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홍인화-
dc.creator홍인화-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8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73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8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7357-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a genre analysis which explores the influence of various situational contexts on E-mails written in Korean. Three different types of situational context were given to examine how e-mail texts affect on different level of situational formality and relationship between sender and recipient. oth Korean Native Speakers(KNS) and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with Cambodian background(CKL) were asked to write e-mails in Korean. These e-mails were analyzed based on using qualitative method text structure aspect and linguistic styl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genre characteristics depend on various situations. It shows that text structure are formed most strictly when the situation are put in higher formality and bigger relational gap between sender and recipient. Polite and conventional expressions and chinese characters were frequently found at the same situation. The e-mails written by KNS reflect each different situational context with aspect of structure and linguistic style. Secondly, learners seem to have difficulty with structuring when it comes to high formality situation. There wasn't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from e-mail texts in the low formality situation. But when it is reversed, text structure found CKL's e-mail showed considerable differences from KNS. Most of CKS finished e-mails writing without proper closing. Lastly, CKL haven't fully understood to express linguistic style according to formal level set in the situation. Even the high-level learners didn't know how to use idiomatic expressions or chinese characters which show high level of formality. Meanwhile, in a low formal context, CKL couldn't use various endings which make style of the text more dynamic and informal. The result of present study has considerable implications for Korean language field. Firstly, it proves that it is important to provide various situational context for learners in the field. Teachers or textbooks should provide various contexts contains not only social distance but also diverse situation and its formality so that students can practice appropriate linguistic choices. Secondly, the characteristics found in an e-mails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Korean textbook especially in e-mail genre. Learners have difficulties in a high level of formality. The structure showed dramatic differences with KNS. Therefore these result ought to be applied to Korean textbook. Explicit information on text structure and linguistic style which analyzed in this study can be objective data for the Korean language field in regard of e-mail genre.;본 논문은 의사소통 상황이 수반하는 맥락적 요소가 한국어 이메일의 장르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한국어 학습자의 인식에 대하여 알아보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어 모어화자 집단 45명과 캄보디아 국적 한국어 학습자 집단 40명이 작성한 이메일 총 255편을 수집하였다. 이메일 수집은 수신자와 의사소통의 격식성이 각기 다르게 하여 수신자가 교수이며 격식적인 상황(상황 1), 수신자가 선배이며 격식적인 상황(상황 2), 수신자가 동급생이며 비격식적인 상황(상황 3)을 설정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서술하고 한국어 모어 화자 및 학습자의 담화에 대한 장르 분석을 실시한 선행 연구와 이메일 담화에 대한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다. Ⅱ장에서는 장르의 개념 및 장르 분석의 방법 및 본 연구의 분석 대상 장르인 이메일의 장르적 특성에 관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본 논문을 위한 자료 수집 방법 및 연구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이루어진 자료 수집과 분석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연구의 분석 방법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자료 수집 및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를 통해 상황에 따른 한국어 모어화자의 장르적 특성을 담화 구조 및 문체적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캄보디아인 학습자의 이메일을 비교 분석하였다. Ⅴ자에서는 연구 결과를 종합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인의 이메일의 장르적 특성은 담화 상황에 영향을 받는다. 이메일 수신자와의 사회적 거리가 멀고 담화 상황이 격식적일수록 엄격한 구조를 보였으며 내용 또한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담화 상황이 격식적일수록 관례화된 표현이나 한자어와 같은 표현이 많이 사용되며 수신자에 대한 고려에 의해 다양한 공손 표지를 사용하는 등 담화 상황에 따라 장르 지식을 구성하는 구조와 내용 및 문체적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캄보디아인 학습자는 높은 위계의 수신자에게 쓰는 이메일에 대한 구조적 특성을 이메일에 반영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낮은 위치의 수신자에게 이메일을 쓰는 상황에서는 한국인의 이메일과 결정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우위에 있는 수신자를 설정한 상황 1과 2에서는 구조적 측면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이메일 종결 단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캄보디아인 학습자는 다양한 격식성에 알맞은 다양한 표현 방법에 익숙하지 않다. 고급 학습자일지라도 상황 1에서 사용된 관례적 표현이나 한자어에 익숙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상황 3에서 한국인이 다양한 종결어미를 사용하여 이메일 담화를 동적이며 친근감 있는 문체를 유지하는 반면에 캄보디아인 학습자는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숙달도가 낮을수록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본 논문의 결과에 따라 한국어교육에 대한 의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다양한 상황적 맥락을 제공해야 함을 입증하였다. 단순히 사회적 상하 관계가 아니라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담화 상황과 의사소통 상대자와의 관계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여 학습자들이 이를 인식하여 담화 상황에 알맞은 텍스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이메일 장르에 대한 한국어 교재에 대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결과, 학습자는 사회적 위치가 높고 격식성이 강한 담화 상황에서 이메일을 작성하는 것에 어려움을 보이며 특히 구조적인 측면에서 한국인과의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사항이 한국어 교재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명시적으로 밝힌 이메일의 구조 및 내용, 문체적 특성은 이메일 텍스트의 장르의 특성에 대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데 의의를 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 연구 2 C. 연구문제 7 Ⅱ. 이론적 배경 8 A. 장르와 장르 분석 8 B. 이메일의 장르적 특성 13 Ⅲ. 연구방법 18 A. 연구 대상 18 B. 연구 절차 20 C. 연구 도구 23 D. 분석 방법 24 Ⅳ. 연구결과 26 A. 담화 구조 27 B. 문체적 특징 56 Ⅴ. 결론 81 참고문헌 86 부록 91 ABSTRACT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885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한국어 이메일에 관한 장르 분석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캄보디아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dc.title.translatedA Genre-Analytic Study of the E-mails Written in Korean : Among Korean Learners with Cambodian background-
dc.creator.othernameHong, In Hwa-
dc.format.pageviii, 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