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5 Download: 0

유아를 위한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개발

Title
유아를 위한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개발
Authors
강윤정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용
Abstract
미술관이 과거에 미술품을 수집, 보존, 연구하는 기관이었다면 현대로 오면서 미술관은 대중과 미술품 사이에서 소통의 역할을 담당하는 교육적 기관으로서 변화하고 있다. 미술관이 공공의 사회적인 기관으로서 교육적 역할을 충분히 담당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소수의 전공자들에게만 제공되는 특별한 장소로 인식되어 온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외국의 경우에는 일찍부터 미술관의 교육적 역할을 강조하면서 다양한 연령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진행하고 있으며 관람객 개발 측면에서 미술관 교육이 적극적으로 운영 되어지고 있다. 미술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은 사진으로 만나던 미술품을 직접 눈으로 볼 수 있다는 장점에서 학교나 타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는 차별성을 갖는다. 특히 유아의 경우 미술관 교육은 미술관이라는 새로운 건물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시작되며 미술품을 실제로 직접 보고 생각하고 참여하는 과정을 통하여 감상능력의 개발과 창의력, 미적 감수성 등을 신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 나아가서는 유아에게 미술관에 대한 친근감을 갖게 함으로서 성인이 되어서도 문화적 삶을 영유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관 교육의 발생과 전개 과정, 프로그램 유형을 살펴보고 현재 유아를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는 우리나라와 외국의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현황에 대해서 조사, 비교, 분석하여 개선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함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학부모 요구도 설문, 현장에서 얻은 경험을 기본으로 하여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미술관에서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분야에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유아를 위한 미술관 교육이 우리의 삶 속에서 문화로서 자리 잡기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첫 번째로 문헌연구를 통하여 미술관과 미술관 교육의 개념과 역사, 프로그램 유형에 대해 정리하고 연구의 대상이 되는 유아 미술 표현의 특징, 유아를 위한 미술관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두 번째로는 현황조사로 국내·외의 유아 대상 프로그램 현황을 인터넷과 방문을 통하여 조사하여 off line과 on line으로 구분하여 비교 하였는데 국내의 경우 서울지역의 6개 미술관, 외국의 경우는 미국지역의 6개 미술관을 선정하였다. 세 번째로는 설문조사로 자녀를 미술관 교육에 참여시키고자 하는 학부모님들을 대상으로 미술관 교육에 대한 기대와 요구도를 설문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적인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진행과정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2002년, 2003년 성곡 미술관의 유아 대상 프로그램 사례를 연구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방법을 이용한 결과 유아를 위한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방법과 개선 방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유아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부모님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가족단위의 프로그램이나 지역상의 여건으로 교육을 제공 받지 못하는 아이들을 위해 타지역으로 직접 찾아가는 형식의 프로그램, 혹은 유치원 단위의 단체 프로그램이나 거리에 상관없이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on line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외에 감상 교재나 미술관의 소장품을 이용한 cd-rom을 제작하여 제공함으로써 집이나 유치원등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많은 아이들이 이용할 수 있게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전문인의 양성과 미술관내에서 교육부서의 독립이 요구된다. 미술관내에 교육부서가 따로 있지 않고 전시파트에서 행사로 담당하거나 혹은 다른 교육 기관에 의뢰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술관 내에 교육 분야를 독립적인 부서로 운영하여 프로그램 내용의 질을 높이고 자기 미술관의 실정에 맞는 다양하고 개성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세 번째로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는 대상 분석, 미술관의 환경, 목표 설정, 타 교과와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경험주의를 기본으로 한 다양한 교수법을 활용하여야 한다. 미술품을 직접 볼 수 있는 미술관의 최대 이점을 고려할 때 미술관에서의 수업은 전시와 함께 이루어 져야 한다. 전시감상 → 실기활동 → 실기 작품감상으로 진행되는 수업에 참여함으로써 아이들은 어릴 때부터 자연스럽게 미술품을 접하게 되고 보는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만드는 경험을 통해서 미술관에 대하여 친근감을 갖게 되고, 미술을 삶의 한 영역으로 인식하게 될 것이다. ;In the past, an art museum was an institution which collected, preserved, and studied art works. However, currently, it changes into an educational organization which connects public people to the world of art works and promotes mutual understandings among them. In spite of such educational function that an art museum could perform as a public entity, Koreans understood art museums just as a special place accessible by only few special experts in the art field. Contrarily, foreign countries emphasized art museums' educational function from the past, and they have developed and operated many different education programs for various age groups that can be achieved by art museums. This has been taking a special meaning in terms of developing future audience. The education carried out at art museums is distinguished from the ones performed at schools or other institutions because students can see real art works personally but not through pictures. Especially, it is expected that children's education at an art museum begins as the children enters the building of art museum, and their appreciation abilities, creativities, and esthetic sensitivities can be developed and enhanced as they look at, think of, and participate in the art works directly. Furthermore, education by an art museum for children increases its importance when it helps children have friendly feelings toward art museums so that they can enjoy art work culture when they grow up. In this thesis, the origin, developmental process, and program types of education by art museums will be studied, and the current status of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operated both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will be inquired, analyzed, and compared for their improvements. It is also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itself to the area of development of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by reviewing the theoretical foundations for program development, collecting parent's requests through surveys and actual field experiences, and offering specific procedures for developing such programs.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mulate the future direction by which art museum education for children gets established in our life as one of cultural aspects. To achieve the purposes, firstly the concepts and histories of art museum, art museum education and the types of programs will be explored through literature stud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s and the necessity of art museum education for children will be inquired. Secondly, status research of programs for children both in Korean and other countries will be made by personal visits and through internet research, and then classification and comparison between off line and on line will be made. For this work, six art museums in Korea and 6 art museums in the U.S.A. were chosen. Thirdly, parent's expectations and requests about the art museum education were surveyed with the subject of parents who want their children participating in education by art museum. Lastly, to inquire the actual development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program development, the cases of art museum program for children, the year of 2002 and 2003, created by Sungkok Art museum were studied. Through the aforesaid methods and studies, the author reached the conclusions regarding the methods of art museum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for children and the directions for their improvements as follows: First, various types of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children's participation. Programs targeting family units will be effective because by children's nature children education carried out at art museum requires parent's accompany. In case that a program is only for children, Docent or special lectures for parents should be offered simultaneously. It is also found that art museums concentrate within Seoul and the benefits of art museum education go only to the children living in Seoul. Therefore, group program for pre-school unit, reach-out programs that art museums go beyond its location, or on-line programs accessible for every one regardless of distance should be developed. In addition,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to art works for more children, appreciation materials and CD-Rom containing art museum's art works should be developed. To achieve these goals, firstly, art museums should be mo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its educational function, and business sector should provide financial investment and supports into this field. Secondly, professionals for this field should be raised, and the independency of education department within a art museum should be procured. Compared to the number of children who want to participate in a program, the number of programs are very few, and the professionals who can develop such programs are in short. Besides, many art museums do not have a separate education department which should be in charge of education programs, and thus personnel handling exhibit events takes care of children education programs. Some museums even entrust other educational organizations for the operation of their education programs. By having an independent education department operate education programs, the quality of such programs will improve, and under such environments,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suitable for and satisfying its own needs is possible. For a long term purpose such as acquiring future audience, art museums should put more efforts on the developing and advertising education programs rather than looking them just as events. Thirdly, program development should be based on empirical teaching method approaches that reflect the results of subject analysis, museum's environments, goals, and relations to other subject matters. Especially, class activities should be adjusted to subject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s and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procurement of professionals from various fields is required. Currently, most of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performed by art museums offers only practical works but their class room activities should be offered in the connection of exhibition events which maximize the strength of art museum. By participating in the class periods containing the courses of appreciation of displayed works, practical activities, and practical work appreciation, children will be naturally exposed to art works, and by doing practical works they can develop friendly feelings toward art museums from childhood, and become to accept arts as one aspect of their liv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