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dc.contributor.author안미경-
dc.creator안미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9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4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9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401-
dc.description.abstract우리 나라의 영어 말하기 교육은 1980년대 의사소통 중심 접근법 시대 이후 그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으나, 5차 교육과정까지 입시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였다. 이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교육개혁과 세계화를 배경으로 하여 1995년부터 시행된 6차 교육과정부터이며, 1999년에 수행평가가 도입되면서 말하기 교수 및 평가자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말하기 평가에 대해 일선 교육 현장에서 참고할 만한 국내 연구자료가 빈약한 실정일 뿐 아니라 외국의 이론들과 세계적인 평가기관들의 말하기 평가는 외국어로서 영어를 배우는 우리나라 상황에 적합하지 않아 이에 대한 다양한 국내 현장 적용 연구들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Heaton(1988)등 많은 학자들이 중요성을 강조한 평가의 역류효과(washback)에 대한 실험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말하기 평가의 시행이 국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에게 미치는 역류효과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이를 평가유형별로 비교하여 국내 고등학교에서의 말하기 평가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말하기 평가들이 구두면접(Oral Proficiency Interview) 이나 유사 구두면접(Simulated Oral Proficiency Interview)의 형태로 되어있는 것에서 착안하여 말하기 평가유형을 상호작용의 유무에 따라 양방향과 일방향으로 구분한 새로운 접근법으로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이들의 역류효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본 실험연구는 서울 시내 여자 실업계 고등학교 2학년 180명을 대상으로 16주간 실시되었다. 실험대상은 양방향 실험·통제집단, 일방향 실험·통제 집단의 4집단으로 나누었으며, 두 실험집단에게는 실험이전·이후 말하기 평가, 그리고 3차례의 실험 중간 말하기 평가로 총 5회의 평가를 두 통제집단에게는 실험이전·이후 말하기 평가로 총 2회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때 동일 교과 내용에 대한 두 가지 형태의 평가지로서 양방향 실험·통제집단에게는 양방향 평가지를, 일방향 실험·통제집단에게는 일방향 평가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영어에 대한 태도, 말하기 학습 전략, 정서적 상태와 같은 비언어적 측면에 대한 말하기 평가의 역류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실험이전·이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기타 역류효과들을 조사하기 위해 실험이후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t검증 통계처리와 질적 분석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말하기 평가의 실시는 두 평가유형 모두에서 말하기 능력의 향상에 긍정적 역류효과를 가져왔다. 두 평가유형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현상으로는 말하기 평가 실시가 평가를 실시하지 않은 것보다 다양한 표현의 범위(range)와 과제 수행도에서 말하기 능력을 더 향상시켜 주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발음, 유창성, 문법의 경우도 장기간의 실시라면 역류효과가 나타날 가능성들이 발견되었다. 각 유형별 특정으로는 두 사람이 협동할 수 있는 양방향 평가가 과제 수행도에서 상대방에게 신경 쓰지 않고 자신의 발화에 집중할 수 있는 일방향 평가가 유창성에서 각각 조금 더 큰 역류효과를 보여준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양방향과 일방향의 두 실험집단간 향상도를 비교해 보면, 이와 같은 유형별 차이는 매우 적어 전반적으로 양방향 평가와 일방향 평가가 말하기 능력의 향상에 미치는 역류효과는 거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언어적 측면에 대해서도 말하기 평가의 역류효과는 분명히 나타났다. 즉, 두 평가유형 모두 학습자들의 영어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말하기 학습 전략 사용을 활성화시키며, 말할 때 정서적인 안정감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영어에 대한 태도 중 세부항목인- 영어에 대화 흥미 와 전사된 발화자료에 나타난 말하기 전략 및 대화유지기술의 사용횟수에 대해서는 양방향 평가가 일방향 평가보다 훨씬 더 큰 역류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말하기 평가의 기타 역류효과들에 관하여는 양방향 평가가 일방향 평가보다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평가유형의 대다수 학생들은 말하기 평가로 인해 공부를 많이 하게 되었고, 학습에 도움을 받았으며, 장차 말하기 평가의 도입을 찬성한다고 응답함으로써 말하기 평가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양방향 실험집단이 일방향 실험집단보다 모든 문항에서 긍정적인 반응의 비율이 조금씩 더 높았으며 특히 배우고 싶은 영역으로서 말하기에 대한 관심도와 평가유형의 선호도면에서 월등히 큰 역류효과를 보여주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가 우리 나라 영어교육에 주는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양방향과 일방향 평가유형은 말하기 능력의 향상에 미치는 역류효과에 있어서 모두 효과적인 평가방식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평가유형의 선택은 교과내용에 적합한가를 기준으로 하여야 하며 양방향 평가와 일방향 평가를 균형적으로 잘 배합하여 사용하면 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언어적 측면에서 일방향 평가와 비슷한 역류효과를 가지지만 언어 외적 측면에서 긍정적 역류효과가 훨씬 큰 양방향 평가가 주축이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를 바탕으로 국내 현장에 적용 가능한 연간 말하기 평가 모형을 제안하였다. 앞으로 우리 나라 중·고등학생들에게 긍정적 역류효과가 큰 말하기 평가에 대한 후속연구가 계속 이어져야 하겠으며, 국내 여러 평가기관들에서 타당도와 신뢰도가 공인되는 다양한 중·고등학생용 말하기 평가들이 개발, 실용화되어야 할 것이다. ; Speaking in teaching English has been emphasized on since 1980s, when communicative approach was prevalent, but it was not actually applied to our schools until the 5th curriculum. However, currently speaking needs to be taught and evaluated seriously due to the followings: the 6th curriculum which has been enforced since 1995; the performance assessment which has been implemented for reforming the educational system since 1999; the internationalization and the globalization in the coming 21st century. Even though teachers in real classrooms are required to implement speaking tests due to performance assessment, there is little research data to refer to. Foreign theories and speaking tests from distinguished international assessment institutions cannot be applied to Korean situation, where English is used as a foreign language. Therefore, further domestic empirical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speaking tests suitable to Korean students. The effect that assessment instrument has on teaching and learning is called washback . Heaton (1988) and many scholars have insisted that the assessment is one of main influences to change the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This research is mainly about washback of speaking tests on the English learners in Korean high schools. Getting an idea from the most representative speaking test types, that is, oral proficiency interviews and simulated oral proficiency interviews, I classified speaking test types into two-way and one-way speaking tests. The washbacks of these two test types are compared and analyzed linguistically and non-linguistically. Linguistic washback is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speaking ability and non-linguistic washback is analyzed as to the 3 variables such as attitude toward English, learning strategies for speaking and affective state. Based on the result, it is investigated which test types leads to better washback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wo experimental groups and two control groups of 180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for 16 weeks. Both groups were divided by two-way and one-way speaking test types. Each group was composed of 45 girl students. Two experimental groups were evaluated five times; a pre-test, a post-test and three mid-term tests. Two control groups took a pre-test and a post-test. For investigating non-linguistic washback, questionnaires was us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nd for the other washback,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were used after the experiment. The results of statistics and qualitative interpretation are as follows: First, regardless of test types, speaking tests brought the positive washback on improving speaking ability, especially on the extension of various linguistic expressions, and task completion. Also, in pronunciation, fluency and grammar, a little washback was found. As the characteristics of test types, two-way speaking tests showed more salient washback on the task completion and one-way speaking tests, on fluency. Nevertheless, however, both test types made similar amount of washback on improving speaking ability, in general. Second, washback of speaking tests appeared on non-linguistic aspects are as follows: having students to take positive attitude toward English, encouraging them to use learning strategies for speaking and letting them feel comfortable when speaking. However, two-way speaking tests showed more salient washback than one-way tests on the nonlinguistic aspects, especially as in interest in English and the frequency of using speaking strategies such as conversational gambits, fillers and back channel feedbacks as shown in the transcribed speech data. Third, two-way speaking tests were also proved to be more effective than one-way tests in the respect of other washback, in general. The experimental groups of both test types answered in the very affirmative mood and agreed to the introduction of speaking tests. However, the two-way experimental group responded to all questions more affirmatively than the one-way experimental group. They expressed the opinions that speaking tests were very useful and they would like to take them afterwards.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oth two-way and one-way speaking tests are effective test types for improving speaking ability, therefore test types should be selected rationally in accordance with textual content. Thus, School teachers should use two-way and one-way speaking tests in balance. However, two-way speaking tests which have more washback should be emphasized. Based on this study, I suggested a model for speaking tests that can be practically applicable to English classrooms in Korean high schools. Speaking tests should be supplemented with ongoing empirical research. Moreover, domestic assessment institutions should be diversified to develop speaking tests appropriate for Korean students, whose validity and reliability can be officially approv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iii I. 서론 = 1 II. 이론적 배경 = 3 A. 의사소통능력의 정의 및 구성요소 = 3 B. 말하기 평가의 기초 = 7 C. 말하기 능력의 평가요소 = 11 D. 말하기 평가의 유형 및 방법 = 19 E. 말하기 평가의 절차 = 26 F. 말하기 평가의 역류효과 = 29 III. 연구 방법 = 32 A. 연구 주제 = 32 B. 실험 대상 = 32 C. 실험 자료 = 32 D. 실험 절차 = 41 E. 연구의 제한점 = 48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50 A. 말하기 평가 유형이 말하기 능력의 향상에 미치는 역류효과 비교 분석 = 50 B. 말하기 평가 유형이 영어에 대한 태도, 말하기 학습 전략, 정서적 상태에 미치는 역류효과 비교 분석 = 57 C. 말하기 평가 유형별 기타 역류효과의 비교 분석 = 65 D. 양방향 실험집단과 일방향 실험집단의 향상도 비교 분석 = 72 E. 양방향 평가와 일방향 평가의 국내 고등학교 현장 적용 방안 = 75 VI. 결론 = 92 참고문헌 = 96 부록 = 105 Abstract = 12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1684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고등학교 영어 말하기 평가의 역류효과 (Washback)에 대한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양방향 평가유형과 일방향 평가유형을 중심으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