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2 Download: 0

수묵화 표현 교육의 흥미향상을 위한 지도방안

Title
수묵화 표현 교육의 흥미향상을 위한 지도방안
Authors
한경아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숙환
Abstract
From the enlightenment period of the late 19th century, the Korean society started its swift westernization. In this process, western culture was regarded as an ideal whereas our traditional culture was looked down. This phenomenon also influenced art education. Art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by focusing mainly on western art instead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As a result, students had only limited access to traditional art in the educational field. These students who have been exposed to mainly western art education do not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art, and even have a wrong conception of it. Particularly Muk painting(Black and white painting), a part of our traditional art, has been recognized up to now as a dull and abstruse painting.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criticize the art education that has neglected traditional art, and try to draw attention upon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For the sake of a vibrant traditional art education, I would like to focus especially on ways to make Muk painting flourish in the art education field. This is because in elementary art education, teaching Muk painting expressions can develop the learners ability to express oneself creatively and help the learner to form a well-rounded personality. It is also because learners may discover the artistic value of traditional aesthetics and formulate an attitude that they should succeed and develop this artistic value through Muk painting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educational methods that enable learners to draw Muk painting with pleasure and enhance the learners' interest towards it. For this purpose, preceding researches on Muk painting education were conducted as shown below. First, on the basis of our understanding of Muk painting, the educational effect of Muk paint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examined, particularly by analyzing the text book to see how Muk painting is being taught in the current curriculum. A practical step by step Muk painting instructing method that can be applied in the classrooms to intrigue the students' interests is induced from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is step by step instructing method was approached in three subsequent steps; Searching materials and tools, Basic expression technique, and Advanced expression technique. Each step of activity was consisted of interesting contents and the educational effect of each activity was examined. Details of each step are shown below. The first step, Searching materials and tools, focused on how to use materials and tools, rather than what should be drawn or expressed. The second step, Basic expression technique was designed to compare western style and traditional style by drawing a western style crayon pastel painting with the traditional Muk painting technique, and learn its style through this comparison. On the basis of the prior two steps, the last step, Advanced expression technique, was designed to use Moving dot, an Asian method of observation, to express a given theme with an Asian way of thinking. Also, example pieces were presented at each step in order to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art and Muk painting. Through the appliance of this step by step instructing method and other survey questions to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students had a unique experience that could only be felt in Muk painting, and the integrated step by step expression training aroused their interest in Muk painting. This curriculum which was aiming at increasing the amusement of drawing Muk paintings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er's interest towards traditional art. Second, this method helped the learners to enhance expressing abilities by strengthening the understanding of Muk painting, the ability to select and use materials and tools, the ability to use appropriate expression techniques, and the ability to learn the elements of form and shape. Third, the Muk painting expression activity which utilized Muk painting material and its elements of form and shape broadened the learner's thought process and helped them enhance their creative expressions. By reviewing former studies, this research discovered that the step by step instructing method is not a process that only enables the students to learn trivial techniques in art education, but also a possibility for the students to enhance creative expression. Therefore, I believe that this research is indicating the direction which our future art education should aim at.;개화기를 정점으로 우리 사회는 급격히 서구화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서구의 문화를 이상으로 삼고 우리의 전통문화에 대해서는 도외시하는 현상이 초래되었다. 서구문화의 무차별한 유입은 미술교육에도 영향을 끼치게 되어 전통미술교육보다는 서양화 중심의 미술에 초점을 맞추어 미술교육이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은 교육현장에서 전통미술을 이해하고 접할 기회를 제한 받게 되었다. 서구 중심 미술교육을 받은 학생들은 전통미술의 중요성을 깨닫지 못하고 전통미술을 흥미 있게 접할 기회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전통미술에 대해 잘못 인식하고 있다. 특히 전통미술의 한 영역인 수묵화에 대해서 재미없고 어려운 그림이라는 인식이 강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지금의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전통미술이 도외시되었던 미술교육에 문제점을 제기하고 전통미술교육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통미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연구자가 특히 주목하고 싶었던 것은 수묵화 교육의 활성화 방안이다. 초등미술에서 수묵화 표현 교육은 학생들에게 창조적 표현능력을 키워 주고, 전인적인 인격형성에 기여 하며 전통미의 미적 가치를 발견하고 이를 계승·발전시킬 수 있는 태도를 형성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수묵화에 흥미를 갖고 표현할 수 있는 지도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통하여 학생들의 수묵화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우선 수묵화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초등학교에서 수묵화 교육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현행 교육과정에서 수묵화가 어떤 방향으로 교육되는지 교과서를 분석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흥미향상을 위한 수묵화의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수묵화 표현의 흥미향상을 위한 지도방안은 재료와 용구의 탐색, 기초 표현기법 단계, 심화 표현 단계의 3단계로 구분하여 접근하였으며, 각 단계마다 흥미 있는 활동 내용을 구성하여 활동 학습 효과를 알아보았다. 각 단계별 세부 사항은 다음과 같다. 재료와 용구의 탐색 단계는 '무엇을 표현할 것인가?'보다 '어떻게 재료와 용구를 활용하여 흥미 있게 표현할 것인가?'에 주안점을 두고 유희적으로 구성하였다. 기초 표현기법 단계에서는 서양의 크레파스화를 전통수묵화 표현기법으로 옮겨 표현해 봄으로써, 두 영역의 표현기법 비교를 통하여 수묵화 표현기법을 학습하도록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심화 표현 단계는 전 단계의 표현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동양의 관찰방법인 이동시점투시를 이용해서 주제를 동양적인 사고로 표현해 보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각 단계에서 참고 작품을 제시하여 전통미술과 수묵화의 관계에 대해 파악하도록 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도안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생들은 수묵화에서만 느낄 수 있는 재료가 지니는 조형요소, 표현기법, 수묵의 정신성 등을 경험하였다. 수묵화의 표현활동이 쉽고 유희적으로 이루어져 수묵화에 대한 흥미가 높아졌다. 또한 수묵화 표현의 흥미향상을 위한 수업이 학생들의 전통미술에 대한 관심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수묵화에 대한 이해와 재료와 용구의 사용능력, 표현기법 활용능력, 조형요소의 학습 등이 표현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 셋째, 수묵화의 재료와 그것이 만드는 조형요소의 특징을 활용한 수묵화 표현활동이 학생들의 표현적 사고의 폭을 넓혀 주었고, 창의적 표현에 도움을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묵화 표현의 흥미향상을 위한 지도방안을 적용함으로써 미술교육에서 수묵화 교육이 표현기술의 숩득을 위한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함으로써 수묵화에 관심을 가질 수 있고 창의적 표현활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앞으로 우리 미술교육이 지향해야 될 바를 제시해 주는 기틀이 되길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