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1 Download: 0

시각디자인 수업에서 스캠퍼 기법이 아이디어 발상에 미치는 영향

Title
시각디자인 수업에서 스캠퍼 기법이 아이디어 발상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Influence of Scamper Method is Visual Design Class on Idea Thinking : Focusing on Specialized High School Third Graders
Authors
조은지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숙환
Abstract
Specialized schools are being operated for education course of employment rather than entering university. In department class, the whole course of design processor is operated for a long time to build technicians and focus on achieving technical computer graphic related program function education and certifications. The most difficult part students feel about in current education is making ideas which is the first step in design. In this environment of specialized high schools, it was thought to change the education method to have interest in the idea thinking step and actively concentrate. Among various thinking methods, thought skills of check list was used to more easily make ideas and develop them with a visual design class applying the scamper method. Therefore this study has purpose in looking into the influence of scamper method on idea thinking in visual design class based on specialized high school third graders. For this,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study subject to 50 third graders in I specialized high school located in Gyeoggi-do Ilsan and 8 periods were conducted in 50 minute classes by dividing the subjects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25 subjects and a control group of 25 subjects. Before conducting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two groups were same groups by homogeneity test on scholastic achievement results and idea thinking area through assessment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n, visual design class was conducted by traditional visual design class was conducted by traditional instruction method without special thinking guidance in the control group.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visual class applying the scamper method on idea thinking, before-after tests were conducted and analyzed by the change in academic achieve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o add fairness in the assessment results, the researcher was included to grade with 4 design workers working at the specialized high school. To verif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which visual design class was conducted by scamper method applied visual design class and control group in which visual design class was conducted by traditional visual design class was conducted by traditional instruction method without special thinking guidance, SPSS win 18.0 statistics program was used. Corresponding sample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after tes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the after test. Also,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results for after study satisfaction surve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 before·after difference verification on idea thinking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dea thinking was improved in the after test of 0.64 point increase of experimental group with applied scamper method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t was shown that there was positive effect on idea thinking improvement of students with visual design class with applied scamper method as i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for difference verification on after tests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of idea thinking, average score of experimental group was shown to have better idea thinking of 4.47 points than the control group which was 3.91. It was shown that there was positive effect on idea thinking improvement of students with visual design class with traditional instruction method as i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for difference verification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ests by idea thinking subordinate areas, it was that a total of 6 areas in delivery ability, thinking ability, expression ability, forming ability, work completeness, preparation and attitude were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lusion with these results, it was shown that instruction method with scamper method in visual design class increases concentration and confidence to increase several assessment areas and that it is proper to influence design with creative ideas in formative form. Also, it was shown that positive effect can be effected if thinking method is specifically instructed with plans to third graders of specialized high school design department students who have studied basic design theories for 2 years. However this study is subject to minority students of particular school that there is some difficulty to generalize these results to all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ith limits, it was verified through this study that visual design class applying the scamper method has positive influence on idea thinking. Therefore if study subjects and applied classes are expanded through various thinking method instruction by some modifications, definite effect on idea thinking that students feel most difficult can be expected. Also, this has meaning to expand the used range of scamper method in education scenes.;특성화 고등학교의 취지는 학업을 위한 대학 진학보다는 취업을 위한 교육과정으로 맞춰져 운영되고 있다. 학과수업에서도 디자인 프로세서의 전 과정을 오랜 시간 동안 학습하여 작업을 진행하기보다는 취업을 위한 기능인 양성을 위해 기술적인 컴퓨터 그래픽 관련 프로그램 기능 교육 및 자격증 취득에 중점을 두고 있다. 취업을 위한 기능 중심의 현 교육실태 속에서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것은 바로 디자인의 첫 단계인 아이디어 발상 단계이다. 이러한 특성화 고등학교의 환경 속에서 아이디어 발상 단계에서부터 흥미를 갖고 좀 더 집중력 있게 적극적으로 디자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교육 방법의 변화를 생각해 보았고, 다양한 발상법 중 발상과정에서 체크리스트의 사고 기술들을 이용하여 주어진 질문에 따라 사고를 전개시키므로 보다 쉽게 아이디어를 발상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스캠퍼 기법을 활용한 시각디자인 수업을 통해 발상 지도를 실시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디자인 수업에서 스캠퍼 기법이 아이디어 발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특성화 고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경기도 일산에 위치한 I 특성화 고등학교 디자인과 3학년 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각 25명의 실험집단과 25명의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50분 수업에 총 8차시에 걸쳐 진행하였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수행평가를 통한 학업성취도 결과와 아이디어 발상 영역에 대한 동질성 검사를 통하여 두 집단이 동질집단임을 확인한 후 실험집단에서는 스캠퍼 기법을 활용한 발상 지도를 통해 시각디자인 수업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서는 특별한 발상지도 없이 전통적인 교수법으로 시각디자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리고스캠퍼 기법을 활용한 시각디자인 수업이 아이디어 발상에 미치는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수행평가를 통한 학업성취도 변화를 영역별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수행 결과물 평가는 공정성을 기하기 위해서 연구자 본인을 포함하여 특성화 고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디자인 교사 4명이 공동 채점하였다. 평가 결과를 통해 스캠퍼 기법을 활용한 시각디자인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과 특별한 발상지도 없이 전통적인 교수법으로 시각디자인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을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검증하고자 수집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win 18.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고, 사후검사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 학습만족도 설문조사는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수행평가 평균점수에 대한 사전·사후검사 차이검증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통제집단과 달리 스캠퍼 기법을 활용한 실험집단이 0.64점 증가하여 사후검사에서 평균점수가 향상 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스캠퍼 기법을 활용한 시각디자인 수업이 학생들의 아이디어 발상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행평가에 대한 사후 검사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검증 결과는 실험집단의 평균점수는 4.47점, 통제집단의 평균점수는 3.91점으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아이디어 발상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통적인 교수법을 적용한 시각디자인 수업보다 학생들의 아이디어 발상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행평가 기준표에 의한 하위영역별 실험·통제집단의 검사 차이검증 결과는 주제이해 및 전달력, 발상력, 표현력, 조형력, 작품 완성도, 준비 및 태도 총 6가지 영역 모두 실험 집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 연구가 시사하는 점은 시각디자인 수업에서 스캠퍼 기법을 활용한 발상 지도는 학습자를 집중시키고 자신감을 높임으로서 여러 평가 영역에서 학업성취도가 높아지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로 창의적이고 짜임새 있는 디자인을 할 수 있도록 영향을 주는 것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년 간 디자인의 기본 이론과 과정이 학습되어 있는 특성화 고등학교 디자인과 3학년 학생들에게 발상법을 구체적으로 계획성 있게 지도한다면 더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특정학교의 소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이므로 이 결과를 모든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제한적으로나마 본 연구를 통해 스캠퍼 기법을 활용한 시각디자인 수업이 아이디어발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그러므로 스캠퍼 기법 외에 또다른 다양한 발상법 지도를 통해 좀 더 수정 및 보완을 거치고 연구 대상 및 수업 시수를 확장하여 수업을 해본다면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아이디어 발상에 대해 확실한 효과성을 입증할 수 있으리라 기대해본다. 그리고 모든 디자인은 아이디어 발상단계가 매우 중요하므로 시각디자인 외에 다른 여러 디자인 분야에서 발상법을 구체적으로 지도하고 활용해나간다면 발상력 향상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영역별로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특성화 고등학교 교사들은 취업과 기능인 양성이 목적인 것은 맞지만 결과 중심보다는 주로 무기력하고 학습 의지가 약한 학생들이 과정에서 흥미를 느끼고 집중력을 높여 스스로 다양한 사고를 할 수 있도록 아이디어 발상단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수업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것은 본 연구에서도 입증되었으며 아이디어 발상을 통한 사고의 확장은 결국 학업성취도의 향상을 가져오게 되므로 끊임없이 새로운 방식을 모색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렇게 본 연구는 디자인 교육 현장에서 스캠퍼 기법의 활용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자료로서의 의의를 갖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