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7 Download: 0

비평 능력 향상을 위한 시각문화교육 방안

Title
비평 능력 향상을 위한 시각문화교육 방안
Other Titles
Study on Visual Culture Education to Improve Criticism Ability : focusing on TV commercial-focused criticism during art classes for high school freshmen
Authors
김지영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용
Abstract
Today, we are living surrounded by all sorts of visual images coming from big mass media as TV, film, the Internet and smart phone. Before we are even aware of it in our daily lives, the visual culture would deliver us some distorted values from time to time as this culture particularly affects ideas and behaviors of the youth when they are trying to form their identities. Hence, the concerned study designed a TV commercial criticism session as one of the visual culture education methods, and in order to help students to improve their criticism ability to accept and read any messages from the visual culture objectively, the study went through those procedures as follows. First of all, from literature research, the study learned details that would be asked for the art education field to enhance the criticism ability including other proper directions for the visual culture education. That way, the study could review frames of TV commercial criticism theoretically.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view on the TV commercial criticism frames, the study selected a chapter called 'Commercial Reading' in an art textbook and re-designed the contents with the four latest TV commercials to draw up a teaching-learning plan. The study was carried out targeting a total of 37 freshmen at Y Girls' High School in Nowon-gu of Seoul, and throughout eight sessions (50 minutes for each),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three class activities as "TV Commercial Text Reading", "Discussing How TV Commercials would Reflect and Manipulate the Culture" and "Designing Commercials to Create New Meanings of Products". In order to produce results of the study, the study conducted a quality analysis comparing critiques written by the learners before and after the classes. Here, records of how the students proceeded with the criticism and the discussion, and practical test results as well were gone through the quality analysis. The criticisms were analyzed to see, first, if the learners have critically recognized and accepted TV commercials as texts to deliver some particular values, second, if the learners have understood how to criticize, and have read meanings of the TV commercials based on the proper criticism methods and lastly third, if the learners have described their judgements logically working on rational argum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critiques before the classes, the learners were observed to be out of focus as they only talked about how the commercials would exaggerate benefits of products including how consumers would get damaged after the use of the products. Add to that, the learners evaluated the commercials by their vague feelings and personal preferences as they were busy only with analyzing superficial intentions of the commercials. In other words, in those critiques before the classes, the learners did not have any ideas about definitions and aspects for the criticism. However,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n the critiques before and after the class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rom 28 research participants out of the 37. First, the learners started to recognize critically how the products were described in the TV commercials. Second, by using the criticism methods, the learners analyzed the TV commercial texts and understood how the commercials would reflect and manipulate some values and stereotypes. Third, the learners discussed various factors in the commercials more extensively than before as they made logical arguments on their interpretations and judgements. Not only that, as they shared their ideas, the learners had a chance to review each other's subjective interpretation making an objective judgement based on what they all learned from those interpretations of everybody. Even during the discussion, the learners were observed to work hard to convince others as they argued logically. In case of the practical test results, 31 participants out of the 37 re-designed the factors of the commercials in the study as producing new meanings describing them on storyboards. In conclusion, the TV commercial criticism classes by this study are believe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earners to accept TV commercials critically and to deal with them actively. The classes led the learners to work on the criticism methods to analyze and interpret commercial texts systematically while encouraging the learners to improve general criticism ability of theirs when they try to describe their critical ideas in logical words. This study made positive proposals for visual culture education to improve students' criticism ability in art class and produced effective evaluation. In the future, there should be continuous studies on this area so that it can be used in actual classes as a more effective teacher-learning methodology for students.;오늘날 우리는 TV나 영화, 인터넷, 스마트폰 등 각종 대중매체들이 쏟아내는 다양한 시각 이미지들에 둘러싸여 살아가고 있다. 시각문화는 일상 속에서 우리가 느끼지 못하는 사이에 종종 왜곡된 가치관을 전달하며, 특히 정체성이 형성되는 시기에 있는 청소년들의 사고와 행동방식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각문화교육의 한 방안으로서 TV광고 비평 수업을 설계하여 시각문화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그 의미를 객관적으로 읽어낼 수 있는 비평 능력의 향상에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문헌을 통해 국가 교육과정에서 미술과에 요구하는 비평 능력의 구체적인 내용과 시각문화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살펴보고, TV광고 비평의 틀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미술교과에서 ‘광고 읽기’ 단원을 선정하고 최근의 TV광고 네 개를 비평 대상으로 내용을 재구성하여 교수-학습 지도안을 설계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노원구 Y여자 고등학교 1학년 37명이며, 총 8차시(각 50분)에 걸쳐 “TV광고 텍스트 읽기”, “TV광고가 문화를 반영 및 조장함에 대해 토론하기”, “상품의 의미를 새롭게 생성하는 광고 기획하기” 이렇게 세 가지 활동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도출을 위해 학습자가 작성한 비평문의 사전·사후를 비교하여 질적 분석을 하고, 비평 및 토론 과정을 녹취한 자료와 실기 결과물도 질적 분석을 하였다. 비평문 분석의 기준은 첫째, TV광고를 특정 가치관을 전달하는 텍스트로 인식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하였는지, 둘째, 비평 방법을 이해하고 이를 적용하여 TV광고가 내포한 의미를 읽어내었는지, 셋째, 타당한 근거를 들어 논리적으로 자신의 판단을 서술하였는지의 여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여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사전 비평문에서 학생들은 광고가 상품의 장점을 과장한 것이나 상품의 사용에 뒤따르는 폐해를 비판하는 등 초점이 빗나간 비평을 하였다. 또는 막연한 느낌이나 개인적인 선호에 따라 광고를 평가하거나 광고에 표면적으로 드러난 의도를 분석하는 등 비평에 대한 개념과 관점이 분명하게 잡혀 있지 않았다. 하지만 비평문의 사전·사후를 비교 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 37명 중 28명에게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첫째, TV광고 안에서 특정 대상이 어떤 식으로 묘사되고 있는가를 비판적으로 인식하게 되는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비평 방법을 적용하여 체계적으로 TV광고 텍스트를 분석하고 이로부터 광고가 어떠한 가치관이나 고정관념을 반영 및 조장하고 있는지 읽어냈다. 셋째, 광고 안에서 전보다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폭넓게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자신의 해석과 판단을 논리적으로 주장하였다. 또한 비평 과정에서 학생들은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면서 각자의 주관적인 해석을 검토하고 종합하여 보다 객관적인 판단을 내렸으며, 토론 과정에서도 자신의 생각을 말로써 설득력 있게 표현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실기 결과물의 경우, 연구 대상 37명 중 31명이 원 광고의 구성 요소들을 재기획하여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고 스토리보드로 표현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TV광고 비평 수업은 TV광고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태도로의 변화와, 비평 방법을 적용하여 광고 텍스트를 체계적으로 분석 및 해석하는 능력, 그리고 이를 효과적으로 언어화하는 면에서 학습자의 전반적인 비평 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미술과에서 비평 능력의 향상을 위한 시각문화교육의 긍정적인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그 효과를 검증한 자료로서 의의를 갖는다. 앞으로 이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학습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이고 의미 있는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학교 현장에서 활용되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