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혜경-
dc.contributor.author송은의-
dc.creator송은의-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8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5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9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59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학업 영재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태교부터 성인이 될 때까지의 양육 생애사를 통하여 영재 자녀를 둔 어머니의 삶을 이해하고 나아가 독특한 양육 사례를 분석하여 영재교육 환경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연구는 양육경험 속에 내포된 맥락에 집중함으로써 양육과정 중 어머니들이 느꼈을 감정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의도적 표집방법인 눈덩이표집에 의해 서울과학고등학교(과학영재학교) 제21회 졸업생을 둔 어머니로 선정한 총 6명이다. 또한, 연구 참여자의 영재 자녀는 쌍둥이를 포함하여 총 7명이다. 자료 수집은 Schutze의 ‘생애사적-이야기식 인터뷰’ 방법에 따라 진행했으며, 자료는 Schutze의 ‘인생진행 과정구조’에 의하여 분석했다. 본 연구 결과 영재 자녀를 성인이 될 때까지 양육함에 있어서 영재 자녀의 영재성에 관련된 경험은 각각 달랐지만, 그에 따른 인생진행 과정은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었다. 첫째, 영재성 발달을 위한 교육과 더불어 자녀가 흥미를 보이지 않는 그 밖의 분야에 대해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있었다. 둘째, 영재 자녀가 초등학교 고학년이 되어서야 본격적으로 수학학원에 보냈다. 셋째, 중학생이 된 영재 자녀는 사춘기를 겪으며 또래 사이에서 자신의 영재성이 ‘다름’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자각하였고, 그 결과 영재 자녀 사회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여 어머니들은 크게 어려움을 느꼈다. 넷째, 영재 자녀가 서울과학고등학교로 진학한 후 비슷한 또래들 속에서 급속도로 영재성을 신장시켜 나갔다. 어머니들은 자녀교육을 학교에 위탁하며 안정감을 느꼈다. 다섯째, 영재 자녀 이외의 또 다른 자녀가 있는 경우, 동등한 양육환경을 제공하지 못한 것에 대하여 안타까움과 미안함을 느꼈다. 학업 영재 자녀들이 성인이 될 때까지 교육적으로 실패하지 않고 성장한 것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어머니의 양육방법은 밝은 가족 분위기를 위한 노력이었다. 개인마다 방법은 달랐지만, 공통적으로 자녀가 많은 양의 학습에 지치지 않도록 가정 안에서 배려해 주었고, 가족구성원들과의 잦은 대화로 영재 자녀가 성장하며 느끼는 감정들을 토로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형성하고 독려해 주었다. 본 연구에서 학업 영재 자녀를 둔 어머니들은 대외적으로 ‘공부 잘하는 자녀’를 둔 부러움의 대상이었지만, 특수한 자녀 교육문제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해야 하는 어려움에 대해서는 정보를 교류하고 감정을 표출할 곳이 부족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영재 자녀의 중학교 시기에는 영재성이 급격히 성장하고, 사춘기를 겪으며, 대학입시의 시작점에 서게 되는 등 복합적인 양육 과제들이 쏟아지지만, 전적으로 자녀 교육을 위탁할만한 기관이 부재한 상황에 놓여있었다. 이를 위하여 전일제 커리큘럼으로 영재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교육해줄 수 있는 중등수준의 영재학교 설립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분석하였다.;This study was intended to understand the mothers with gifted person for life history of parenting the gifted person from prenatal to adulthood, and further analyzed the unique parenting cases in order to suggest the gifted education environment. Also,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text of parenting experience and analyzed in-depth of the mothers’ emotion during the process of parenting. Using intentional sampling method, snowball sampling,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total of 6 mothers with Seoul Science High School (gifted science school) 21st graduates. The participants included one of the twins; therefore, total of 7 gifted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method of Schutze’s ‘the biological-narrative interview’, and was analyzed according to Schutze’s ‘the structure of biographical processes’. When analyzed, the results differed in gifted person’s giftedness in relationship with experiences by parenting the gifted person until they became adults; however, the results had similar structure in terms of progression of life. First, there were concerns regarding how to teach the gifted person with the field that they are not interested as well as developing the education for the giftedness. Second, the gifted person were regularly sent to math academy when they were upp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Third, the gifted person started to acknowledge ‘difference’ among the same age groups when they reached puberty in middle school. As a result, mothers of gifted person experienced challenges related to the gifted person being negatively influence on sociality. Fourth, gifted person started to increase their giftedness rapidly among the similar age groups when they entered Seoul Science High School. Thereby, mothers of gifted felt comfort by entrusting the person education to school. Fifth, when there was another child other than the gifted one, mother felt sad and sorry for not providing the equal parenting environment to non-gifted child. The reason for not failing the education in gifted person until adulthood was the mother’s parenting effort for bright family atmosphere. Method in each individual differed; however, there was in common consideration for a child to not lose a large amount of learning at home, and encouraged the atmosphere for the gifted person to have frequent conversations with family members in order for them to grow and express their feelings. In this study, mother with gifted person were envied by others because their children were ‘person who study well’, but the results were unsatisfying since there was lack of information about exchanging and expressing information, and the mothers constantly had to worry about the special person education. Also, the gifted person in middle school poured complex parenting challenges, such as drastic growth of giftedness, undergoes puberty, and stands at the start of college/university entrance exam, etc., but institutions in charge of person education fully were currently absence. In order to achieve this, full-time curriculum establishment of secondary level gifted education school is required for continuous observation and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Ⅱ. 문헌 고찰 5 A. 영재의 개념 및 영재교육 5 B. 영재와 가정 8 Ⅲ. 연구방법 13 A. 생애사적 접근의 소개 13 B.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15 C. 자료 수집 18 D. 자료 분석 19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0 A. 연대기적 생애사 20 B. 생애사 진행구조 속에 나타난 어머니의 양육경험 24 C. 양육경험 이야기의 재구성 58 Ⅴ. 결론 및 제언 67 A. 결론 67 B. 제언 71 참고문헌 73 ABSTRACT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352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학업 영재 자녀 어머니의 생애사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임신에서 대학진학까지-
dc.title.translatedThe life history research of the mothers with the gifted person : from prenataltoadulthood-
dc.creator.othernameSong, Eun eui-
dc.format.pagevii,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