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2 Download: 0

한국어 학습자의 관계절 습득 연구

Title
한국어 학습자의 관계절 습득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the Acquisition of Relative Clause by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Learners
Authors
고은정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cquisition types of relative clause of Korean for Chinese and Japanese learners for Korean. Chapter I states objective of this study and summarized preceding studies on relative clause acquisition.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es, the necessity for a new study is proposed and inquiry subjects are drawn up.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ve clause acquisition condition of learners for Korean language and ‘Noun Phrase Accessibility Hierarchy(NPAH)’ proposed by Keenan and Comrie(1977), the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for relative clause of Korean is conducted on the research objects of Japanese and Chinese learners for Korean to appreciate the type of trends by relative clause and mother language. Chapter II is about theories and hypothesis on relative clause, relative clause acquisition hypothesis, and features and types of relative clauses of Korean. It is identified together with summary of features of Chinese and Japanese to see differences from Korean relative clauses. Chapter III states research object, procedures, tools and data analysis methods. The research objects are 25 Chinese learners for Korean and 25 Japanese learners for Korean who are in the intermediary courses and higher in Korean education institutions of universities locating in Seoul and for them, research tools are developed. The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is a tool developed to assess relative clause acquisition conditions of leaners for Korean language. The test of 44 questions composed to appropriately assess relative clause type, tense, type of predicates, phonetic conditions of preceding syllables and sensitive or non-sensitiveness of head noun is conducted. Chapter Ⅳ, the test outcome conducted with the tool developed in Chapter III is stated. As for the Korean leaners’ relative clause acquisition by relative clause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on Korean language learners; Chinese and Japanese learners for Korean language acquire subjective relative clause more correctly than objective relative clause, which is in line with NPAH proposed by Keenan and Comrie(1977) and universally identified in languages. As for sub-types of relative clauses depending on functions of relative clause and head noun such as subject-subject(SS), object-subject(OS), subject-object(SO) and object – object(OO),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st points in order of OS, SS, SO and OO type for the analysis on Chinese and Japanese learners together; but separated analysis for Japanese learners and Chinese learners respectively does not illustrate significant test point difference. In addition, as for relative clause type, the test point differences depending on influences of mother languages of Chinese and Japanese do not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so that it is considered there is no difference. Therefore, it might be assumed that the research objects, the intermediary learners for Korean language are exposed more to the target language rather than the mother language when it comes to relative clause acquisition. Last but not least, Chapter Ⅴ propose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nd states significances and limits of the study. Based on the research for relative clause acquisition hypothesis, the relative clause types and questionnaire befitting to the study are composed so as to assess relative clause acquisition tendencies of learners. Most of researches on relative clause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have focused on usage error of adnominal ending forms and few studies have dealt Korean relative clause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earnes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dentification of the relevancy of relative clause acquisition trends of Japanese and Chinese learners for Korean language to NPAH based on language universality. ;본 연구는 중국인,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관계절의 습득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목적을 밝히고 관계절 습득을 연구한 선행 연구를 정리하였다. 선행된 연구를 토대로 새로운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연구문제를 도출하였다. Keenan과 Comrie(1977)가 제안한 ‘명사구 접근 가능성 위계(Noun Phrase Accessibility Hierarchy: NPAH)’가 한국어 학습자의 관계절 습득 양상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의 대상인 중국인 학습자와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관계절 문법성 판단 테스트를 통하여 관계절 유형별, 모국어별로 어떤 양상이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인 명사구 접근 가능성 위계(NPAH)와 관계절의 유형, 한국어 관계절의 특징 및 유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중국어와 일본어의 관계절의 특징을 함께 정리하여 한국어의 관계절과는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연구 대상과 연구 절차, 연구 도구, 자료 분석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연구 대상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25명,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 25명으로 수도권 소재 대학의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공부하고 있는 중급 이상의 학습자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연구도구를 개발하였다. 한국어 학습자의 관계절 습득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개발한 도구는 문법성 판단 테스트이다. 관계절 유형과 시제, 용언의 종류, 선행음절의 음운적 환경, 핵어명사의 유정·무정 여부에 대해 골고루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 44문항으로 실험을 시행하였다. 이어 Ⅳ장에서는 개발한 연구도구로 실시한 실험 결과를 기술하였다. 그 결과로는 한국어 학습자의 관계절 문법성 판단 테스트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의 관계절 습득 양상 결과, 중국인과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는 주어 관계절을 목적어 관계절보다 정확하게 습득하였으며 이는 언어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명사구 접근 가능성 위계(NPAH)와 일치함을 보여준다. 관계절과 핵어명사의 기능에 따른 관계절 세부 유형인 SS(주어-주어), OS(목적어-주어), SO(주어-목적어), OO(목적어-목적어) 유형별로는 중국인 학습자와 일본인 학습자를 함께 분석하였을 때에는 OS유형, SS 유형, SO 유형, OO유형의 순서의 유의미한 점수 차이가 나타났으나, 중국인 학습자와 일본인 학습자 각각을 분석하였을 때에는 유형별 유의미한 점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관계절 유형 내에서 중국인과 일본인 학습자의 모국어의 영향에 따른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실험 대상인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경우 관계절 습득에서 모국어의 영향보다는 목표어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언급하였다. 본 연구는 관계절 습득 가설 연구를 토대로 해서 연구에 적합한 관계절 유형과 문항을 구성하여 학습자들의 관계절 습득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동안의 한국어 학습자들의 관계절에 대한 연구는 관형사형 어미의 사용 오류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관계절을 본격적으로 다룬 연구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과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계절 습득 양상이 언어 보편성에 근거한 명사구 접근 가능성 위계(NPAH)과 관련이 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내용을 종합하고 한계점을 제언으로 종결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