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용-
dc.contributor.author박근이-
dc.creator박근이-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1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2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3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210-
dc.description.abstractAs public education in Korea had been blamed for cramming for entrance examination, unification and dehumanization, alternative education movement started in mid 1990's for solution of these problems and resulted in establishment of various alternative schools. While the visual culture and arts become a key word in current age, fine arts education in public schools conflicts with such requirements of the times and shrinks in a site of education. It is caused by lack of concern of the subjects of education and by reduction of school hour for fine arts following the 7th School Curriculum of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 Under the circumstance, it is meaningful to study fine arts education in alternative schools as one of solutions for problem with that in public schools.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research the status of fine arts education in alternative schools and to analyze that. Subjects of the study are following; 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operation of fine arts education? 2) What are the meaning and objective of fine arts education? 3) What are criteria for selecting educational contents, contents itself, and materials for education? 4) What are characteristic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instructional media, and process of education? 5) What are weighted on in evaluation methods and in evaluation process? 6) What is the satisfaction level of students with fine arts education in alternative schools? 7) What are overall differences with fine arts education in public school and difficulties in fine arts education in alternative schools in teacher's point of view? What are overall differences with fine arts education in public school and things to be wanted in student's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five specialized high schools - Yangeob, Doorae, Seine, Dongmyoung, and Sanmaeul high schools among all alternative schools, which was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with fine arts teachers and student surveys in each school as well as referring to books, articles, and documents.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ine arts classes are allocated almost evenly among all grades for two hours Second, the meaning of fine arts education which is intended in alternative schools is to help students enjoy fine arts throughout their whole life. Objectives of the fine arts education are for students to know their own taste of fine arts as well as to enjoy the class. Third, educational contents, including appreciation of fine arts works and theories related to expression, which are selected considering interests and needs of students have much influences students on enhancement of an eye for fine arts. Fourth,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fine arts education consist of various methods frequently using visual media, such as lectures, demonstrations, discussions, collaborations, field trips and so on. Interests of students are primarily considered in selecting media, and in process of education expression process and motivation are. Fifth, evaluation methods of fine arts education in alternative schools consist of performance assessment considering attitude, process and results and paper & pencil test but efforts and accomplishment are considered more important. Sixth, more than half of students in alternative schools are satisfied with allocation of fine art class, get interested in overall fine arts and feel achievement or confidence through fine arts class according to results of student survey. Students are also satisfied with new contents considering their interests/requests, various methods/media and evaluation based on process. Seventh, as overall difference from public school, alternative schools are more flexible to choose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and easier to communicate interactively thanks to less students in school. On the other hand, it is hard to share educational information/data/idea with other teachers in other schools due to separated location. Comparing with fine arts education of public school, students are satisfied with overall fine arts education and feel difference in contents/method/atmosphere/attitude of teachers. Additionally students wanted more various and new activities in fine arts class. Characteristics of fine arts education in alternative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ine arts classes in alternative schools are allocated relatively more than those in public school. Second, to enjoy fine arts in throughout their whole life is highly emphasized on. Third, opportunities of various and new experience are offered. Forth, meanings and the objective of fine arts education are consistently pursued through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scheme. Fifth, characteristics of alternative school based on Philosophy of Child-centered Education are shown. Sixth, small number of students makes it easier to communicate interactively between each others including teachers and to monitor continuously and individually. Although there would bea limitation to generalize fine arts education in alternative school because of different status of public schools, this study could present a direction to improve fine arts education in public school as an alternative. ;우리나라 학교교육은 입시위주 교육으로 인해 비인간화, 개성이 무시된 획일화 교육, 주입식 교육 등으로 특징지어져 비판받아 왔으며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하나의 방편으로 199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인 대안교육운동이 시작되어, 그 실천으로 다양한 형태의 대안학교가 운영되고 있다. 시각문화예술이 시대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는 반면 시각문화예술과 직결되는 학교의 미술과 교육은 시대적 요구와는 상반되게 학교와 학부모, 학생들의 낮은 관심과 제 7차 교육과정으로 인한 수업 시수의 축소로 교육현장에서 위축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학교교육에서 미술과 교육의 문제를 되짚어보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한 방편으로, 대안학교에서 이뤄지는 미술과 교육을 조명해 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안학교에서 이뤄지는 미술과 교육의 현황을 조사하고 특성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과 운영의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미술과 교육의 의의 및 목표는 무엇인가? 셋째, 미술과 교육내용의 선정기준, 교육내용, 주로 사용하는 재료는 무엇인가? 넷째, 미술과 수업에서 이용하는 교수·학습방법과 교수매체, 수업과정에서 중점이 되는 부분은 무엇인가? 다섯째, 미술과 수업에서 이용하는 평가방법, 평가 시 중점이 되는 부분은 무엇인가? 여섯째, 대안학교 미술과 교육 전반에 대한 학생의 수용정도는 어떠한가? 일곱째, 대안학교 미술과 교육 일반으로서, 교사입장에서 일반학교와의 차이점 및 어려운 점과 학생입장에서 미술과 교육 만족도, 일반학교와의 차이점 및 요구사항은 무엇인가? 연구대상은 특성화고등학교 형태로 운영되는 양업, 두레, 세인, 동명, 산마을고등학교 등 총 5개의 대안학교이며, 연구방법은 각 학교의 미술과 교사와의 면접과 학생대상의 설문조사, 그리고 부수적으로 문헌 및 자료를 통해 조사연구 하였다. 대안학교의 미술과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안학교에서 미술과는 대부분 고등학교 1·2·3학년에 고르게 편성되어 2시간으로 운영된다. 둘째, 미술과 교육의 의의를 학생들이 미술을 가깝게 느끼고 즐김으로써 삶에서 향유할 수 있는 것에 두며, 목표는 학생들이 미술 수업을 즐겁게 보낼 수 있고, 미술에 대한 인식을 가짐으로써 미술을 향유 할 수 있는 것에 둔다. 셋째, 다양하고 새로운 체험을 기준으로 학생의 흥미와 요구를 반영하여 교육내용을 선정한다. 작품감상과 미술사, 표현과 연계된 이론 등을 교육내용에 함께 포함하여 미술영역의 확장, 미적안목 향상의 기회를 준다. 넷째, 교수·학습 방법으로 토의, 협동학습, 현장견학 등이 다양하게 활용되고, 교수매체로 다양한 시각매체와 프레젠테이션 프로그램과 인터넷을 활용한다. 또한, 표현과정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유발을 중시하여, 학생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매체를 선택한다. 다섯째, 미술과 평가는 지필평가와 수행평가로 구성되며, 수행평가에서는 는 결과물의 기술적 표현력보다 학생들이 수행과정에서 보여주는 태도, 학생의 노력, 성취도에 중점을 둔다. 여섯째, 과반 이상의 학생이 미술과 수업시수가 적당하다고 생각하고, 미술과 교육을 통해 미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성취감과 만족감을 느낀다. 또한, 다양하고 새로운 교육내용과 재료를 체험하고, 교육내용에 학생의 흥미와 요구가 반영되며, 이론수업은 표현활동 및 미술의 이해를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미술과 교수·학습방법에 있어서는 다양한 교수·학습방법과 교수매체가 활용되며, 이는 수업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인식한다. 또한 과정을 중시하는 평가에 전반적으로 만족해한다. 일곱째, 대안학교의 미술과 교사는 대안학교에서 미술과 교육이 일반학교와 달리 교사의 재량으로 수업의 다양한 전개가 가능하고, 학생정원이 적어, 학생과의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뤄진다는 의견을 갖고 있다. 한편, 어려운 점으로는 교사의 자기 계발의 여유 부족, 재료준비의 불편함이 있다고 답했다. 학생들은 전반적인 미술과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일반학교와 비교해 다양하고 새로운 체험의 기회, 개인을 존중하는 교사의 태도 등이 다르다고 생각하며, 미술과 교육에 더욱 다양하고 새로운 체험을 원하고 있다. 대안학교의 미술과 교육의 현황을 통해 특성을 분석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과 편성 비중이 비교적 높다. 둘째, 미술의 향유를 강조한다. 셋째, 다양하고 새로운 체험의 기회를 제공한다. 넷째,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를 통해 미술과 교육의 의의 및 목표가 일관성 있게 실천된다. 다섯째, 아동중심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대안교육의 특성을 지닌다. 여섯째, 교사와 학생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하다. 대안학교에서의 미술과 교육을 살펴본 바, 대안학교와 일반학교는 특성과 상황이 다르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시사점이 일반학교 교육에의 적용에 일정부문 한계가 있으나 하나의 대안으로서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및 방법 = 2 C. 용어의 정의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대안학교에 대한 이론적 고찰 = 5 B. 특성화고등학교에 대한 이론적 고찰 = 15 C. 제 7차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 19 Ⅲ. 연구방법 = 26 A. 연구대상 = 26 B. 연구방법 및 절차 = 30 C. 측정도구 = 33 D. 분석방법 = 35 Ⅳ. 연구결과 = 36 A. 대안학교에서 미술과 교육과정 운영 = 36 B. 대안학교에서 미술과 교육과정 실제 = 41 C. 학생의 미술과 교육 수용 = 60 D. 대안학교에서 미술과 교육 일반 = 67 Ⅴ. 결론 = 75 참고문헌 = 79 부록Ⅰ = 82 부록Ⅱ = 84 ABSTRACT =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982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대안학교에서 미술과 교육 현황-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특성화고등학교를 중심으로-
dc.format.pagex, 9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