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종근-
dc.contributor.author한유경-
dc.creator한유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4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3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0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331-
dc.description.abstractArt education is a process of improving one of the life in a well balanced manner through creative expressions of various personal feelings and thoughts. For this purpose, contemporary art education mainly focuses on the artistic expression and the artistic appreciation of various art forms. However, in its real practice, the artistic appreciation is rarely regarded as the core; it has been regarded as a by-product of the artistic expression. And I believe a well balanced art education between the artistic expression and the artistic appreciation is very much necessary. In this particular sense,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imulate students interests in the artistic appreciation through the appreciation of various types of portraits. This research focuses on portrait for the following two reasons: (1) portrait has its roots in the beginning of human history; therefore, it is understood as to contain analogous contexts of human history; (2) the student survey reveals that students feel less uncomfortable in appreciation of landscape or still-life than that of portrait. Research subjects are 9th grade (3rd grade in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two art class sessions per week. And this research suggests the structure of six class sessions that will entail the chronological analysis of various portraits from 17th to 20th centuries. The target portraits are selected from 17th to 20th centuries, where they exhibit unique materials, characteristics and various forms of expression techniques. Also the research aims to avoid the mistakes of the current textbooks, which mainly suggest Western arts, by suggesting the equal number of oriental portraits and western portraits. This attempt should allow students to experience a well balanced art education. True, the subsequent empirical research also revealed that this approach is meaningful in terms of changing attitudes of students, and improving the perception of the artistic appreciation. ;미술 교육은 학생들이 시각적인 표현을 통해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조형적으로 창조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가르치는 예술의 한 과정으로, 미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정서 함양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 아래 현재의 교육 과정은 미술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표현과 감상 영역에 중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실질적인 미술 교육은 표현 영역 위주의 학습에 치중되어 왔으며 감상 영역은 자연히 알게 되는 부수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미술 교육의 균형있는 지도 과정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그런 면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 장르의 주요한 부분인 인물화 감상을 통해 작품에 대한 미적 가치와 감상에 대한 흥미를 신장시켜 학생들로 하여금 좀더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감상 영역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특히, 회화의 많은 장르 중에 인물화를 택한 이유는'사람 또는 사람의 행위를 주제로 한 그림'인 인물화가 인류 문화의 역사와 시작을 같이 하였고, 인간의 삶을 모티브로 하여 그들의 외형적인 삶의 양식과 고유의 정신 문화를 담아내기 때문이다. 인물화를 통해서 우리는 시대적 상황에 따라 적응하며 변화된 그 시대의 정신 세계와 삶의 모습 등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또한, 회화에 대한 학생들의 설문 조사 결과를 보면 많은 학생들이 풍경화나 정물화에 비해 인물화를 감상하고 표현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동양과 서양의 다양한 인물화 감상을 통해 학생들이 인물화에 대해 좀 더 친근하고, 가깝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 대상은 7차 교육과정에서 주당 2차시 수업 시수를 갖는 9학년(중학교 3학년)이며, 감상 교수학습 지도안의 구성은 17세기부터 20세기까지의 동양과 서양의 인물화를 시대별로 감상하도록 하여, 총 6차시로 작성하였다. 인물화 작품 선정의 분류는 시대별로 나누었다. 우선 17세기에서 20세기로 정한 이유는 동?서양 각각의 회화가 가진 고유한 재료와 특징을 보여주는 작품부터 다양한 재료가 사용된 현대까지 미술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판의 선정은 교과서에 실린 작품을 위주로 하였다. 교과서 분석을 통해 현재 7종 미술 교과서 감상 영역이 서양의 작품을 위주로 다루고 있는 문제점이 있음을 알았고, 이를 보완하고자 동양과 서양의 인물화에 대해 같은 수의 작품을 제시하였다. 그럼으로써 학생들에게 다양한 동양의 작품을 감상할 기회를 제공하며, 나아가 동양과 서양 회화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감상 교수학습 지도안의 내용은 시대적 배경을 제시하여 미술의 문화와 배경을 이해하도록 하고, 다음으로는 작가 설명, 작품 설명으로 학생들에게 미술 작품이 지니는 의미를 파악하게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모둠별 토론을 통해 재료의 성질, 표현 방법, 작품에 대한 느낌 등을 공유하여 감상 기록지를 작성함으로서 인물화 감상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감상 영역에 대한 학생들의 정의적 태도의 변화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지도안을 활용한 수업으로 학생들은 이전보다 적극적인 감상 태도를 보임으로써 본 연구가 미술 감상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만들어 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미술과 교육 과정의 감상 영역에 대한 교육적 효율성을 높여 생활에서 미를 향유하며, 나아가 미술 문화를 이해, 계승, 발전시키는 주체로서의 학습자를 위한 노력과 연구가 더욱더 구체화되고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의 내용과 방법 = 2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미술 감상 교육 = 5 A. 미술 감상의 개념 = 5 B. 감상 지도의 목적과 내용 = 6 C. 제 7차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 = 9 D. 교과서 감상 영역 도판 분석 = 15 Ⅲ. 인물화 감상을 통한 학습 지도 연구 = 19 A. 학생 실태 분석 = 19 B. 단원의 연구 = 22 C. 본시 학습 지도안 = 24 D. 수업 자료 분석 및 해석 = 32 1. 인물화의 일반적 특징 = 32 2. 동양과 서양의 인물화 = 33 3. 17-20세기 동양 인물화 감상 = 34 4. 17-20세기 서양 인물화 감상 = 59 5. 동양과 서양 회화의 특징 = 84 E. 미술 감상에 대한 태도 및 인식에 관한 설문 조사 = 87 Ⅳ. 결론 = 90 참고문헌 = 92 부록 = 96 부록 1 작품 감상 기록지 = 96 부록 2 사전 설문지 = 97 부록 3 사전사후 공통설문지 = 99 ABSTRACT =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718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인물화 감상을 통한 수업 지도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교를 중심으로-
dc.format.pageix, 10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