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1 Download: 0

비평력 향상을 위한 미술감상비평모형을 적용한 감상학습 프로그램 연구

Title
비평력 향상을 위한 미술감상비평모형을 적용한 감상학습 프로그램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Appreciation Guigance Program which Implicated Model of Art Appreciation-Criticism for Improvement of Abillity Criticism
Authors
임숙경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용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or development of appreciation study program which implicated model of art appreciation- criticism for improvement of criticism ability; to do this, first I presented more efficiently activating compromise model after studying model of art appreciation-criticism such as Feldman’s criticism stage and Geahigan’s criticizing-way of research which are both general models of guidance of criticizing art appreciation.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eather the presented compromising models canbring improvement of criticism ability in sentiment field of middle school 3^(rd)graders; and following steps are taken. Before designing the program, this research is analyzed after questioning 207 students who are attending middle school 3^(rd) grade in Seoularea where the experiment will take place to estimate the initiative studying ability in appreciation field. And also analyzed appreciation field and learning curriculum of middle school 3^(rd) graders. Basis on it, I designed and applied 3 steps teaching lesson; reconstructed ‘result grading tool’ appropriate to this research with example of Park, So-Young’s ‘art and way of grading achievement’. Next, the collected data, gathered after applying designed program, operated Paired Samples t-test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s, design of before and after in a group, using SPSS 12.0 Program. The followings are summary of analyzed result of this research. First, new direction of appreciation activity is proposed through appreciation study which applied model of art appreciation-criticism, compromise both step and research theory; and also criticizing ability and "appreciation eye" improve respectfully. The result of achievement analysis covering 3 steps can be derived positive outcome according to ascension of aggregated point of 3 area of 1) grading scale such as appreciation perspective in understanding factor, logical criticism ability in technical factor and active expressive activity in behavior factor, 2) point differential in each area such as student’s self grading report and 3) every area. Second, criticism ability which hasgrown through appreciation lesson is expected to be big help in value selecting, judging, and accepting environment surrounding students. Third, through more efficient systematical teaching lesson, students who understood the factor of art appreciation-criticism will be expected to have more interest in active criticism. It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students are paying much more interest toward art appreciation-criticism due to reaction of students before and after self grading questions. Synthetically, conclusion of this research shows that model of art appreciation applied appreciation-criticism studying program affected middle school 3^(rd)graders to have better criticism ability and it also gave interest to art appreciation-criticism. I expect this research becomes useful information which fundamentally help ones who use this, model of art appreciation-criticism applied appreciationstudy program.;본 연구의 목적은 비평력 향상을 위한 미술감상비평모형을 적용한 감상학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 우선, 비평적 미술 감상 지도의 보편적인 모델인 펠드만(Feldman)의 비평 단계와 게히건(Geahigan)의 비평적 탐구방법 등 여러 석학들의 미술비평감상 모델을 고찰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절충모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절충적 미술감상비평모형이 중학교 3학년 학생의 감상 영역에서의 비평력에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지 분석하는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그램 설계에 앞서, 감상 영역에 대한 학습자의 선수학습 능력 및 요구 조사를 위해 실험을 실시하게 될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중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분석하였으며, 현행 중학교 3학년 미술교과 교육과정 및 미술교과서의 감상 영역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3차시의 교수-학습을 설계하여 적용하였으며 결과물 평가도구는 박소영(1999)의 미술과 수행평가법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 맞게 본인이 재구성 하였다. 다음, 설계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Program을 사용하여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인 연구문제에 따라 대응표본 T검정(Paired Samples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단계론과 탐구론을 절충한 본 미술감상비평모형을 적용한 감상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감상 활동의 새로운 방향이 제안되고 비평능력이 향상되어 작품에 대한 '보는 눈'을 기를 수 있다. 3차시에 걸친 수행 분석 결과는 이해면에서 감상관점 선정으로, 기능면에서 논리적인 비평력으로, 태도면에서 적극적인 표현활동 등의 평가 척도 3영역과 학생들의 자기평가보고서 점수 등 각 영역의 점수차이와 모든 영역을 합산한 점수의 상승으로 보아 긍정적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둘째, 감상 수업을 통해 길러진 비평능력은 나아가 학생 주변의 생활 속에서 가치선별과 판단, 수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셋째, 보다 체계적인 교수-학습 활동으로 미술감상비평의 과정을 이해한 학생들이 능동적이고 자율적으로 미술감상비평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가질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이는 자기평가보고서의 평가문항에 비추어 사전-사후의 학습자의 반응에서 학생 스스로가 생활 속에서 미술감상비평에 대한 관심과 흥미에 대한 점수 부과가 높아졌음에 근거한다. 연구의 결론을 종합하면, 본 미술감상비평모형을 적용한 감상학습 프로그램은 기존 감상수업에 비추어 보았을 때 중학교 3학년 학생의 비평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학습자들에게 미술감상비평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시켰다. 시각적 정보가 무한 창출되어 그로인한 이해관계가 급변하는 상황에서 우리의 청소년들이 정보에 대해 흥미를 갖고 비판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올바른 가치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본 연구가 미술감상비평모형을 적용한 감상학습 프로그램으로써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