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3 Download: 0

청소년 대상의 미술도서 현황과 미술 감상 및 비평 교육적 적합성 연구

Title
청소년 대상의 미술도서 현황과 미술 감상 및 비평 교육적 적합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ublication Status of Art Book Aimed at Teenagers and Its Appropriateness for Appreciation and Criticism Education
Authors
최윤지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숙환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the art book publications aimed at teenagers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current publications for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education.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identify problems of the current art book publications aimed at teenagers and to propose ways of improvement. In addition, ways to utilize art books in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education will be explored. In this research, 111 art books aimed at teenagers were examined. As of August 2012, these books are available from three major bookstores, Kyobo Bookstore, Youngpoong Bookstore, Bandi & Lunis Bookstore, from two major online bookstores, Aladin and Yes 24, and from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By examining the 111 books, the current status of the art book publication was analyzed. Among the 111 books, 75 book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atus of art book publications that could be utilized for the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education, and their appropriateness is evaluated.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by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of percentage and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layout variance analysis. The result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lassifying by authors, books by Korean authors took the largest portion of 75.7%, 84 out of 111 books. Classifying by contents, books on artist biography, art appreciation, and art history took the largest portions of the publications, 29.7% (33 books), 28.8% (32 books), and 20.7% (23 books), respectively. Second, books on some artists and works were redundantly published. There were a number of books on Korean artists, Jeong-hee Kim, Hong-do Kim, Yoon-bok Shin, Jeong-seon, and Jung-Seup Lee, and on western artists, Leonardo da Vinci, Michelangelo Buonarroti, Vincent van Gogh, and Pablo Picasso. Third, evaluation of the books aimed at teenagers showed that the average level of appropriateness for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education was scored as M=2.97, SD.44, which is inappropriate (higher than 2 points). Only 1 (1.3%) book was evaluated as appropriate (higher than 4 points) and 40 (53.3%) books were evaluated as average (higher than 3 points). Forth, after analysing score differences by the variables of forms, contents, specializations of authors, publication year,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from the variables of forms (t=2.24, p<.05) and specialization of authors (F=4.13, p<.05). Regarding the variable of forms, compared to the translated books, the books by Korean authors received higher scores, and regarding the variable of specialization of authors, the books by teachers received higher scores than others. Fifth, in order to study the appropriateness of the books for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methods, we evaluated the books from the aspects of description, analysis,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of artistic works. Overall, the books were evaluated as inappropriate (higher than 2 points) from the aspects of analysis (M=2.78, SD.82) and evaluation (M=2.80, SD.59) of artistic works. Sixth, from the aspect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books were evaluated as inappropriate (higher than 2 points) in the aspects of motivating self-study (M=2.78, SD.82), diversity of contents (M=2.80, SD.59), integrated approach (M=1.77, SD1.34). In summary, art books aimed at teenagers published from 2000 to August 2012 received scores lower than 3 points, which is average level of the appropriateness for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education. According to the scores by the variables, the books by Korean authors and teachers received higher scores. However, a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variable of publication year, it suggests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improvement of quality in art book publications aimed at teenagers since 2000. By solving the problems identified in this research, we expect improvement in art book publications aimed at teenagers for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education in the future. Furthermore, we expect diverse followup studies on art education program utilizing art books to be conducted.;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미술 도서의 출판 현황과 미술 감상 및 비평 교육에 대한 적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현재 청소년 대상의 미술 도서 출판 현황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미술 감상 및 비평 교육에서의 도서 활용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주요 서점인 교보문고, 영풍문고, 반디앤루니스, 인터넷 서점 알라딘, 예스24에서 2012년 8월 기준으로 판매되고 있는 도서와 국립 어린이 청소년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도서를 검색하여 청소년 대상의 미술 도서 총 111종을 수집하였고 전체 미술 도서의 출판 현황을 조사하였다. 그 가운데 감상 및 비평 학습에 활용 가능한 도서를 재분류한 뒤 총 75종의 출판 현황을 분석하고 미술 감상 및 비평 교육적 적합성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백분율과 빈도분석,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의 통계 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청소년 대상의 전체 미술도서 현황을 분석한 결과 국내서가 84종(75.7%)으로 다수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내용면에서 인물평전 33종(29.7%), 미술 감상 32종(28.8%), 미술사 23종(20.7%) 세 종류에 크게 편중되어 있었다. 둘째, 청소년 대상의 미술 도서 목록과 내용을 조사한 결과 소개하는 작품과 작가가 반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한국 작가는 김정희, 김홍도, 신윤복, 정선, 이중섭을, 서양 작가로는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란젤로, 빈센트 반 고흐, 피카소 등을 반복하여 다루고 있었다. 셋째, 청소년 대상의 미술 도서의 감상 및 비평 교육적 적합성을 측정한 결과 전체 점수 평균(M=2.97, SD.44)이 낮게 측정되었으며 이는 부적합(2점 이상)에 해당하였다. 전체 점수가 적합(4점 이상) 수준인 도서는 1종(1.3%) 이었으며, 보통(3점 이상)이 전체 75종 가운데 40종(53.3%)으로 측정되었다. 넷째, 청소년 대상의 미술 도서의 감상 및 비평 교육적 적합성에 대한 전체 점수 평균에서 변인에 따른 점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형식, 내용, 저자 전문분야, 출판년도 가운데 형식별(t=2.24, p<.05), 저자 전문 분야별(F=4.13, p<.05)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번역서(M=2.76, SD.53)에 비하여 국내서(M=3.05, SD.38)가 전체 점수 평균이 높았으며, 저자 전문분야에 따른 집단 가운데 교사가 저술한 도서(M=3.40, SD.43)의 전체 점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감상 및 비평 방법적 측면의 하위 영역별 점수에서는 작품 묘사 측면, 작품 분석 측면, 작품 해석 측면, 작품 평가 측면 가운데 작품 분석 측면(M=2.78, SD.82)과 작품 평가 측면(M=2.80, SD.59)의 전체 점수 평균이 낮게 측정 되어 부적합(2점 이상)에 해당하였다. 여섯째, 교수-학습 방법적 측면의 하위 문항에서는 주도적 학습 유도성(M=1.29, SD.84), 내용의 다양성(M=1.88, SD.76), 통합적 접근성(M=1.77, SD1.34)의 점수가 낮게 측정되었다. 이는 매우 부적합(1점 이상)에 해당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2000년 이후 2012년 8월까지 출판된 청소년 대상의 미술 도서는 미술 감상 및 비평 교육적 적합성 점수가 보통 수준인 3점 보다 낮은 점수 분포를 보였다. 변인에 따른 점수를 비교한 결과 국내서와 교사가 저술한 도서가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출판년도에 따른 변인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우리나라 청소년 대상의 미술도서가 2000년 이후 질적 변화 없이 출판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앞으로의 청소년 대상의 미술 도서 제작에 있어서 본 연구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된 점을 개선하여 감상 및 비평 교육 활용에 보다 적합한 도서가 출판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미술 도서를 활용한 미술 감상 및 비평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후속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