, fewer female students are employed as regular employees compared to male students. In addition, major-relevant employment rate was lower for students who selected majors from external motives, compared to students who selected their majors from internal motives. Among factors in college environment, institution type and location affect job suitability in terms of major relevance. That is, students graduated from 4-year institution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received more salary and are employed for a job more relevant to their majors. Fields of study also significantly affects career outcome. The career outcome of students in the field of study such as social sciences, education, medical science and pharmacy was better. Influences of students’ involvement in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on career outcome are more complex. Self-study hours for major courses positively affects salary, private education on major courses and self-study hours for English positively affects employment as regular employees. In contrast, learning attitude and club activity negatively affect salary. Hours spent for volunteering, private English education, job training do not affect significantly for career outcome. Among the factors in the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higher education, similar pattern is observed for the grade and the satisfaction level on institutions. That is, the two factors do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outcome. The satisfaction level on major positively affects employment relevant to students’ majors. I deri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rom the analysis results described above. First of all, considering that career consulting experience in high school positively affects students’ involvement in academic activities,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 outcome, it is highly required to perform systematic and professional career consulting in high school. To achieve this, individual school must hire enough number of teachers with specialties in career consulting. In addition, career consulting training should be done for other teachers. These efforts may help building environments that enable students to receive high-quality career consulting. Second, this study shows that learning environment positively affects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involv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o build high-quality learning environments. Third, the analysis on career outcome shows that students’ effort on studying major courses and English positively affects career outcome. Therefore, universities should support students to spend more time on studying their majors. Considering that many universities recently emphasizes on fostering global human resources, universities should pay more attention on English education. Last, it is needed to perform large, in-depth researches to study effects of higher education on the students’ academic growth and their post-graduate life. The outcomes from the follow-up studies should be multilateral, practical and informative, in order to provid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ith practical information to build high-quality college environment and to encourage student involvement. Also, results from the studies should be practical to guide students to invest their efforts wisely for better future.;대학교육이 보편화된 시대에 우리나라 대다수의 학생들은 대학이라는 통로를 통해 세상으로 나가고 있다. 따라서 많은 비용을 투자하여 대학교육을 받은 학생이 대학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에 비해 더 나은 성과를 갖게 되는지, 또 학생들이 대학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대학경험을 통해 무엇을 배우는지, 그리고 대학에서 체득된 경험과 배움들이 대학 졸업 후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는 중요한 문제이다. 하지만 실제로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대학에서 어떠한 활동에 시간을 보내고 있는지, 또 대학생들의 학업 및 학업 외적인 경험들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이러한 대학경험들은 대학생의 학습 및 직업적인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등에 대해서 아직 많은 부분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대학교육을 받는 것이 대학교육을 받지 않는 것에 비해 실제 더 나은 취업성과를 가져오는지에 대해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이 어떠한 학업 및 학업외적 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학업 및 학업외적 활동 참여에는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대학교육을 통해 얻게 되는 성과로서 학습성과와 대학 졸업 후의 취업성과를 대학교육성과로 제시하고, 이들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 네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육수준은 취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대학생의 학업참여 및 학업외참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대학생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넷째, 대학생의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취업성과는 최종 교육기관 졸업 후 2년 이내의 취업성과이며, 취업여부, 고용형태, 전공일치 취업여부, 기술수준일치 취업여부, 교육수준일치 취업여부, 임금, 직무만족도로 구분하였다. 또 학습성과는 대학성적, 대학만족도, 학과만족도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대학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크게 대학생의 개인배경과 대학경험으로 구분되어 제시되었으며, 이 중 대학경험은 대학생들이 소속된 대학환경과 그 안에서의 학생참여로 구성된다고 보았다. 이에 대학환경은 대학생이 소속된 대학기관, 전공계열, 그 안에서 겪게 되는 다양한 학습환경에 대한 인식으로, 학생참여는 대학생들의 학업 및 학업 외적 경험에의 시간과 노력의 투자로서 학업참여와 학업외참여로 구분하였다. 여기서 학업참여는 학습태도, 혼자서 전공공부를 한 시간, 전공사교육을 받은 시간으로, 학업외참여는 동아리 활동시간, 자원봉사 활동시간, 혼자서 영어공부를 한 시간, 영어사교육을 받은 시간, 취업교육‧훈련을 받은 시간으로 보았다. 이상의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중 고등학교 3학년 집단 자료(1-7차)를 사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는 일반화추정방정식, 다중회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교육수준이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인배경을 통제하였을 때, 전문대학 졸업자, 4년제 대학 졸업자 모두 고등학교 졸업자에 비해 더 나은 취업성과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 대학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에 비해 대학교육을 받은 학생이 더 질 높은 취업성과를 거두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투입된 개인배경 중에는 고등학교 때의 긍정적인 진로 경험이 더 나은 취업성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 문제인 대학생의 학업참여 및 학업외참여 영향요인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학생의 학업참여에는 고교유형, 교육포부수준, 고차적능력강조 등이, 학업외참여에는 성별, 고교유형, 대학유형, 진로상담만족도 등이 주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세 번째 연구문제인 대학생의 학습성과 영향요인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습성과 중 대학성적은 학습태도가 좋을수록 높아지며, 대학에서 고차적능력을 강조하였다는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고 출신 학생에 비해 특성화고 출신 학생의 대학성적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만족도는 전문대학 출신 학생에 비해 4년제 대학 출신 학생이, 학과만족도는 외적동기로 전공을 선택한 학생에 비해 내적동기로 전공을 선택한 학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만족도와 학과만족도 모두 인문계열 전공학생에 비해 교육계열, 의약계열, 예체능계열 학생이, 대학에서의 교우관계가 좋은 학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연구문제인 대학생의 취업성과 영향요인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개인배경 중에는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의 정규직 취업가능성이 낮으며, 내적 동기로 전공을 선택한 학생에 비해 외적 동기로 전공을 선택한 학생들의 전공일치 취업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환경 중에는, 전문대학 출신 학생에 비해 4년제 대학 출신 학생의 전공일치 취업가능성이 높게, 비수도권 대학 출신 학생에 비해 수도권 대학 출신 학생의 전공일치 취업가능성과 임금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공계열은 취업성과에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즉, 인문계열 전공 학생에 비해 사회계열, 교육계열, 의약계열 등이 더 나은 취업성과를 보이고 있었다. 학생의 학업참여 및 학업외참여 요인들은 취업성과에 대하여 차별적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혼자서 전공공부한 시간은 임금에, 전공사교육을 받은 시간과 혼자서 영어공부한 시간은 정규직 취업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학습태도, 동아리 활동시간은 임금에 부적(-)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 활동시간, 영어사교육을 받은 시간, 취업교육‧훈련을 받은 시간은 취업성과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이 대학교육을 통해 가지게 되는 학습성과 중, 학과만족도는 정규직 취업가능성에는 부적 효과를 갖지만, 전공일치 취업가능성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성적과 대학만족도는 취업성과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고등학교 때의 진로경험이 취업성과에, 내적 동기로 대학 전공을 선택하는 것이 대학생의 학업참여, 학습성과, 취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무엇보다 고등학교에서의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진로교육이 요청된다. 이를 위해 개별 학교별로 진로 및 진학상담 전문교사가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며, 일반 교사들에 대해서도 진로교육 연수 등을 실시하여 학생들이 일상적으로 질 높은 진로지도를 받을 수 있는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둘째, 대학의 학습환경이 대학생의 학업참여 및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대학교육이 대학생의 학업참여 및 학습성과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상기시키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이에 대학은 질 높은 학습환경 구축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셋째, 대학생의 취업성과에 대한 분석 결과, 대학생 스스로 전공공부 및 영어공부에 들인 노력이 취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학은 학생들이 전공공부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수 있도록 학업지원에 힘써야 할 것이다. 또한 많은 대학들이 중시하고 있는 글로벌 인재 양성에 대학이 일정부분 책임을 져야한다는 측면에서 대학생 영어교육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학교육이 학생의 성장과 발달, 그리고 대학 졸업 후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해 심층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좀 더 풍부한 자료를 가지고, 정밀한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대학교육성과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대학이 학생의 참여를 장려하고 대학생의 바람직한 성과를 가져오기 위해 어떠한 환경을 조성하여야 하는지,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대학생들이 자신들의 좀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에 대해 안내해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용어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8 A. 대학교육성과 8 B. 대학교육성과와 대학 효과 모형 26 C. 대학교육성과 영향 요인 38 Ⅲ. 연구 방법 62 A. 연구 모형 62 B. 분석자료 및 분석대상 65 C. 변수 67 D. 분석 방법과 분석 모형 85 Ⅳ. 연구 결과 90 A. 기초통계 분석 90 B. 교육수준이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96 C. 대학생의 학업참여 및 학업외참여 영향요인 분석 107 D. 대학생의 학습성과 영향요인 분석 116 E. 대학생의 취업성과 영향요인 분석 122 F. 연구 결과 종합 140 Ⅴ. 결론 및 제언 147 A. 요약 및 논의 147 B. 제언 및 연구의 제한점 161 참고문헌 166 부록 178 ABSTRACT 1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861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대학교육성과 영향요인 분석-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KEEP data(1-7차)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n Factors Influencing Higher Education Performance : Focused on KEEP Data(1-7th)-
dc.creator.othernameYoon, Soo-Kyung-
dc.format.pageviii, 201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