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경-
dc.contributor.author임주연-
dc.creator임주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7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95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01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9508-
dc.description.abstract미술교과는 정해진 답을 요구하는 과목이 아니라 학생들이 그들의 창의성을 발휘하여 개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과목이다. 하지만 학교교육 현장에서 창의성교육의 중요성을 언급한지 오랜 시간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학교 현장에서는 전통적인 수업 방식을 고수하고 있어 학습자의 창의성을 발현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학습자의 환경의 개선과 학생들에게 잠재된 창의적 능력의 발휘를 위해 트레핑거(Treffinger)의 창의적 문제해결(Creative Problem Solving, CPS)모형 버전 6.1을 적용한 중학교 디자인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포스터 디자인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자의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디자인은 그 결과물을 어떠한 목적에 맞게 사용되어지는 것을 전제로 하며 디자인의 미적인 면뿐만 아니라 그것의 기능적인 면이 충족되어야만 좋은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디자인 과정은 그러한 미적, 기능적인 면을 극대화 시키는 문제 해결 과정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디자인 프로세스를 CPS모형에 대입하여 설계하는 것이 창의적 결과물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창의성은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는 능력으로 그것을 교육에 의해서 발달시킬 수 있다는 것, 이 전제가 이 논문의 출발점이다. 창의성을 요구하는 미술교과에서 수동적인 학습에 익숙해진 학습자들에게 능동적으로 창의적인 사고활동을 통해서 창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CPS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디자인 수업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에 위치한 B 중학교 3학년 62명을 대상으로 각각 31명의 실험집단과 31명의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게는 총 8차시에 걸쳐 트레핑거의 CPS모형 버전 6.1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CPS모형 버전 6.1의 도전이해하기, 아이디어 생성하기, 실행을 위한 준비하기, 수용한 세우기, 해결책 개발하기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혹은 선택적으로 교수-학습 계획안에 포함하였다. 실험에 들어가기에 앞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시각 디자인 영역과 창의적 성향의 동질성 검사를 통한 통계분석으로 두 집단이 동질집단임을 확인한 후, 실험집단에는 CPS모형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 프로그램과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교수법으로 디자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CPS모형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이 학습자의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수행평가를 통한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수행 결과물의 평가는 공정성을 기하기 위해 연구자 본인을 포함한 중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미술 교사 3명이 공동 채점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통계프로그램 SAS로 반복측정 자료 분산분석(Two Factor Cross-Over Design Analysis with One Factor Repeated)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인 두 집단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각디자인의 일반적인 배경지식과 창의성 성향을 알아보는 검사지를 실행하고 측정된 결과를 교차분석한 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동질집단 임을 밝혔다. 둘째, CPS모형을 적용한 포스터 디자인 수업 프로그램을 실험 처치한 결과 분석을 통하여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창의적 표현력의 각각의 평가문항과 창의적 표현력의 하위 영역인 주제표현, 표현방법, 조형요소와 원리의 각 영역에서 전체적인 평균이 각 각 3.97점, 4.02점, 3.93점, 3.88점으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높게 측정되어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CPS모형을 적용한 수업을 진행했던 실험집단이 창의적 표현력 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사후 설문을 통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포스터 디자인 수업 과정 내용 이해와 만족도, 수업 참여도, 측면에서 실험집단의 학습자들이 수업 내용 및 수업 과정에 대한 만족도와 이해도, 참여도, 관심도 등의 영역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었음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포스터 디자인 수업에서 트레핑거의 CPS모형 버전 6.1을 적용한 미술 프로그램이 중학교 3학년 창의적 표현력 향상에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으며 학습자 또한 수업진행 과정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음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창의적 문제해결모형은 미술교과 이외에도 다른 교과에 활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향후 미술교과에서 디자인 수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에서 창의적 문제해결을 통한 체계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가 미술교육에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Art is subject that solving ill-structured problem, has open solutions than any other subjects. Therefore, it could be useful to develop students’ creativity. However, many art classes in school, there is no specific methodical design curriculum and stick to traditional design program. So it is very hard to pull out student’s creativity. This study is to discover effect in creative expression using CPS method in design teaching plan for 9th grade student. Fortunately, this study is to help improve design program in school and to pull out student’s potential creativity. Design is problem solving process that to meet clients’ goal. Design process is based on aesthetic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to achieve functional goal. This is similar idea to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Therefore hypothetically, applying CPS model in design program, could get creative result in design. The start point of this study is all human kind has born to be creative and it could develop through education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students’ conative thinking skills and creative expressions using CPS method in design lesson for the 9th grader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experiment was held in B-middle school in Seoul. choosing two classes one, for applying CPS method design program and the other for traditional design lesson. Both class has 8 session design program. The experimental class’ design program has include 3 steps(Understanding the Problem, Generating Ideas, Panning for Action)of CPS model ver. 6.1. using each steps sequentially or optionally in 8 session of teaching plan. Before experimental lesson, there was examination identifying the two groups are in under same condition. When 8 sessions of design lesson was finish, there was an evaluation of creative expressions of student’s poster works. The evaluations were took in charge of 2 middle school teachers and myself. The evaluation of creative expression tool was referred to Kim Eun Joo’s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Tool for Creativity in Design and Lowenfeld’s Creativity elements such as uniqueness, fluency, flexibility and accuracy. SAS program was used to draw analyze result of creative expression skills for the conclusion. The results after collecting students creative expression evaluation outcome from the experiment on both lessons, are as follows. First, perform a survey to identified homogeneity of the two target groups for the experiment. the result came out to be that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homogeneous, as the outcome of estimation did not statistically indicate an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experimental group with CPS method showed more positive change in subject expression. expression technique, formative element and principle and composing materials and tools than the control group. Moreover, the former group was revealed to be better than the latter on overall average(the experimental: M=3.963, the control: M=3.00). Consequently, the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disclosed. Third, through the survey after the experiment it was also found out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as estimated to be higher in terms of the ability of understanding, satisfaction of the design program, class participation and motivation than control group. Accordingly, the statistic shows that the students of the experiment group has positive shift in terms of effective domain education during the course of applying CPS method in poster design class. In conclusion, it has been statistically verified that there were positive significant changes in students ability of creative expression using Treffinger’s CPS model ver.6.1 in teaching Poster Design art education and affirmative outcome from students during the class.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CPS model into design teaching plan in Middle school could improve students’ creativity and develop thinking skill which is very necessary in creative education. The further researches and efforts to be put in to Middle school design curriculum, and the systemic and persistent design teaching-studying program put to practical use in art education for the students’ creative develop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2 C.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5 A.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 5 B. 창의적 표현력 18 C. 중학교 디자인 수업에서 CPS모형 적용의 의의 28 Ⅲ. 연구방법 33 A. 연구대상 및 절차 33 B. 연구도구 36 C. 자료처리 54 Ⅳ. 연구결과 및 논의 56 A. 연구결과 56 B. 논의 64 Ⅴ. 결론 및 제언 66 참고문헌 69 부록 72 ABSTRACT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18450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중학교 디자인 수업에서 CPS모형 적용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Treffinger의 CPS 모형 6.1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Creative Expression using CPS(Creative Problem Solving) method in Design Teaching Plan : Mainly for the Middle-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Lim, Joo Yeon-
dc.format.pageviii, 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