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진희-
dc.creator박진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6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027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8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762-
dc.description.abstract아동의 미술활동에 있어서의 미술교육은 조화로운 인성발달을 위한 전인교육적 관점을 토대로 아동의 창의성 발달과 정서함양, 조형 및 표현 능력 신장에 목표를 둔다. 대부분의 아동들은 미술경험을 통해서 의사소통, 미적지각의 확장, 주의깊은 관찰에 의한 표현, 느낌의 표현, 자아개념의 강화, 인지기능의 사용, 심상개발, 사회적 상호작용과 다른 시각의 이해 등의 기회를 갖게 된다. 따라서, 아동들이 주변환경에 대한 질서의 가능성을 보다 신중히 생각하게 함으로써 조화로운 인간으로 발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자폐아동을 위한 미술활동도 이와 같은 기초적 맥락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미술활동을 통해서 분노, 적대감, 부정적 감정을 긍정적 방법으로 해소시킬 수 있으며 자신의 무의식적 생각, 감정, 느낌 등을 표현함으로서 의사소통의 방법도 될 수 있다. 또한 가장 중요한 소근육의 발달과 눈·손의 협응발달에도 도움을 줄 수 있고, 다양한 미술재료와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변화에 대한 저항감을 줄여 사회성 발달에 도움을 준다. 자폐증아동의 증상인 언어장애, 대인관계의 이상, 반복적 행동, 변화에 대한 저항 등의 증상들이 적극적이고 포괄적인 접근방법으로 치료와 교육을 반드시 병행하여야 한다. 연구자는 이러한 치료교육적 측면에서의 미술활동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좀더 다양한 재료의 접근과 환경친화적인 접근, 기법의 이용으로 접근함으로써 자폐아동들의 소근육발달, 모방, 눈·손의 협응력발달과 사회성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개별미술 활동 프로그램의 개발을 연구하게 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2000년 6월부터 2001년 2월까지 소아정신과 발달장애아 주간치료실에서 일주일에 1번씩 자폐아동의 미술활동을 계획하여 실시하였다. 수업내용은 6-9세 자폐아동들에게 기본적으로 필요한 미술활동을 좀 더 효과적으로 접근하기 위하여 그리기와 만들기의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실시하였다. 발달심리학적 관점의 로웰펠드의 발달단계의 기준에 맞추어서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인간의 두뇌가 정상적인 아동과 특수(자폐)아동의 표현활동은 대체로 5살까지 다소 차이는 나지만 아주 심하게 수업이 힘든 경우를 제외하고는 미술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고 볼 때 6-9세 자폐아동들의 미술활동교육이 갖는 시사점은 크다고 볼 수 있으므로 이 연구가 계획되었다. 미술활동을 3단계로 구분해서 1단계에서는 흥미위주와 교사와의 애착관계를 위해 정서적 접근을 하였고 2단계에서는,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데 목표를 두었으며 3단계에서는 적극적인 표현과 참여에 목표를 두었다. 총 24회의 미술활동을 통해서 주간치료시에서 이루어지는 영역별 기능을 평가하여 사례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폐아동의 자폐미술활동은 아동들의 소근육발달과 눈, 손의 협응력 발달, 사회성발달의 기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변화에 적응하려는 모습들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자폐아동의 미술활동에 그치며 자폐아동을 위한 미술프로그램의 체계적인 개발과 연구가 어떤 시사를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가지고 많은 지원과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The art education for children aims at the developments of whole-person perspective and creativity, the emotional enhancement, the extension of formative, expressional or communicational ability, and the intensification of self-concept to ultimately make children build integrated personality. The a education for the autistic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same context and, if properly constructed, it can change the autistic s anger and hostility into positive feelings and also reduce their repugnance against communication, the developments of their small muscles and the corresponding developments of their eyes and hands. The author of this study provided a three-step art program to autistic children by inviting them to one daytime psychiatric clinic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once a week, 24 times in total, from June 2000 to Feb. 2001. The first step was to approach to the children s feelings to excite their interest and form their attachments to the author of this study. The second step was to promote the children s voluntary participation in art activities. And finally, the third step focused on the active expression and perceptional development. The principal art activities of the children were analyzed according to Lowenfeld s classification of children s developmental stages and mainly around the expressions of the children before and in the graphic perio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he dynamic and interesting quality of art helped the autistic children to build a trustworthy relationship with the author of this study and develop their sociality. Second, the art activities did promote the children s developments of small muscles and the corresponding developments of eyes and hands. Third, the flexible art activities with useful materials and tools reduced the autistic children s repugnance against any kind of change. Fourth, the art activities reduced the children s complaint. Fifth, the art activities gave the children confidence and a sense of achievement. Sixth, the art activities increased the children s concentration and stimuli for developing linguistic ability. For autistic children to do art activities successfully, structural provision of art education is required and further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programs are demanded. If we admit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fine art and make most of it in more positive ways, art activities will have a therapeutic function as well as educational func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2 C. 연구의 방법 = 3 II. 이론적 배경 = 4 A. 자폐증에 관한 사적고찰 = 4 B. 자폐증의 증상과 특성 = 7 C. 자폐증 아동에 관한 미술지도의 의의 = 12 1. 효과적인 미술지도의 접근방법 = 13 2. 자폐아동의 조형상의 특징 = 15 3. Lowefeld의 미술표현 발달단계 = 17 III. 사례연구 및 결과 = 22 A. 연구대상 = 22 B. 사례연구 = 29 C. 결과 = 58 IV. 결론 = 64 참고문헌 = 66 도판 = 68 영문초록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553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6세-9세 자폐아동의 미술활동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