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종임-
dc.contributor.author박서영-
dc.creator박서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6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40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53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405-
dc.description.abstractToday, we live in an age of globalization, informatization, and liberalization. In order to actively respond to such global trends, there is a need to be able to communicate naturally in the English language, which is taking its place as the global official language. The goal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is to foster the capacity to become able to understand and conduct basic everyday communication in English. In order to cultivate such communication skills, there is a pressing need for effective listening education, and as part of this process, pre-listening activities, which can be actively utilized in listening comprehension are being emphasized. Moreover, as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s, and considering that multimedia education has the potential to transform the current educational paradigm, it is necessary to develop learning-types and conduct an effectiveness analysis in order to satisfy the demands for diverse education methods and contribute to cultivating communication skills. Accordingly, this study has examined how various multi-media assisted pre-listening activities influence students' English listening comprehension as well as their affective attitude. Hence, the study has looked into how pre-listening activities influence learners' recognition and attitude, by conducting three different pre-listening activities to students in three experiment groups, which were previewing the questions (PQ), watching image videos presenting key words and phrases (IV), and a vocabulary-learning through animation (VA), to see how these activities influence learners'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capacities. For this purpose, the abovementioned three listening activities utilizing multimedia tools were conducted on 100 students in grade 8 for four weeks over two sessions. In the experiment group which previewed the question before listening, the question was presented through a multimedia channel, and for the group viewing the image video, images related to the contents of the listening passage including key words and phrases were presented in a video clip. Finally, in the vocabulary-learning through animation group, animation clips were utilized to present the vocabulary and expressions which appear in the listening passage. After each respective pre-listening activity, a listening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warming up activities on learners' listening comprehension, and ad-hoc and post-hoc surveys were conducted to see how the effects of pre-listening activities affect the affective attitud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when taking a look at the effects of the average score for chapter 8 and chapter 9 was highest for the IV group, and the listening comprehension score of the PQ group was the lowest. Furthermore, from the subgroups the average listening comprehension score of the IV group was the highest, and was lowest for the PQ group. In the case of the whole group the average score of the IV group was the highest, and the PQ group was the lowest.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pre-listening activity or listening levels. Secondly, when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type of pre-listening activities utilizing multimedia tools, with regard to comprehending the contents, from the top group the average score of the VA group was the highest, and the average score of the IV group was the lowest. With regard to the scores of the subgroups, the VA learning group presented the highest scores, and the PQ group showed the lowest score. Finally, with regard to the whole group, the VA group was the highest and the question previewing group’s average score was the lowest. In terms of expression, from the top group the average score of the IV viewing group was the highest, and the PQ group’s average score was the lowest. In the case of the subgroup, the IV group showed the highest average score, and the PQ group revealed the lowest average score. Finally, in the case of the average score of the whole group, the IV group was the highest and the average score of the PQ group was the lowest.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mprehension of the contents and expression according to the type of activity. Thirdly, when examining the recognition and changes in attitude regarding pre-listening activities before and after conducting the listening activ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after conducting the activities in the response categories of “(The activity) helped actively participate in listening”, “boosted confidence”, “increased interest in the content of the listening paragraph". However, responses stating that the pre-listening activities generally help listening and, the activities increased concentration in listening, and that there was a willingness to utilize pre-listening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response. In the post-hoc comparison result, the IV group attain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for all three response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ritten responses, learners responded in common with a positive response that the pre-listening activities helped pay more attention to listening. Gathering the above contents, pre-listening activities utilizing multimedia channel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istening comprehension of learners contrary to the expectation that it would contribute positively to listening comprehension and affective attitude based on the aforementioned theories and preceding research, but contributed partially to the affective attitude of learners. The reason that the image video viewing activity presenting the key vocabulary and phrases and vocabulary learning through animation activity did not bring significant results can be analyzed within the same context of the research of Mayer, Heiser and Lonn. A possible interpretation is that this was because learners in the IV group and VA group received two forms of information, both video and text through one channel which caused a cognitive loa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e-listening activities in order to help English listening comprehension and to induce active participation. Secondly, rather than considering the diversification of pre-listening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learners' cognitive structures when providing pre-listening activities. Thirdly, pre-listening activities that correspond to the goals of the listening lesson must be provided. Fourthly, there is a need for developing pre-listening activities which graft multimedia channels which reduce students' anxiety regarding listening comprehension in general. In addition,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explains about the overall effects of pre-listening activities using results from short-term learning. Therefore, follow-up studies examining the long-term effects of pre-listening activities and studies on pre-listening activities which correspond to the learning objective and learners' cognition are necessary.;오늘날 우리는 세계화, 정보화, 개방화 시대에 살고 있다. 이러한 세계사적 추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세계 공용어로 자리 잡아 가고 있는 영어로 의사소통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설정한 영어 교육의 목표 또한 세계화 시대에 대비하여 일상생활에 필요한 영어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다. 의사소통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듣기 교육이 절실하게 요구되며, 이에 대한 일환으로 듣기 이해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듣기 전 활동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정보통신 기술이 점차 발전함에 따라 멀티미디어 접목 교육이 기존 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것으로 간주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다양한 교육 방법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고 의사소통 능력 배양에 기여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듣기 전 활동의 유형 개발과 효과 분석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멀티미디어를 사용한 다양한 듣기 전 활동이 학습자의 영어 듣기 이해와 정의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에 세 집단의 학생들에게 각각 다른 듣기 전 활동으로 질문 미리 보기 활동, 핵심 어구가 제공되는 이미지 동영상 보기 활동, 애니메이션을 통한 어휘 학습 활동을 제시하고 내용 이해와 표현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있는지 살펴보고 각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듣기 전 활동이 학습자의 듣기 전 활동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중학교 3학년 학습자 100명을 대상으로 4주 동안 집단 별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세 가지 듣기 전 활동을 실시하였다. 질문 미리 보기 집단에는 평가에 나오는 질문이 멀티미디어 매체를 통해 제시되었으며, 이미지 동영상 보기 집단에는 핵심어구를 포함한 듣기 내용과 관련된 이미지가 동영상으로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애니메이션 어휘학습 집단에는 애니메이션을 활용하여 듣기 내용에 나오는 어휘와 표현을 제시하였다. 각 듣기 전 활동 후에는 듣기 평가를 실시하여 듣기 전 활동이 듣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실험 전 후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듣기 전 활동이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듣기 전 활동 유형이 듣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8단원과 9단원 평가의 평균점수는 상위집단 중에서 이미지동영상보기 집단의 점수가 다른 두 집단에 비해서 가장 높았으며, 질문미리보기 집단의 듣기 이해 점수가 가장 낮았다. 나아가 하위집단 중에서 이미지동영상보기 집단의 듣기 이해 평균 점수가 세 집단 중 가장 높았으며, 질문미리보기 집단의 듣기 이해 점수가 가장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체집단의 경우 이미지동영상보기 집단의 경우 평균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질문미리보기 집단의 평균점수가 가장 낮았다. 그러나 듣기 전 활동 유형 및 듣기 수준에 따른 듣기 이해 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듣기 전 활동 유형이 듣기 이해의 내용 이해와 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먼저 내용 이해의 경우 상위집단 중 애니메이션어휘학습 집단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이미지동영상보기 집단의 평균점수가 가장 낮았다. 하위집단의 점수의 경우 애니메이션어휘학습 집단이 가장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으며, 질문미리보기 집단이 가장 낮은 평균점수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전체집단의 경우 애니메이션어휘학습 집단이 가장 높았고 질문미리보기 집단의 평균점수가 가장 낮았다. 다음으로 표현의 경우 상위집단에서 이미지동영상보기 집단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질문미리보기 집단의 평균점수가 가장 낮았다. 하위집단의 경우 이미지동영상보기 집단이 가장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으며, 질문미리보기 집단이 가장 낮은 평균점수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전체집단의 평균점수의 경우 이미지동영상보기 집단이 가장 높았고 질문미리보기 집단의 평균점수가 가장 낮았다. 그러나 듣기 전 활동 유형 및 듣기 수준에 따른 내용 이해 및 표현 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셋째, 듣기 전 활동 전후 영어 듣기 전 활동에 대한 인식과 태도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듣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는 응답, 자신감이 향상되었다는 응답, 들을 내용에 대한 흥미가 향상되었다는 응답의 사후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듣기 전 활동이 듣기에 전반적으로 도움이 된다는 응답과 듣기 전 활동이 듣기에 집중하게 되었다는 응답, 그리고 듣기 전 활동에 대한 활용의향이 있다는 응답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에 대한 사후 검정 결과 이미지동영상보기 집단은 세 가지 응답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또한 서술형 응답의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공통적인 긍정적 의견으로 듣기 전 활동을 통하여 보다 더 듣기에 주의를 기울일 수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교육학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듣기 이해를 돕고 보다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한 듣기 전 활동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듣기 전 활동의 다양화를 고려하는 것보다 학습자들의 인지 구조를 고려하여 듣기 전 활동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듣기 목적에 부합하는 듣기 전 활동을 학습자에게 제공해 주어야 한다. 넷째, 듣기 자체에 대한 불안감을 감소시키는 멀티미디어를 접목한 듣기 전 활동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본 연구는 단기적인 학습의 결과를 측정하여 듣기 전 활동의 전반적인 영향에 대해 설명하는 데 한계점을 가진다. 따라서 학습의 목표와 학습자의 인지에 부합하는 듣기 전 활동 개발에 관한 연구 및 듣기 전 활동의 장기적인 효과를 알아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A. 듣기의 개념 및 중요성 4 B. 듣기 이해 과정 6 C. 듣기 전 활동 10 1. 듣기 전 활동의 개념 및 중요성 10 2. 듣기 전 활동의 유형 12 3. 듣기 전 활동 시 유의점 13 D. 멀티미디어 교육 14 1. 멀티미디어의 개념 및 특성 14 2. 멀티미디어 교육 기반 이론 15 3.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17 E. 선행연구 19 Ⅲ. 연구방법 25 A. 연구 질문 25 B. 연구 대상 26 C. 연구 자료 27 1. 듣기 학습 자료 28 2. 듣기 이해 평가지 29 3. 설문지 30 4. 멀티미디어 활용 듣기 전 활동 자료 31 5. 멀티미디어 활용 듣기 전 활동지 33 D. 연구 절차 36 1. 실험 이전 절차 36 2. 실험 수업 절차 및 듣기 전 활동 38 3. 실험 자료 분석 39 E. 연구의 제한점 40 Ⅳ. 연구결과 및 논의 41 A. 집단 간 듣기 전 활동 유형에 따른 듣기 이해 효과 비교 41 B. 듣기 전 활동 유형이 내용 이해 및 표현에 미치는 영향 44 1. 듣기 전 활동 유형이 내용 이해에 미치는 영향 44 2. 듣기 전 활동 유형이 표현에 미치는 영향 46 C. 듣기 전 활동에 대한 정의적 태도 분석 49 1. 척도 문항 분석 49 2. 서술형 응답 분석 64 Ⅴ. 결론 및 제언 68 참고문헌 73 부록 80 ABSTRACT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2835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듣기 전 활동 유형이 중학생의 영어 듣기 이해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Multimedia-Assisted Pre-Listening Activities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Listening Comprehension and Affective Attitude-
dc.creator.othernamePark, Seo-Young-
dc.format.pagexii, 10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