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용-
dc.contributor.author유은현-
dc.creator유은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4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333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90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3328-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는 영상·정보시대로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교육관련 기자재의 개발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학교현장 또한 교단선진화의 물결이 일게 되었으며, 다양한 수업매체가 적극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미술은 교과의 특징이 시각적이기에 다양한 수업매체를 이용한 교수방법이 강조되고 있으며, 시청각 수업매체가 미술교과의 수업운영에 중요한 매체로 자리 잡은 지도 오래되었다. 미술교과의 수업운영에 매체의 활용은 수업의 능률과 질적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미술 표현 수업에 있어서 학생들의 흥미와 동기 유발을 위해서 어떠한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해야 할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중학교 3학년 남녀학생 520명을 대상으로 동질집단에 미술과의 표현학습에 있어서 전통적인 수업 방법과다양한 수업매체를 활용한 지도방법을 비교해보는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2003년 3월부터 2003년 7월 첫째 주까지 전통적인 수업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여기서 사전수업으로 진행한 전통적인 수업 방법이란, 특별한 수업자료 없이 학습목표의 제시와 제작방법 소개 등을 교사의 판서나 설명으로 수업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교과서와 예시작품을 감상하는 방법의 수업자료만을 사용하였다. 학습제재는 본교 지정 교과서인 교학사의 연간지도계획에 의거하되 학교 실정에 맞게 조절하여 수업을 수행하였다. 소단원으로 『미래 상상화(6차시)』, 『명화 바꿔 카드 그리기(4차시)』,『CD 자켓 디자인(6차시)』 3가지 활동을 실시하였다. 전통적인 수업을 받은 학생들에게 2003년 8월 25일부터 한 주간 설문조사를 하여 수업에 대한 만족도, 흥미도, 자기의 작품에 대한 만족도, 표현의 수월성 등을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다양한 수업매체를 활용한 지도방법으로, 학습제재는 교과서의 연간지도계획에 의거하여『만화그리기(6차시)』,『명화 바꿔 그리기(4차시)』,『포장 디자인(6차시)』을 선정하여 수업을 수행하였다.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을 수행 한 후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학생들의 흥미도, 자기 작품에 대한 만족도, 표현의 수월성에서의 변화 수치를 설문 조사하였다. 또한 전통적인 지도방법에서 얻은 결과물과 다양한 수업매체를 활용한 지도방법에서 얻은 결과물을 본 연구자가 제작한 표현력 검사도구에 의거하여 평가 한 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업은 학생들의 흥미·동기 유발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수업을 받은 뒤, 미술교과와 수업방법에 대한 인식이 좋아졌다. 셋째,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수업을 받은 뒤, 학생 작품의 질 또한 우수해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본 연구가 시사하는 점은 수업 도입부에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지도하는 방법이 학생들의 흥미와 표현 욕구를 신장시켜 학습의 동기를 유발시키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교사의 의욕적인 교수방법 및 수업자료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며,교육현장에서 이러한 수업방법이 보다 활발하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arning effect of traditional teaching method and the new one with various class materials in the unit Expression of the third grade Art class. Here, the learning effect means the motivation and interests of learning, and the easiness of expression. And these are the results of introducing many kinds of teaching materials into the Art class. First, the desire of expression in Art has become higher after using diverse materials. It suggests that the class where new subjects are introduced, is more effective to bring the desire of expression in Art to students than the conventional teaching method focused on the skills of expression and description. Second, the ability to express easily and freely has been much improved. This is resulted from the presentation of the ways to express, by showing many reference materials in the introduction of the class where they are neglected in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At the development stage in the past class, students are quite at a loss what or how to draw. But getting through the introduction with many examples into the development stage, they expressed without any difficulty and participated in the class actively according to their own feeling and thought. Third, the degree of students' satisfaction and interest has been going up after applying various teaching materials into the introduction of the class. Moreover the efficiency of the work has been developed and students've devoted their attention to the whole class. Consequently the level of their products became incredibly excellent. So, with various teachings materials, the class should be led to stimulate the sense of art to students. And as a way of organizing materials, above all teachers ought to try their own best to arrange the realia, audiovisual aids and examples to get the utmost out of them to the class. These are the effect of the materials. One is that the students' understanding is widened and their imagination and creativity are encouraged. Another is that the basic step required to know in Art, is approached easily. Last of all is that the exciting class is possible to be done by the indirect experiences close to reallives. As a result, whe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materials are carried out to make the Art class more colorful and active, the more qualified art education could be accomplish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내용 = 2 C. 선행 연구 = 2 Ⅱ. 표현과 동기 = 5 A. 표현 = 5 1. 미술과 표현 영역 = 5 2. 미술과 표현 지도 = 6 B. 동기유발 = 8 1. 동기유발의 의미 = 8 2. 동기유발을 위한 지도방법 = 10 Ⅲ.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 21 A. 미술과 교육과정의 구성 방향 = 21 B. 교육과정 내용체계 = 21 Ⅳ. 연구 방법 = 23 A. 연구 대상 = 23 B. 실험 설계 = 23 C. 프로그램 설계 = 23 D. 연구 도구 = 25 E. 연구 절차 = 26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29 A. 미술 학습 동기 및 인식 변화 = 29 B. 다양한 수업매체를 활용한 수업의 효과 = 31 Ⅴ. 결론 및 제언 = 38 참고문헌 = 40 부록 <부록 1> 【만화 그리기】수업지도안 = 43 <부록 2> 【명화 바꿔 그리기】수업지도안 = 54 <부록 3> 【포장 디자인】수업지도안 = 63 <부록 4> 사전 설문지 = 72 <부록 5> 사후 설문지 = 76 <부록 6> 평가 척도안 (1) = 79 <부록 7> 평가 척도안 (2) = 80 <부록 8> 평가 척도안 (3) = 81 ABSTRACT =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564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미술과 표현수업에서의 동기유발을 위한 지도 방법-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dc.format.page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