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진형-
dc.contributor.author朴賢淑-
dc.creator朴賢淑-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9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4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7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478-
dc.description.abstract영어교육의 목표가 의사소통능력의 획득에 있으며 따라서 학습자의 성취도 측정 기준은 효율적인 의사소통이 되어야 한다는 것은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이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학습자의 성취도를 측정할 때 기준으로 삼고 있는 것은 문법적인 정확성이라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문법을 기준으로 하면 참고 규범이 명확하므로 측정이 용이하다. 반면, 의사소통을 기준으로 하면 측정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고 해서 언제까지나 문법적인 정확성을 평가의 기준으로 삼을 수는 없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의사소통전략이 외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을 측정하는데 어떻게 기준을 제공해 줄 수 있는가를 밝히는 데 있다.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의사소통의 본질 및 Communicative activities, 그리고 의사소통능력을 살펴 본다. 의사소통이 효과적으로 이뤄지려면, 화자는 말하고자 하는 욕구와 성취하고자 하는 대화의 목적이 있어야 하며, 또한 그는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언어 저장 목록에서 최적의 언어를 골라낼 수 있어야 한다. 청자는 화자의 말을 듣고자하는 욕구가 있어야 하며, 화자의 목적에 관심을 가지고 그의 말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준비를 해야만 한다. 이것이 바로 의사소통의 본질이다. 이 본질을 만족시키는 활동들만이 Communicative activities라 할 수 있다. Communicative activities에서 학습자의 관심은 형식이 아닌 내용에 있어야만 한다. 그들은 자신이 쓸 수 있는 언어를 모두 동원하여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할 것이며, 교사는 교정내지는 정정을 하기 위해 학습자의 활동에 끼어드는 일이 없어야 만 할 것이다. 또한 Communicative activities는 어떤 특정한 문법적인 형태에 국한되어서도 안된다. 위에서 말한 것들이 Communicative activities의 특징이라면, 그 반대가 Non-communicative activities라고 할 수 있다. 이 둘은 하나의 연속선의 양 끝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어떤 활동이 Communicative activity인지 아닌지는 말할 수 없고 다만 Communicative activities에 얼마나 접근했는가만을 말할 수 있을 뿐이다. 의사소통능력에 대해서는 여러 학자들이 각기 이론을 펴고 있으나 결국 이것은 전후 관계를 맺는 문맥에서 적절하고 의미있는 의사소통을 위해 언어규칙을 사용하는 능력으로, 언어학적 요인 뿐 아니라, 언어외적인 인지적, 감성적 요인들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고 하겠다. 의사소통전략이란 말은 Selinker가 처음으로 쓴 후, Tarone과 Faerch and Kasper에 의해 좀 더 깊이 연구되었다. Tarone은 상호작용적 관점에서 의사소통전략을 다루어, 그 주된 기능을 의미의 전달로 보고 있으며, Faerch and Kasper는 언어심리학적 관점에서 의사소통전략을 다루어 의사소통시 각 언어 사용자들이 겪고 있는 문제 및 그 해결책과 관련이 깊다고 보고 있다. 의사소통전략의 두 가지 견해를 비교해 보면, 상호작용적 견해에서는 그 정의와 의사소통분류표가 부합하지 않아 내재적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는 반면, 언어심리학적 정의는 내재적 일관성을 가졌으므로 후자가 더욱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호작용적 정의는 얼굴을 마주하고 행하는 의사소통시에는 중요하지만 그 외의 경우에서는 의사소통의 전략적 행위를 설명해 줄 수 없다. 그러나 언어심리학적 견해는 언어행위의 모든 부분을 설명해 줄 수 있다. 따라서 상호작용적 정의가 언어심리학적 견해의 하부 체제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의 실험에서는 일반적인 전략인 회피 전략과 의역 전략만을 성취도 측정의 기준으로 삼고 있다. 이 실험에서 검증한 두가지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창한 언어 성취보다 그렇지 않은 경우가 의사소통전략을 훨씬 더 빈번히 사용한다. 즉 외국어 학습자는 원어인보다 의사소통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며, 같은 외국어 학습자라 할지라도 우수한 학습자보다는 부진한 학습자가 전략을 더 빈번히 쓰는 경향이 있다. 둘째, 유창한 언어성취와 그렇지 못한 경우는, 사용하는 의사소통전략의 종류 면에서 볼 때도 차이가 난다. 즉, 원어인은 성취 전략을 많이 쓰고, 외국어 학습자는 회피전략을 많이 쓰며, 이 현상은 우수한 학습자와 부진한 학습자 사이에서도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의사소통 전략 사용에 대한 개념은 외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성취도 측정에 유익하게 쓰일 수 있다. 즉, 학습자가 언어 활동시 중요한 항목을 언급함에 있어서 얼마나 회피 전략을 쓰고 있는지, 그리고 얼마나 의역 전략을 쓰고 있는지를 측정하여 그들의 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에는 평가표를 사용할 수도 있고 관찰로써 평가표를 대신할 수도 있다. 전략 사용을 하지 않고 중요한 항목을 적절히 표현했다면 그 성취도는 아주 높은 것이며, 전략을 사용하되 성취 전략을 많이 사용했다면 회피 전략을 사용한 것에 비해서 그 성취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성취 전략과 회피 전략에는 주관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할지라도, 각각의 점수를 배당할 수 있고, 이로써 성취도 측정은 점수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Since The goat of English Education is to obtain Communication competence, the students' performance must be evaluated in terms of effective communication. But how teachers evaluate this is far less certain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ggest that the study of communication strategies can supply a basis for evaluating the communicative performance of an L2 learner. When two people are involved in conversation, the speaker feels a desire to speak and also has a purpose. A speaker selects from his or her language store the language that he or she thinks will best help to achieve the purpose. In an effecttive communication, it is probable that the listener will want to listen to what the speaker says and will be particularly interested in th speaker's purpose. The listener have to be ready to process a great variety of language in order to under-stand efficiently what is being said. These comments show what the nature of communication is. In a communicative activity, there must be desire to communicate and some communicative purpose. This implies that the students' sttention will be focused on the content of what they are saying, rather than form. They will use a wide variety of language, and the teacher will not intervene. The materials which the students are using will not control their language. These characteristics can apply at one end of a continuum. And the other end lie non-communicative activities. Communicative competence is an ability to use linguistic rules in order to communicate appropriately and effectively in th social context. It involve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use cognitive and sensitive faculty as well as linguistic faculty. The Term 'communication strategy' was first used by Selinker and much of the subsequent discussion of communication strategies was concerned with the attempt to establish a rigorous definition. Two dimensions figure in most of the suggestions that have been put forward: communication strategies are conscious and they are problem-oriented in the sence that they are used by the learner to "make-do" when he or she lacks the required target language resources to encode a message. Two recently formulated definitions of communication strategies are Tarone's interactional definition and Faerch and Kasper's psycholinguistic definition. The former says the central function of communication strategies is the negotiation of meaning and by the latter, communication strategies are related to individual language users' experience of communicative problems and the solution they pursue. In the psycholinguistic framework. communication strategies are characterized in discourse terms, invoking the notion of conditional relevance. Various lists of communication strategies have been put forward. But in the study of the oral stroy-telling activity of two groups of L2 students in this thesis, only two general strategies - avoidance and paraphrase - will be focused. This study is to show how, by examining the use of these strategies, the evaluation of the learner's communicative performance can be refined. Two evidenced possibilities follow. 1. Performance that is fluent, situationally appropriate, economic, and elegant is characterized by fewer communication strategies than performance that is not. Thus L2 learners employ communication strategies more frequently than L1 speakers. Less able L2 learners employ more than more able L2 learners. The firs possibility is that there are quantitative differences between more able L2 learners and less able L2 learners like native speakers and L2 learners in the use of communication srategies. 2. L2 performance differs from native speaker performance in terms of the kinds of communication strategies. The same is found between more able L2 learners and less able L2 learners. Specifically, more able L2 learners, like native speakers, employ more achievement strategies such as paraphrase, and fewer reduction strategies such as avoidance. The second possibility, therefore, is that there are qualitative differences. The notion of communication strategy may be useful for evaluating L2 communicative performance. By attending to the degree to which learners avoid reference to important items of information, and paraphrase information, teachers may be able to form a fairly reliable assessment of learner's performance. Teachers can obtain this assessment informally by attending impressionistically to the communication strategies the learner employs. Alternatively they can make a more formal assessment by using a chart, like table 10. A score can finally be worked out by calculating (1) the percentage of avoidence, and (2) the percentage of paraphrase. The higher the scores, the less communicative the learner's performance is. And a high avoidance score is presumably more indicative of communicative inability than a high paraphrase respectively. One difficulty with this approach i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voidance and paraphrase can be arbitrary or somewhat subjectiv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가설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의사소통의 본질과 Communicative activities = 4 B. 의사소통능력 = 9 Ⅲ. 의사소통전략 = 13 A. 언어심리학적 정의 = 13 B. 상호작용적 정의 = 20 C. 전략이용에 관한 상호작용적 양상 = 25 D. 언어심리학적 정의와 상호작용적 정의의 비교 = 31 Ⅳ. 의사소통 성취도의 측정 및 평가 = 34 A. 원어인과 외국어 학습자의 의사 소통성취도 비교 연구 = 35 B. 우수한 외국어 학습자와 부진한 외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성취도 비교 연구 = 39 Ⅴ. 결론 및 제언 = 49 참고문헌 = 52 부록 = 54 ABSTRACT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198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의사 소통-
dc.subject의사 소통 전략-
dc.subject의사 소통 성취도-
dc.subject영어교육-
dc.title의사 소통 전략과 의사 소통 성취도의 측정 및 평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munication Strategies and the Evaluation of Communicative Performance-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영어교육분야-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