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주영주-
dc.contributor.author김해진-
dc.creator김해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4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952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9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9525-
dc.description.abstract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education is now possible in various places without the restraints of time and location. Of this unrestrained education, one can point out the cyber educational institutions as representative that are based on the internet. Since its introduction in 2001, cyber education has been on the rise. Regarkless of this, due to all academic and administrative affairs take place online and also cyber education is led by self-motive, many cases are taking place in which students quit in the midst of their online education programs. Thus, based on existing research,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factors of self-efficacy, practical use of study strategies, academic exhaustion, and institution support as prediction factors, and subject satisfaction and intention for academic continuance as conforming factors. Based on these factors, the research investigates whether factors of self-efficacy, practical use of study strategies, academic exhaustion, and institution support are factors that predict the subject satisfaction and intention for academic continuance for cyber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an the self-efficacy, practical use of study strategies, academic exhaustion, and institution support predict the subject satisfaction of the cyber student? 2. Can the self-efficacy, practical use of study strategies, academic exhaustion, and institution support predict intention for academic continuance of the cyber student? This research carried out surveys with the students in K Cyber University in Seoul, who took the major selective course of The History of Culture-Art in the Department of Information Culture and its major of Arts-Culture Management. The survey was web-based and carried out at the end of the semester for two weeks. Out of the 180 responses received, 178 were used, with 2 discarded as unusable. Based on existing research, equipment of validity and reliability was used in this research in adapted fashion. Questions in the surveys measure: self-efficacy (9 questions), practical use of study strategies (14 questions), academic exhaustion (15 questions), institution support (6 questions), subject satisfaction (8 questions), and intention for academic continuance (6 questions)—for a total of 58 questions. For results analysis, Cronbach’s alpha α was first found to check for the questions’ consistency reliability, and then followed by technological-statistic and relational analysis of acquired data. Prior to regression analysis, if high likelihood of relation is found between the predicted factors, there existed concerns of multicollinearity. Thus, violations in multicollinearity between the in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were checked for,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n whether factors of self-effifacy, practical use of study strategies, acdemic exhaustion, and instituton support were predicting factors of subject satisfaction, they were influencing factors in the following decreasing order: academic exhaustion, practical use of study strategies, and self-effifacy. Institution support, on the other hand, did not predict the subject satisfaction. Second, on whether factors of self-effifacy, practical use of study strategies, acdemic exhaustion, and instituton support were predicting factors of intention for academic continunance, they were influencing factors in the following decreasing order: academic exhaustion, practical use of study strategies, and self-effifacy. Institution support, on the other hand, did not predict the intention for academic continun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difficult to generalize, as the surveys were conveniently held on 178 students as sample in culture and arts subjects at K cyber university. Second, though this research selected self-efficacy, practical use of study stragies, academic exhaustion, and institution support, along with academic achievement as reason variables, many other variables may exist that influence academic achievement. Thus, follow-up research shall look into the various, possiblly influencing factors. Third, though this research selected subject satisfaction, intention for academic continuance along with academic achievement as variables, other factors such as academic attitude, concentration level, participation, and other factors may count as variables in academic achievement. Fourth, research on academic achievement in cyber education has been cross-sectional. However, because cross-sectional research focus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of influence and on confirming the influence, research reaches its end at the explanation of condition at a single circumstance. Thus, when it comes to results of education service such as institution support and academic exhaustion, the process may change depending on the elapsed time frame. Thus, a vertical analysis on such factors is suggested to hold significance.;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시·공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되면서 다양한 환경 하에서 교육이 가능해졌다. 그 중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대표적인 사이버교육기관으로 사이버대학을 들 수 있다. 사이버대학은 2001년 출범이후 현재까지 지속적인 양적 증가를 보이고 있지만 모든 학사는 물론 행정업무가 온라인에서 이루어지고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습해야 하므로 학업을 지속하지 못하고 중도탈락하는 경우가 일반대학에 비해 많이 발생하고 있다(임연욱, 2007).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자기효능감, 학습전략 활용 수준, 학업소진, 학교지원을 예측변인으로 과목 만족도 및 학업지속의향을 준거변인으로 설정하여 사이버대학생의 자기효능감, 학습전략 활용 수준, 학업소진, 학교지원이 과목 만족도, 학업지속의향을 예측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사이버대학생의 자기효능감, 학습전략 활용 수준, 학업소진, 학교지원은 과목 만족도를 예측하는가? 2. 사이버대학생의 자기효능감, 학습전략 활용 수준, 학업소진, 학교지원은 학업지속의향을 예측하는가? 본 연구는 서울 소재 K사이버대학교 정보문화예술학부 문화예술경영학과 전공선택 과목인 문화예술사과목 수강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은 학기 중 학기 말에 2주 동안 웹서베이 형식으로 실시하였으며, 설문에 응답한 학생 180명 중 불성실 응답자 2명을 제외한 178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선행연구를 통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인정받은 도구를 본 연구 환경에 맞게 수정 번안하여 사용하였으며, 설문문항은 자기효능감(9문항), 학습전략 활용 수준(14문항), 학업소진(15문항), 학교지원(6문항), 과목 만족도(8문항), 학업지속의향(6문항)의 총 5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분석은 먼저,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하기위해 문항내적일관성 신뢰도 Cronbach′s α값을 측정하고 수집된 자료의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전 측정변인 간에 상관이 높은 경우 다중공선성을 우려할 수 있어 각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다중공선성 위배여부를 확인하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대학생의 자기효능감, 학습전략 활용 수준, 학업소진, 학교지원이 과목 만족도를 예측하는지 검정한 결과, 학업소진은 부적으로 학습전략 활용 수준, 자기효능감은 과목 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반면 학교지원은 과목 만족도를 예측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이버대학생의 자기효능감, 학습전략 활용 수준, 학업소진, 학교지원이 학업지속의향을 예측하는지 검정한 결과, 학업소진은 부적으로 학습전략 활용 수준, 자기효능감은 학업지속의향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반면 학교지원은 학업지속의향을 예측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국내 K 사이버대학의 문화예술사 과목을 수강한 178명을 편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다른 사이버대학 타 과목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게 되는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성과 원인 변수로 자기효능감, 학습전략 활용 수준, 학업소진, 학교지원을 선정하였으나 그외의 학습자특성, 실재감, 참여도 등 다양한 변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후속연구에서는 다양한 변인들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성과 변수로 과목 만족도, 학업지속의향을 선정하였으나 이외에도 학습에 대한 태도, 몰입정도, 참여도, 성취도 등 다양한 지표를 학습성과 변수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현재까지 사이버대학의 학습성과 연구는 주로 횡단적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횡단적인 연구들은 변인들의 관계와 영향력 검증에 집중하고 있어 한 시점에서의 양상만을 밝히는데 그친다. 즉, 학교지원과 같은 교육적 서비스의 성과나 학업소진의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과정이 변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종단적 분석도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6 C. 용어의 정의 7 1. 자기효능감 7 2. 학습전략 활용 수준 7 3. 학업소진 8 4. 학교지원 8 5. 과목 만족도 9 6. 학업지속의향 9 Ⅱ. 이론적 배경 10 A. 사이버대학의 현황과 사이버대학생의 특성 10 1. 사이버대학의 현황 10 2. 사이버대학생의 특성 11 B. 학습성과 영향 변수 15 1. 자기효능감 15 2. 학습전략 활용 수준 16 3. 학업소진 17 4. 학교지원 18 C. 관련 선행연구 20 1. 자기효능감과 학습성과 관련 선행연구 20 2. 학습전략 활용 수준과 학습성과 선행연구 23 3. 학업소진과 학습성과 관련 선행연구 25 4. 학교지원과 학습성과 관련 선행연구 27 D. 연구가설과 모형 31 Ⅲ. 연구방법 32 A. 연구대상 32 B. 연구절차 35 C. 측정도구 35 1. 자기효능감 35 2. 학습전략 활용 수준 36 3. 학업소진 36 4. 학교지원 37 5. 과목 만족도 38 6. 학업지속의향 38 D. 자료 분석방법 40 Ⅳ. 연구결과 41 A. 기술통계 41 B. 상관분석 및 다중공선성 검증 43 C. 회귀분석 45 1. 자기효능감, 학습전략 활용 수준, 학업소진, 학교지원의 과목 만족도 예측 45 2. 자기효능감, 학습전략 활용 수준, 학업소진, 학교지원의 학업 지속의향 예측 47 Ⅴ. 결론 및 제언 49 A. 결론 및 논의 49 B. 제한점 및 제언 54 참고문헌 55 부록 64 ABSTRACT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070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사이버대학생의 자기효능감, 학습전략 활용 수준, 학업소진, 학교지원에 따른 과목 만족도 및 학업지속의향 예측-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rediction of Subject Satisfaction and Intention for Academic Continuance of Cyber Student based on the Self-efficacy, Practical use of Study Strategy, Academic Exhaustion, and Institution Support-
dc.creator.othernameKim, Hae Jin-
dc.format.pageviii,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