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미숙-
dc.contributor.author김지원-
dc.creator김지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8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1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82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134-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ttempts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comfort food and categorize the preceding studies concerning comfort food, which is an unfamiliar concept to Koreans. It also investigates the level of public awareness of the concept among Koreans and examines whether they have such food, what kinds of comfort food are consumed, how often they consume such food, and how they feel after consuming comfort food. A questionnaire was devised in order to find out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omfort food, gender, the level of stress one feels, eating behavior, dietary life, and body mass index (BMI). The participants were informed about the definition of comfort food derive from the preceding studies and asked to write down their comfort food on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form without being given any hint of its types. The questionnaire then was divided into several sections: the level of stress participants feel, which was measured by the Hassles Scale; eating behavior examined by the Dutch Eating Behavior questionnaire (DEBQ); dietary life by mini dietary assessment index (MDA); and other general information and BMI figure. From this survey of 404 participants, mostly college students, housewives and company employees from Seoul and it suburban area, it was revealed that while Koreans are unfamiliar with the idea of comfort food, it does exist for them. 241 persons in total answered that they have comfort foods. Although they were quite various, they could be classified into eighty categories of the same or similar kinds. They were again classified into 25 different categories. Finally, they were again categorized into five groups: meals, fast foods, snacks, non-alcoholic beverages, and alcoholic beverages. The most popular comfort foods among the participants were chocolate, coffee, alcoholic beverage, fried chicken, kimchi-stew, roast meat, tteokbokki, bean paste stew, and ice cream. 'Personal comfort foods' comprise food that was chosen by only one person or was described with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mom’ or ‘family’. The comfort foods unique among Koreans were Kimchi-fried rice, kimchi-stew, bean paste stew, roast meat, samgyupsal, and tteokbokki, which could not be seen in preceding studies conducted in other countries. However, foods such as chocolate, fried chicken, cake and pastries, and ice cream were the common comfort food noted by foreign researchers. The highest consumption frequency of comfort food was once to three times a month, followed by once to twice a week and three to four times a week. The consumption frequency of comfort food differed from group to group in big division. Meals and fast food were most consumed once to three times a month, while non-alcoholic beverages were consumed three to four times a week. Alcoholic beverages were consumed once to twice a week; snacks were consumed oncee to three times a month or once to twice a week. Most people replied that they feel contented, relaxed or less depressed after consuming comfort food. However, some reported they feel regret because they worry about gaining weight, which was most prominent among those who consumed fast food or snacks as comfort food. The consumption of comfort foo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ation to gender. Women were more liable to have comfort food than men, and their list showed that women preferred chocolate as comfort food but men preferred Korean-style grilled beef. Women were shown to prefer non-alcoholic beverages, but men were shown to prefer alcoholic beverages. Stress and comfort food were not seen to be much related, but in eating behavior comfort food had a significant relation with emotional eating and external eating. People who have comfort foods scored highly in both emotional and external consumption; meals and fast food were among the highest in emotional eating, while fast foods and beverages were highly shown in external eating. The relation of dietary life and comfort food did not seem to be meaningful. However, BMI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relation with comfort food. People who enjoy comfort food were shown to have lower BMI than those who do not. The highest BMI was recorded by those who do not have comfort food, whereas people who consumed alcoholic beverages as comfort food recorded the second-hishest BMI. People who consumed non-alcoholic beverages were shown to have the lowest BMI.;본 연구는 아직 한국에서 개념이 부족한 위로 음식(comfort food)의 개념을 조사하고, 위로 음식이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조사도구인 설문지는 자기보고식 설문형식으로 일상적 스트레스와 식행동 질문지(DEBQ), 간이식 식생활 진단표(MDA), 그리고 일반적 사항과 BMI(Body Mass Index)에 대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총 404명(남자 170명, 여자 234명)이었으며 조사결과 한국인은 위로 음식이라는 용어에 대한 인지는 낮았으나, 위로 음식이 있는 경우가 59.7%로 조사대상자의 50% 이상이 위로 음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위로 음식은 종류에 따라 80가지로 정리하였고 이것을 다시 25 종류로 분류 하였다. 그리고 다시 5군인 식사군, 패스트푸드군, 간식군, 음료군, 주류군으로 분류하였다. 음식 중 가장 많이 선택된 초콜릿, 커피류, 주류, 치킨류, 김치찌개류, 고기구이류, 떡볶이류, 된장찌개류, 아이스크림류는 보편적인 위로음식으로 나타났다. 개인적인 위로 음식에는 한 명이 선택한 위로 음식이나 위로 음식 기재 시 ‘엄마’나 ‘가족’과 같은 개인적인 특징을 적은 음식들로 총 46종 이었다. 외국의 사례에서는 볼 수 없는 한국인 만의 위로 음식으로는 김치찌개, 김치볶음밥, 된장찌개, 고기구이류, 삼겹살, 떡볶이 등이 있었으며 46.9%나 차지하였다. 또한 외국의 선행 연구에서 공통적인 위로 음식으로 나타난 초콜릿, 치킨, 케이크•빵류, 아이스크림 등은 53.1%였다. 위로 음식의 섭취 빈도는 1달에 1-3회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주 1-2회, 주 3-4회순이었다. 위로 음식의 대분류에서 식사군과 패스트푸드군은 1달에 1-3회가 가장 많았으나 음료군은 주 3-4회, 주류군은 주 1-2회, 간식군은 1달에 1-3회와 주 1-2회가 가장 많아 위로 음식의 종류에 따라 섭취빈도의 차이가 나타났다(p<.001). 위로 음식을 섭취한 후 느끼는 감정은 마음이 편안해지고, 스트레스가 해소되며 우울함이 해소된다는 긍정적인 감정이 전체의 91.3%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살이 찔 것 같아 후회된다는 부정적인 감정도 있었는데 이는 고칼로리나 고지방 음식이 많은 패스트푸드나 간식류의 위로 음식에 나타난 감정으로 6.2%로 나타났다(p<.001). 위로 음식은 성별에서도 차이를 볼 수 있었는데 위로 음식 존재 여부에서 여성 중 73.5%가 위로 음식이 있다고 답하였으나 남성은 단지 40.6%만이 위로 음식이 있다고 했다. 위로 음식 25종류에서 남성은 고기구이류를 가장 많이 선호하였으나 여성은 초콜렛을 가장 선호하였다. 위로 음식의 5군과의 관계에서 남성과 여성 모두 식사군과 간식군이 많이 나타났으나 남성은 여성에 비해 주류군이 높게 나타났으며 여성은 음료군이 높게 나타났다.(p<.05). 일상적 스트레스와 위로 음식에서는 위로 음식이 있는 군에서 일상적 스트레스가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본 조사에서는 뚜렷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식행동 질문지(DEBQ)를 이용한 식행동 조사에서 위로 음식이 있는 군이 정서적 섭식요인과 외부적 섭식요인에서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나(p<.001) 절제적 섭식요인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위로 음식에 따른 간이식 식생활 점수(MDA)는 차이가 없었으나 체질량지수(BMI)에서는 차이가 있어 위로 음식이 있는 사람이 BMI가 더 낮게 나타났다(p<.001). 또한 위로 음식의 종류에 따라서도 BMI 차이가 나타났는데 주류군의 BMI가 높았고 음료군이 가장 낮았다(p<.05).-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연구의 이론과 배경 4 A. 위로 음식 4 1. 위로 음식(Comfort food) 의 정의 4 2. 위로 음식에 대한 선행 연구 10 B. 일상적 스트레스 13 C. 식행동 질문지 13 D. 간이식 식생활 진단표 14 III. 연구 방법 15 A. 연구 내용 및 가설 15 B. 연구 대상 및 표집 절차 17 C. 측정도구 18 D. 자료의 분석 방법 20 IV. 분석 결과 및 고찰 22 A. 조사 대상자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 22 B. 한국인의 위로 음식 24 1. 위로 음식에 대한 인지 여부 24 2. 위로 음식의 유무 25 3. 위로 음식의 종류 26 4. 보편적인 위로 음식과 개인적인 위로 음식 33 5. 한국적인 위로 음식과 글로벌한 위로 음식 37 6. 위로 음식의 섭취 빈도 41 7. 위로 음식의 섭취 후 감정 45 C. 위로 음식과 성별 50 D. 위로 음식과 일상적 스트레스 56 E. 위로 음식과 식행동 58 F. 위로 음식과 식생활 진단 62 G. 위로 음식과 체질량 지수 65 V. 요약 및 결론 67 참고문헌 72 부록 82 Abstract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754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위로 음식(Comfort Food)의 섭취가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수도권 20-30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of the Consumption of Comfort Food on Eating Behavior-
dc.creator.othernameKim, Ji Won-
dc.format.pagexi, 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