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남식-
dc.contributor.author張順鄕-
dc.creator張順鄕-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4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4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1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488-
dc.description.abstractDance, a means of developing an ideal human being, is a curriculum that plays a great role in purifying one's emotion and forming one's prrsonality. At present, there are a few schools not recognizing the value of dancing group and their dance teaching is very sporadic; therefore, it is true that dance is not efficiently put to practical use in developing emotion purification and aesthetic appreciation, and increasing creative expression ability in school education. In order to maximize the teaching effect of dance education, above all, the improvement of dance evaluating method judging the degree of dance teaching effect must be preceded. This study aims at making the evaluation content to examine and evaluate the base of dance unit and adaptation ability by choosing carefully the contents of function presented in the dance unit of physical education book, and based on it, unifying the evaluation coutent and method by school teachers, and, furthermore, making the dance test included in the college entrance exam by presenting the evaluation scale table. To carry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cher analyzed the dance unit of the authorized physical education book compiled by six publishing companies, and divided two items of the base and the function and three items of application function based on the analyzed contents. And on the grounds of teaching experience acquired in school education, the researcher selected the basic motions which the students having no dance education can make, The model of the evaluation scale table presents the evaluation object in each evaluation content so that teaching object can be accomplished, and three evaluation elements are chosen which are thought to be the most important. Evaluation views which can be the main points are described in each-evaluation element. Evaluation scale is divided into three steps and its grade ratio is as follows: three points-good, two points-normal, one point-bed. And by preparing the descriptions written In short sentences i n stead of numbers showing the degrees of some ability or characteristics in practicing dancing, Its method is made "descriptive evaluation scale method" placing individual students in the sultable standard. According to the adopted evaluation contents and the made scale table, the researcher evaluated and verified their reliability twice once every week, and other two teachers produced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based on the grades they acquired from evaluating the group of the same class students and verified its objectivity. A teacher, B, produced an coefficient from the coincidence table she got, comparing the grade she acquired from the class taught with that of the class not taught and also verified its validity. As a result of each verification, the evaluations of each part showed excellent reliability, objectivity, and validity, so that they run to the reasonable standards which are required in group evaluation. Therefore, they can be well used as dance teaching methods in school education.;舞踊은 理想的인 人間을 기르기 위한 수단으로 신체 움직임을 통하여 정서를 순화시키고 인격을 형성하는데 큰 역할을 담당하는 교과목이다. 현재 일선 학교에서의 舞踊의 학습지도는 매우 산발적이거나 무용단원의 가치조차 인정하지 않는 학교도 없지않아 오늘날 학교교육 현장에서 舞踊이 情緖純化와 美的 感覺의 개발, 創造的 表現力의 伸張등에 유효적절하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무용교육의 학습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무용학습의 효과의 정도를 판단하는 무용평가법의 개선이 선행되지 않으면 안된다. 본 연구는 體育敎科의 舞踊單元에 제시되어 있는 기능의 내용을 정선하여 舞踊單元의 기초와 응용능력을 진단, 평가할 수 있는 평가내용을 제작하고 그것을 근거로 하여 척도표를 제시하므로서 일선학교 교사들의 평가 내용과 방법을 통일시키고 더 나아가서는 장차 학력고사의 평가내용에 무용단원의 평가가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6종류의 출판사에서 편집한 현행 문교 검인정 체육 교과서의 무용단원을 분석하고 분석된 내용을 근거로 기초기능 2문항과 응용기능 6문항으로 구분하여 본 연구자가 일선 학교에서 지도해본 경험을 바탕으로 무용경험이 없는 학생들이 충분히 해낼 수 있는 초보적인 수준의 동작으로 선정하였고 척도표의 모형은 학습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각 평가내용마다 평가목표를 제시하였으며 평가의 요소를 꼭 필요하고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3가지의 요소로 추출하였다. 각 평가요소 마다 평가의 주안점이 될 수 있는 평가관점을 기술하였고 평가척도는 3단계로 하였으며 점수의 의미는 3점 -잘한다. 2점 -보통이다. 1점 -못한다를 나타내고 있으며 무용 실기를 하는데 있어서 어떤 능력이나 특성의 정도를 숫자 대신에 짧은 문장으로 기술한 것을 미리 준비하여 개개의 학생을 어느 적당한 단계에 정하여 평정하는 기술평정척도 법으로 하였다. 선정된 평가내용과 제작된 척도표에 따라 본 연구자가 일주일 간격으로 2회에 걸쳐 평가하여 신뢰도를 검증하였고 두명의 교사가 동일한 학급 집단의 학생을 평가한 점수를 근거로 상관계수를 산출하여 객관도를 검증하였으며 교사 B가 2개의 다른 학급집단을 대상으로 학습을 시켜서 평가한 학급과 학습을 시키지 않고 평가한 학급의 정수를 우연의 일치표를 만들어 계수를 산출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평가한 것을 검증한 결과 각 내용별 평가는 우수한 신뢰도, 객관도, 타당도를 보여 집단결사로 요구되는 일정한 수준에 이르고 있어 무용의 학습내용 검사도구로 학교현장에서 사용해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ⅵ Ⅰ. 緖 論 = 1 A. 硏究의 勳機 및 必要性 = 1 B. 硏究의 目的 = 1 Ⅱ. 理論的背景 = 3 A. 舞踊의 槪念 = 3 B. 舞踊敎育의 目標 = 5 C. 韓國舞踊의 基礎技能과 創作舞踊의 基本要素 = 6 D. 舞踊實技測定의 領域 = 9 Ⅲ. 硏究의 方法과 節次 = 11 A. 敎科書 內容分析 = 11 B. 평가내용의 선정 = 24 C. 평가의 관점과 평가의 요소 = 26 D. 자료처리 = 29 Ⅵ. 結果 및 考察 = 30 A. 評價內容 項目 別 統計値 = 30 1. 신뢰도 검증 = 32 2. 객관도 검증 = 33 3. 타당도 검증 = 34 Ⅵ. 要約 및 結論 = 36 參考文獻 = 38 附錄 = 42 ABSTRACT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270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무용단원-
dc.subject실기평가척도-
dc.subject여자중학교-
dc.subject교육과정-
dc.title舞踊單元의 內容別 實技評價尺度 構成에 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女子中學校 敎育課程을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DANCING EVALUATION BAROMETER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DANCING UNITS : Especially in respect to the case of middle school dancing curriculum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198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