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5 Download: 0

국내 미술교육 관련 연구논문 실태조사

Title
국내 미술교육 관련 연구논문 실태조사
Other Titles
Fact-Finding Survey on Korea's Art Education Theses and Papers : From 1996 to 2006
Authors
김선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용
Abstract
In the rapidly changing 21C -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 we’re living in a world of information and each day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 Users are exposed to more information and it is likely to increase ever more rapidly. And they are struggling to find the right information swiftly amid this flood of information. Korea’s art education first began in 1895 with the start of formal school education. Since then it went through various changes and improvements. In particula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established in 1963 is producing numerous education-related theses every year. The institution was set up to nurture high quality professional educators with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Moreover, with interest in art education on the rise since the 20C, more theses on arteducation are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education papers, and research journal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set the right direction for future studies to make systematic improvements to art education. To this end, this study has analyzed past theses and papers and looked at areas that are either neglected or redundant.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art education in Korea 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future outlook on this field. We have looked at art education-related theses and pape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education papers, and research journals at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dating from 1996 to August 2006. We categorized them by date, education level, study method, study theme, and study contents. The results are First, survey of art education theses and papers based on study dates shows that the number of theses has steadily increased since 1996, and the number of papers continuously fluctuated. Second, survey of art education theses and papers based on education level shows that the number of theses isthe highest for elementary school education, then middle school, and then lifelong education and others. Papers were most concentrated on lifelong education and others, the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and then on kindergarten education. Third, survey of art education theses and papers based on studymethod shows that scientific research - exploratory and experimental study - made up the majority in both theses and papers. Fourth, survey of art education theses and papers based on study theme shows that ar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eaching materials are the major subjects of research in both cases. Fifth, survey of art education theses and papers based on study contents shows that comprehensive art education theories and general theses form the biggest category. Excluding the studies on comprehensive arteducation theories, the largest category is studies on painting, art appreciation, and Korean art for theses and art appreciation, comprehensive studies, and painting for papers. In summary, current studies on art education are too much concentrated on certain areas, showing imbalances in terms of education level, study method, study theme, and study contents. Therefore, further progress in art education requires numerous academic research and substantive, in-depth studieson a variety of fields.;급변하는 21세기 세계화·정보화 시대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하루가 다르게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정보를 필요로 하는 이용자들에게 제공되는 정보의 양은 엄청나게 불어났으며 앞으로 더욱 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러한 문헌 정보의 홍수 속에서 이용자는 필요한 자료를 신속 정확하게 찾는데 곤란함을 느끼게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미술교육은 1895년 학교 교육이 시작되면서 현재까지 많은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 왔고, 특히 현장중심의 실무와 이론을 갖춘 수준 높은 교육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1963년 최초로 서울대학교에 교육대학원이 설립되면서 매년 수많은 교육 관련 학위 논문이 이곳에서 발표되고 있다. 또한 20세기 이후 미술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미술교육과 관련된 논문들이 학회지, 학술지, 교육지, 연구지 등을 통해 많이 발표되고 있다. 따라서 수년간 발표되어 온 많은 논문의 분석을 통해 미술교육의 올바른 연구방향을 설정하고 미진한 분야의 연구를 촉진시키고 논문의 중복이나 편중됨이 없는지를 살핌으로써 미술교육학을 체계적으로 발전·계승시킬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은 이미 발표된 논문의 연구실태를 분석, 결과를 종합하고 논의함으로써 연구현황을 파악하여 현재 우리나라 미술교육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기회와 미래 전망에 대한 초석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1996년부터 2006년 8월까지 국회도서관에 소장된 국내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관련 학위 논문과 이 시기에 발표된 학술지, 학회지, 연구지 등에 실린 미술교육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연도별, 학교급별, 연구방법 유형별, 연구주제별, 미술내용별 현황을 조사하고 파악하였으며, 분석을 통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교육 관련 학위 논문과 학술·학회지 발표논문의 연도별 논문 현황을 분석한 결과, 학위 논문은 연구기간인 1996년도 이후 계속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고, 학술·학회지 발표논문은 증가와 감소의 기복이 있음을 볼 수 있다. 둘째, 미술교육 관련 논문의 학교급별 논문 현황을 분석한 결과, 학위 논문은 초등학교, 중학교, 평생교육 및 기타 순으로, 학술·학회지 발표논문은 평생교육 및 기타, 초등학교, 유치원 순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미술교육 관련 논문의 연구방법별 논문 현황을 분석한 결과, 학위 논문과 학술·학회지 발표논문 모두 서술적 연구, 실험적 연구인 과학적 연구가 매우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미술교육 관련 논문의 연구주제별 논문 현황을 분석한 결과, 학위 논문과 학술·학회지 발표논문 모두 미술과 교수·학습 방법 및 교재 연구에 관한 논문이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미술교육 관련 논문의 미술내용별 논문 현황을 분석한 결과, 미술교육 이론의 모든 연구를 포함하는 미술교육 이론과 미술내용의 어느 한 영역으로도 분류가 어렵거나 또는 모든 영역을 다룬 일반 영역의 논문이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미술교육이론을 제외한 미술과 교육과정의 교수영역으로 논문 현황을 분석해 보면, 학위 논문은 회화 영역, 감상 영역, 한국화 영역의 논문이, 학술·학회지 발표논문은 감상 영역, 통합 영역, 회화 영역의 논문이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종합해 보면, 현재 미술교육 관련 연구들이 학교급과 연구방법, 연구주제와 미술내용별 영역에서 지나치게 한곳으로 치중된 연구성향을 나타내며 연구에 대한 불균형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미술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학문적 탐구와 여러 분야의 연구영역에서 보다 내실 있고, 다양하며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