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숙환-
dc.contributor.author박선주-
dc.creator박선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3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2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5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261-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는 천재성의 시대라고 한다. 중세 예술과 과학을 아울렀던 뛰어난 재능의 소유자인 미켈란젤로와 레오나르도 다빈치처럼 21세기 현대사회는 경계를 넘나드는 유연하고 다양한 이성적 사고를 겸비한 천재성을 요구하고 있다. 각 분야대로 고립된 학문 속에 갇혀 성장, 발전하려는 시도보다는 21세기적 패러다임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상상력과 확산적인 사고를 키울 수 있는 통합적 교육 환경의 변화가 중시되어야 한다. 최근 학문 간의 뚜렷한 경계선이 약화되는 추세를 보이면서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도 교과 내 각 영역별의 연계와 타 교과와의 통합교육을 언급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미술교육에서도 전통적인 미술교과만의 단편적인 내용에서 벗어나 통합교육에 대한 새로운 형태의 교육과정, 교육환경, 교수학습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학교 교육과정에서 실행할 수 있는 미술교과와 과학교과의 통합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해당 단원의 통합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방향에 맞게 다음과 같은 목적 및 연구절차와 방법으로 연구를 실행하였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미술과 과학교과의 통합수업이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통합교육의 의미와 필요성, 유형과 특징을 알아보고 미술교과와 과학교과의 통합적 접근의 교육적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연구대상에게 적용된 미술과 과학 교육과정과 그 내용체계, 연구대상 학생들이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의 단원을 분석하여 통합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학습 단원 및 내용을 추출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미술과 과학 통합수업 내용을 고안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서초구에 소재한 S고등학교 1학년 두 개의 학급 총 70명으로 실험집단 35명, 통제집단 35명으로 구성하였다. 2012년 10월 23일부터 11월 6일까지 실험집단에는 미술과 과학과의 통합수업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두 집단 모두 50분을 기준으로 10차시에 걸쳐 수업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자는 통합교육의 유형에서 포가티(Fogarty, 1991)모형 중 주제중심 교과 통합인 거미줄 모형을 선택하였고, 수업의 형태는 전체학습과 개별학습으로 하였다. 각 집단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변화의 측정을 위해서 설문지와 평가지를 이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평가 결과를 통해 미술과 과학교과의 통합수업을 받은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미술과 과학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을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나는지 검증하였다. 또한 실기활동을 통해 도출된 개별 작품을 창의적 표현력 평가도구를 통해 채점자 3명이 점수를 측정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은 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증을 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사용하였고, 모든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WIN 18.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탐구 및 호기심, 자신감, 관련성, 만족감, 동기지속에 관한 학습동기 검사에 있어서 미술과 과학 통합수업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한 통제집단과는 다르게 높은 증진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과학 지필평가에 있어서 미술과 과학 통합수업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한 통제집단보다 높은 증진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적 표현력 평가의 하위 영역인 주제표현, 표현방법, 조형요소와 원리, 표현재료를 구성하는 창의성 요소에서 미술과 과학 통합수업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한 통제집단보다 주제표현, 표현방법, 표현재료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기평가 전체의 경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점수를 보면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써 교과통합을 통한 표현력의 향상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고등학교 1학년 미술과 과학의 통합수업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미술수업이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필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통합수업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또한 고등학교 현장에서 통합수업의 활용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의의를 갖는다. 21세기를 살고 있는 학습자들이 통합적 교수-학습을 통하여 학습에 대한 흥미뿐만 아니라 미술 표현능력 향상, 미술과 과학의 지적 성장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그리고 미술교과가 타 교과와 더욱 다각적으로 통합되어 학교 교육현장에서 활용되고, 새로운 학교수업형태의 발판이 되기를 기대한다.;The 21st century is known as the period of genius. The 21st century requires the sense of genius including flexibility and variety which cross the boundary such as Michelangelo and Leonardo Davinchi who have great ability which embrace the Mie age's art and science areas. Better than trying to increase and improve by isolated study in each areas, to foster the talented person who has paradigm of 21st century, the changes of integrated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point out which can increase the creativity and divergent thoughts. Currently, the clear boundary between studies are showing weakness, we can see that 2007 revised educational progress mentioned that subject's each area's connection and other subject's combinative education. Thus, in art education, should be rid of traditional art subject's fragmentary context, it requires to develop the new form of educational progres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professor learning method for combinative education. So this researcher created the combinative class program of art and science which can practice in school educational progress to suggest the chapter's combinative educational direction. By fitting study's direction, we progressed the research by below purpose and progress of research and method. This study has a purpose is to comprehend the influence of combinative class of 1st grade of high school's art class to motive of study and achievement rate of study. The theoric background of this study is that to knowing the meaning of combinative education, necessity, type and characteristics and finding the educational meaning of art and science subjects' combinative approach. Also analyze the art and science educational progress which applied to research object and content's system and textbook's chapters which used by research object students' to extract the study chapter and content that can synthetically approach. The object of this research was 70 students of S high school which located in Seocho-Gu, Seoul's 1st grade's 2 classes and consisted them into experiment group of 35 students and control group of 35 students. We progressed combinative class of art and science from Oct. 23th, 2012 to Nov. 6 to experiment group and for control group, we had traditional professor-learning program class. Both groups had 50 minutes of class and 10 times. This researcher selected web form that is combination of centralled subject in the middle of Fogarty form in combinative education model and the form of class was whole learning and individual learning. To measure each group's motive of study and achievement rate of study, we used survey and evaluation paper to have befor and after test and through that evaluation result to compare experiment group who had combinative class of art and science and control group which had general art and science class to analyze if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Also 3 of grader measure the grade of each work through creative and expressive evaluation too which deduct through practice activity. The method of data handing, to prove the beforehand same quality between groups, we used t-test of independent example, and statistic handling of all collected data analyzed by using SPSS WIN 18.0 statistic program.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below. First, in motivation of learning evaluation including research and curiosity, confidence, relation, satisfaction, durability of motive, the experiment group which had combinative class program of art and science showed higher increase effectiveness than control group which had traditional professor-learning program. Second, in paper evaluation of art and science, experiment group which had combinative class program of art and science showed higher increase effectiveness than control group which had traditional professor-learning program. Third, in creative element which consist subject expression, expression method, sculpture element and principle and expression material which is lower area of creative expressive evaluation, the experiment group which had combinative class program of art and science showed more increasing affirmative effectiveness in express of subject, method of expression and expression materials than control group which had traditional professor-learning program. In conclusion, the combinative class program of 1st grade in high school has affirmatively affected in students' motivation of study and increasing achievement rate of studies. This research has a meaning of prove combinative class's educational effect by studying the art class's effectiveness of motivation of study and achievement rate of study. Also it has the meaning of basic data to expand application area of combinative class in high school place. Hopefully, students who are living in 21st century would have not only interest of study but also improvement of art expression ability and help intellectual increasement of art and science through combinative professor-learning program. Also the art subject would combine in multilateral ways with other subjects to use in educational place in school and expecting the foothold of new school class form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내용 및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5 A. 통합교육의 이해 5 1. 통합교육의 의미와 필요성 5 2. 통합교육의 유형과 특징 9 B. 고등학교 미술과와 과학과의 통합적 접근 13 1. 미술과의 특징 13 2. 과학과의 특징 17 3. 미술과와 과학과의 통합적 접근의 교육적 의의 24 Ⅲ. 연구방법 28 A. 연구대상 및 절차 28 1. 연구대상 28 2. 연구절차 32 B. 연구도구 34 1. 수업도구 34 2. 평가도구 70 C. 자료처리 77 Ⅳ. 연구결과 및 논의 78 A. 연구결과 78 1. 학습동기 78 2. 학업성취도 84 B. 논의 94 Ⅴ. 결론 97 참고문헌 100 부록 104 ABSTRACT 14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5085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고등학교 1학년 미술과와 과학교과의 통합수업이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to Motivation of Study and Achievement Rate for Rate of 1st Grade of High School's Combinative Class of Art and Science-
dc.creator.othernamePark, Seon Ju-
dc.format.pagexi, 14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