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03 Download: 0

교수 유형과 형태·의미적 특성에 따른 한국어 띄어쓰기 지도 효과 연구

Title
교수 유형과 형태·의미적 특성에 따른 한국어 띄어쓰기 지도 효과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Korean Spacing Word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ing Methods and Types of grammar morpheme
Authors
김민희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 유형과 형태·의미적 특성에 따른 띄어쓰기 지도 효과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형태적 또는 의미적으로 유사한 의존명사와 조사, 의존명사와 어미의 띄어쓰기 양상 차이를 암시적 또는 명시적 방법을 통해 제시하고, 학습자가 이를 인지하는 정도의 차이를 사전·사후 시험·지연 시험 결과를 분석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I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본고의 연구 문제는 첫째, 암시적 교수 유형과 명시적 교수 유형을 통해 띄어쓰기 지도를 받은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형태와 의미가 특성 여부에 의해 구분되는 의존명사와 조사 및 어미 유형에 보다 효과적인 교수 유형이 존재하는가이다. II장에서는 ≪한글 맞춤법≫에 나타난 의존명사의 띄어쓰기 규정을 조사와 어미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에서 목표 항목으로 선정한 의존명사와 조사 또는 어미의 형태 의미적 특성을 분석하고, 암시적 교수 유형과 명시적 교수 유형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III장에서는 형태 또는 의미가 유사한 목표 항목과 비교 항목을 구분하여 인식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목표 항목을 포함한 문장을 원고지에 옮겨 적어 띄어쓰기 양상을 파악하는 검사를 개발하고 수도권 대학의 학문 목적 한국어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IV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기술하였다. 첫째로 명시적 유형을 통해 띄어쓰기를 지도한 집단이 암시적 유형을 통해 지도한 집단보다 높은 교수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로 형태와 의미가 모두 다른 경우는 어떤 교수법이든 처치 후 정답률의 상승을 보였고, 의미가 유사하고 형태가 다른 경우와 의미와 형태가 모두 유사한 경우는 명시적 지도 방법이, 의미가 다르고 형태가 유사한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V장에서는 본고의 결론 및 논의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띄어쓰기 문제를 문법 인식을 요구하는 활동으로 살피고자 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고에서 다루지 못한 학습자 개인별 성향과 선호하는 교수 유형의 상관관계를 밝힐 수 있는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This paper investigated cognition of students in regards to Korean spacing words, and an educational significance was elucidated through the two hypotheses. Hypothesis 1 is that the correct usage of spacing words will be related to the teaching method which could orientate explicit approach or implicit approach. Hypothesis 2 is that spacing words will be influenced by the types of grammar morpheme which depend on the form or the meaning similarit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experiments on classes were conducted on an intermediate level of KAP (Korean for Academic Purpose) learners. The subjects were 20 students who were from China and have studied Korean for at least 5 months but less than one year.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the result of two groups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rough the post-accomplishment test on the target forms and with a prolonged test one week la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explicit approach group revealed higher improvement than the implicit group when the types have the syntactic structure differences between the target grammar morphemes. if the forms are similar there are no statistical meaningful results between the teaching approach method even though the morphemes have significantly different meaning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explicit method of teaching two or more morphemes which are similar in the form or the meaning at the same time is more effective than the implicit way in developing awareness of spacing word so that, the consciousness-raising task and the garden-paths are recommended as one way to achieve Korean spacing words. This paper did not examine the impact of individual student learning styl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