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현순-
dc.contributor.author문은희-
dc.creator문은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5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3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0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324-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장애유아 교육에 있어서 단순한 물리적 배치만으로는 이들의 사회적 수용과 사회적 기술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이 많은 연구들을 통해 입증되면서 여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비장애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태도 증진을 중요시하게 되었다. 장애유아에게 권리를 부여하는 것과 더불어 장애에 대한 편견 없는 태도를 기르기 위하여 비장애유아에게 통합교육을 통하여 서로간의 차이점에 대해 긍정적이고 적절한 반응을 하기 위한 교육적 접근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연있는 인형과 동화를 활용한 장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토의하고, 모의 장애체험, 역할놀이, 공동작업 등의 후속활동을 통하여 인간의 개인차와 다양성을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한 반편견 교육활동을 실시하여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유아의 태도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반편견 교육활동의 내용은 유아교육과정의 사회생활영역의 교육내용인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존중하기'에 초점을 두고 활동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내에 위치한 D어린이집에서 발달장애유아가 통합되어 있는 만 5~6세 4개반의 비장애유아 76명을 대상으로 각 연령에서 1개반씩 2개반은 실험집단(38명)으로 반편견 교육활동이 제공되었고, 다른 2개반은 통제집단(38명)으로 기존의 교육활동을 따랐다. 비장애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Voeltz(1982)의 수용성 척도와 Berndt와 Perry(1986)의 친구관계 지각에 관한 질문을 참고하여 '특별한 친구 프로그램'에서 권원영(1998)이 재구성한 '태도조사 질문지'를 이용하여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태도측정의 사전·사후 검사 평균값의 차이를 t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유아의 태도변화에 있어서 반편견 교육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기존의 교육활동을 한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2.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유아의 요인별 태도변화에 있어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그 효과가 요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즉, '경도의 일탈된 행위에 대한 반응'(요인1), '일탈된 행위에 대한 반응'(요인2), '사회적 접촉 의도'(요인3)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향상된 반면, '공유활동'(요인4), '친사회적 행동'(요인5), '친밀감'(요인6)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사연있는 인형과 동화를 활용하여 장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집단토의, 모의 장애체험, 역할놀이, 공동작업 등의 후속활동을 통하여 인간의 개인차와 다양성을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한 반편견 교육활동은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유아의 태도를 증진시키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연있는 인형과 그림동화는 다른 사람의 경험과 생활, 느낌을 공유하고 공감함으로써 경험의 세계가 확장되고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장애유아들과의 관계추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되어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 모두에게 긍정적인 경험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반편견 교육활동은 유아교육기관에서 다루는 주제와 일과를 중심으로 다양한 활동들과 접근방법을 통해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유아의 태도변화를 위한 교육과정적 접근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다.;Recent studie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handicapped children point out the fact that mere physical integration does not bring about their social acceptance and improvement in their social skills. Thus, it is recogniz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non-handicapped children with the handicapped will enhance the attitude change of the non-handicapped children on the handicapped. The integration effort not only promotes positive and appropriate response on the part of the non-handicapped children, but it minimises or ignores the difference among them. Thus, anti-bias educational was conducted in the forms of persona-doll and picture story along with simulated experience, role play, etc. in order to change the attidude of the non-handicapped children over the handicapped. The program focused on the content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titled "understand and respect others". The subjects were 5-6 year old 76 children attending Child Center in Seoul, of which 38 children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38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An Attitude testing kit by Voeltz(1982) and Acceptance Scale by Berndt and Perry(1998) were revised by Kwon won-young(1998) as "special friends", and pre-post t-test was used the effec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용어정의 = 4 II. 이론적 배경 = 6 A.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 유아의 태도 = 6 B. 반편견(Anti Bias)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과정 = 13 C. 반편견 교육활동의 접근 방법 및 효과 = 20 III. 연구 방법 = 24 A. 연구대상 = 24 B. 실험설계 = 25 C. 연구도구 = 26 D. 연구절차 = 32 E. 자료처리 및 분석 = 34 IV. 연구 결과 = 35 V. 논의 및 제언 = 40 A. 논의 = 40 B. 제한점 = 45 C. 제언 = 46 참고문헌 = 47 부록 = 54 영문초록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655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장애이해 증진을 위한 반편견(Anti-Bias) 교육활동이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유아의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