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8 Download: 0

인터넷을 활용한 영어독해활동이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독해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인터넷을 활용한 영어독해활동이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독해능력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조은정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종임
Abstract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영어교육은 세계화와 정보화 시대의 요구에 대응하고자 한다.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고 있는 우리나라 영어학습자들은 영어로 제공되는 무수한 인터넷 정보 속에서 가치 있는 정보를 취사 선택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정확하고 빠른 영어독해능력이 필요하다. 또한 교육에 있어 구성주의가 등장하면서 학습자 주도의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이 교육매체로서 활용되어 영어독해학습에 있어 효율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2학년 영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10주 동안 20차시에 걸쳐 인터넷을 활용한 영어독해활동을 실시하였다. 동시에 독해전략훈련이 영어독해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학습자의 인지양식과 독해전략훈련이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사후 일반독해능력을 검증한 결과, 요지 찾기 및 특정 세부 정보 찾기 전략을 훈련받은 실험집단과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이는 독해전략훈련이 일반독해능력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둘째, 독해전략훈련과 관련하여 요지 찾기 능력평가와 특정 세부 정보 찾기 능력평가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7차 교육과정에 있는 고등학교 2학년 학습자들이 요지 찾기 전략을 필요로 하는 하향식 독해과정에 익숙하고, 이를 활용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인터넷을 활용한 영어독해활동을 통해 교사의 직접적인 독해전략훈련을 받지 않은 통제집단의 학습자들은 스스로 학습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 무의식적으로 요지 찾기 전략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전략을 교사가 직접 교수하기도 하지만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할 때에도 전략에 적절한 활동을 제공하면 학습자가 스스로 전략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사후 특정 세부 정보 찾기 능력평가에 있어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그러나, 공분산분석 결과에 따르면 독해전략훈련이 특정 세부 정보 찾기 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특정 세부 정보 찾기 능력의 향상이 전략훈련의 효과가 아니며,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서 인터넷을 활용한 영어독해활동에 비교적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는 점에서 정의적 영역의 영향으로 보인다. 셋째, 학습자의 인지양식과 독해전략훈련과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통제집단의 경우 장독립적 학습자들만이 일반독해능력이 향상된 반면 실험집단의 경우에는 학습자의 인지양식과 상관없이 모든 학습자들의 일반독해능력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장독립적 학습자의 경우에는 명시적인 독해전략훈련을 받지 않더라도 독해전략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반면, 장중립 및 장의존적 학습자들의 경우에는 명시적인 독해전략 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넷째, 인터넷을 활용한 영어독해활동에서 독해전략사용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를 조사한 결과, 집단 별 독해전략사용태도는 사전·사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온라인 정보 찾기 활동을 통해서 두 집단 모두 독해전략을 선택하고 사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섯째, 인터넷을 활용한 영어독해활동에 대한 흥미도는 통제집단의 경우 사후에 감소하였으며, 실험집단의 경우 사후에 흥미도가 다소 높아지기는 했으나 사전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의 영어독해능력에 비해 실제적인 자료로 제공되는 인터넷 사이트가 어려웠고, 20차시동안 동일한 독해활동만을 제공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인터넷을 활용한 영어독해활동이 필요한가에 대한 조사에서는 두 집단 모두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이는 언어입력자료로서 인터넷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상에서 본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인터넷을 활용한 영어독해활동이 학생들에게 실제적이고 다양한 영어자료에 노출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하기 때문에 한국 고등학생의 독해능력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또한 인지양식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지속적인 성향으로 전략교수를 통해 선호하는 독해전략이 쉽게 바뀌는 것은 아니며, 독해전략과 인지양식간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장독립적 학습자와는 달리 장중립 및 장의존적 학습자의 경우에는 명시적인 독해전략훈련에 의해 영어독해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독해능력을 효과적으로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학교 수업에서 독해선행활동이나 심화학습으로 인터넷을 활용하여 다양한 영어독해활동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인터넷을 활용한 영어독해활동에 독해전략을 병행하면 그 효과가 더 높아질 수 있으므로 교사는 다양한 독해자료를 활용하여 학습자들이 적합한 독해전략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goal of English education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s focused on the globalization and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t is clear that most of internet-based information is communicated, related, transmitted in English. Korean people, who lear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must be able to identify and sort out the valuable information from the immeasurable pool of information. Therefore, they need to acquire information literacy, it is where reading comprehension should be the foundation. Moreover,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by introducing Constructivism in education, the subject of learning has been changed from the teacher to the student. It is focused on the learner-centered and the task-centered learning. Internet, which can be used for the learner-centered learning, can help learners study reading in English effectively. One of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reading strategy training has an influence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while they are studying English by utilizing the internet-based reading activities. This study also reports on an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cognitive styles field dependence/independence and reading strategy training. Participants who took part in this study were 107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20 times for 10 weeks. Participants classified as field dependent, field neutral, and field independent were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and a treatment group. The control group was asked to use the internet-based reading activities and the treatment group was offered reading strategy training in addition to the internet-based reading activities. The participants took three types of reading comprehension test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Every reading activity sheet was given as the individual homeworks and each activity was continued in the classroom, which was shared in the group. Participants filled out questionnaire for reading strategy use and attitude toward internet-based reading activitie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eral reading comprehension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treatment group after the experiment. It shows that reading strategies training could help the students' general reading comprehension improve significantly.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internet-based reading activities(on-line scavenger hu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wo groups' general reading comprehension. Secondly,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treatment group in global understanding test. This result means that learners in the both groups need to use global understanding strategy in the internet-based reading activities, and that seems to cause them to use the strategy unconsciously without the teacher's explicit training. But, the study found the signig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local understanding in the post-test. This resulted from not reading strategy training but the treatment groups' positive attitudes on the internet-based reading activities. Thirdly, data analysis didn't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field dependence/independence and reading strategy training. The field dependent/neutral/independent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improved in their general reading comprehension, but the only field independent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did. That result indicates field neutral/dependent students need to be trained by a teacher with regard to reading strategy. Fourt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he two questionnaires for reading strategy use and attitudes toward internet-based reading activities. Learners in the control group lost interest in the internet-based reading activities after the experiment. In case of learners in the treatment group, their interest increased slightly in the internet-based reading activities, but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That resulted from their low reading comprehension. Moreover, the same activity which had been kept for 10 weeks was very monotonous and made them tedious. In conclusion, the internet-based reading activities has the effective role of language input as the authentic materials, and reading strategy training can help students improve their reading comprehension. Cognitive styles do not seem to change easily. Utilizing various internet-based reading activities can provide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improve their reading comprehension and make other language skills integra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