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4 Download: 0

음악 사용유무에 따른 신체활동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음악 사용유무에 따른 신체활동이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ies Using Music on Retarded Youth's Self-Esteem
Authors
우현주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하
Abstract
The mental retarded juveniles whose intellectual capacity is imperfect because mental growth is permanently delayed and who are not adapted for society properly have experienced different process and result with normal youth. And then they have peculiarity for physical, intellectual, emotional and social nature developing. For these experience, the mental retarded juveniles undergo failure and build up negative self-consciousness. Showing their incompetence and passive attitude, they maladjusted for normal life and formed a vicious circle for their life. It is important to give understanding of self-consciousness which is positive and achievable them. The activity is important ,which improve their life quality and give self-confidence that they feel themselves as valuable person to them as growth possibility is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 finding effect of after-school physical activity for the mental retarded youth to their self-esteem. The three groups(mentally retarded) are selected and all entered school in 2013 which is located in DAEGU. The first one(12 students) is participated in physical activity that the music for dancing, broadcasting dancing, musical rope skipping, NANTA and line dancing is used. Second group(12 person) is participated in physical activity which is TAEKWONDO, badminton and soccer and they don't use music. Third group(12person) is not participated in any after-school activity. Researcher intensively observe two first year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se self-esteem is low and who have interests in non musical physical activity and another two students in second group. The study is performed for 10 weeks (2013.03.06~05.08) and 10 times after-school activity. For measurement of effect to self-esteem of mentally retarded, the test paper used in this study is Coopersmith(1967)'s SEI(self-esteem inventory) which is complemented by Choi yu-sun(2001).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is analyzed by SP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amined in two view points. The change of whole self-esteem and the sub concept of self-esteem is examined, and which is genera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domestic self-esteem and academic self-esteem in terms of quantity. In terms of quality point, 4 students especially selected are analyzed for the change of their self-esteem and it is described and analyzed that is eye contact activity, positive changes of expression during the physical activity and voluntary expression of language.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ew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the process above mentioned. First of all, Looking at the result of the self-esteem experim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1) (musical activity), experimental group(2) (non musical activity) which are participated in the physical activity, and the control group which is not participated in the physical activity, the experimental group(1) and the experimental group(2)'s post-test is higher than the pre-test, so there is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control group's post-test is lower than the pre-test, so there is not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se result, The self-esteem of experimental group (1) and (2) both are improved by physical activity, and the physical activity using music more improve the self-esteem than that not using music. Second, the result of the post-test is higher than the pre-test in experimental group (1) and (2) in all of the sub-concept of self-esteem (general/social/domestic/ academic Self-esteem), so there 's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in control group, post-test is lower than the pre-test, so there's not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se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1) and (2) both improve all the sub-concept of the self-esteem(general/social/domestic/academic self-esteem), and the physical activity which use music more improve each sub-concept of the self-esteem than that which not use music. Third, looking at the change of the self-esteem in the four students who are intensively observed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in each sub-concept of the self-esteem(general/ social/ domestic/ academic), the degree of the self-esteem improvement is not checked out but increased. As a result, all of the sub-concept of self-esteem are improved. Fourth, the frequency of the eye contact which prescribed with the target behavior and the positive expression during physical activity are not constant but it has tendency to increase overall. Fifth, I find through the analysis of contents of voluntary language expression that voluntary language expression is increased and they have confidence and positive language expression in 2nd level. Specially, they showed passive and negative expressions in physical activity at the beginning but their passive and negative attitude are improved as time goes by. I think that the positive results is originated in achievement while physical activity. Through the conclusion above mentioned, I find that physical activity give mentally retarded good effects in improving of self-esteem and so does it further in activity using music. Based on these consequences, I propose the possibility of physical activity and effects for mental retarded. If the physical activity considered in intellectual and emotional point of view through the progressive research, it will positive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other mental factors.;정신발육이 항구적으로 지체되어 지적능력의 발달이 불완전하고 사회생활에 적응하는 것이 상당히 곤란한 지적장애 청소년은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인 발달상에도 특징이 있으며 일반 청소년과는 다른 과정과 결과를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경험으로 인하여 지적장애 청소년은 실패에 대한 경험이 많고,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하게 되며, 무엇을 해보기도 전에 ‘못해요. 하기 싫어요’등의 반응을 보이며 일상생활의 부적응과 연관되어 그들의 삶에 악순환을 형성하게 된다. 지적장애 청소년들에게 자아개념에 대해 이해시키며 긍정적이고, 성취감을 느끼는 자아개념의 형성은 중요한 과제이다. 그들을 하나의 인격체로서 가치로운 존재로 인정하고 발달가능성을 개발시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활동이 많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지적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방과 후 신체활동을 실시하여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D시에 소재한 B학교를 2013년도에 입학해서 다니고 있는 지적장애 청소년 중에서 방과 후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그룹 중 무용, 방송댄스, 음악줄넘기, 난타, 라인댄스의 음악을 사용한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그룹 12명과 태권도, 배드민턴, 축구의 음악을 사용하지 않는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그룹 12명, 그리고 방과 후 신체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그룹 12명으로 총 36명을 선정하였다. 또한 방과 후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그룹 24명중에 자존감이 낮고 음악을 사용한 신체활동에 흥미를 보이는 중학교 1학년 2명과, 그리고 음악을 사용하지 않는 신체활동에 흥미를 보이는 중학교 1학년 2명을 선정하여 본 연구자가 따로 집중 관찰하였다. 연구기간은 2013년 3월6일부터 5월8일까지 약 10주에 거쳐 총 10번의 방과 후 신체활동이 계획되었다.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Coopersmith(1967)의 자아존중감 검사 SEI(self-esteem inventory)를 최유선(2001)이 한국의 문화와 초등학생들에게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하여 만든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자아존중감 검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두 가지 차원에서 검토 되었다. 양적인 측면에서는 전체적 자아존중감과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 별 일반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학업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변화에 대해 검토하였고, 그리고 질적인 측면에서는 4명의 학생을 선정하여 자아존중감의 변화와 눈맞춤 행동과 신체활동 과정에서 나타난 긍정적 표정변화, 그리고 자발적인 언어표현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신체활동에 참여한 집단 중, 음악을 사용한 신체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1)과 음악을 사용하지 않은 신체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2), 그리고 신체활동을 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전체 자아존중감에 관한 결과를 살펴보면, 실험집단(1)과 실험집단(2)의 사후검사가 사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통제 집단에서는 사후검사가 사전보다 낮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집단(1)과 실험집단(2)의 자아존중감 향상 정도를 비교해보면 실험집단(1)이 실험집단(2)보다 증가 폭이 크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실험집단(1)과 실험집단(2) 모두 신체활동을 통해 자아존중감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음악을 사용한 신체활동이 음악을 사용하지 않은 신체활동보다 자아존중감이 더 많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 일반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학업에 대한 자아존중감에 모두 실험집단(1)과 실험집단(2)의 사후검사가 사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통제 집단에서는 사후검사가 사전보다 낮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실험집단(1)과 실험집단(2) 모두 신체활동을 통해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 일반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학업에 대한 자아존중감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음악을 사용한 신체활동이 음악을 사용하지 않은 신체활동보다 각각의 자아존중감 하위요인별 자아존중감이 더 많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중관찰한 4명의 학생이 신체활동에 참여하기 전과 참여한 후의 자아존중감 변화를 살펴보면, 일반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학업에 대한 자아존중감으로 구성된 각각의 하위영역에서 자아존중감 향상정도가 일치하진 않지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하여 전체적인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집중관찰한 4명 학생의 목표행동으로 규정한 눈맞춤 행동, 신체활동과정에서의 긍정적 표정은 발생빈도가 일정하진 않았지만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다섯째, 집중관찰한 4명 학생의 자발적 언어 표현 내용의 분석을 통해 2단계에서 자발적 언어표현이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대부분 자신감이 있으며 긍정적인 언어표현이 많이 나타났다. 특히 신체활동에 대하여 처음에는 다소 부정적이고 소극적이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능동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었는데, 이것은 신체활동 과정에서 느끼고 경험한 성취감에 기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신체활동이 지적장애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음악을 사용한 신체활동이 자아존중감 향상에 더욱 도움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신체활동의 가능성과 효과를 제안할 수 있고, 인지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을 고려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개발된다면 그 외 심리적 요인 증진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