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수지-
dc.contributor.author이소라-
dc.creator이소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3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6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8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67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compare the disparity of responses to joint attention among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utism based upon language, songs, and musical instrument stimulus. The subjects were two groups of preschool children- 10 of each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utism respectively- who attended a special nursery school in Busan. The practical research was carried out through the random sampling from three types of stimulus: 1) name and specific language stimulus, 2) 8 measure-structure-song stimulus, and 3) rhythmic instrument stimulus. The number of responses upon stimulus was recorded; then the statistics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rough SPSS ANOVA.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provide evidence that the meaningful disparity exists among language, song, and musical instrument stimuli.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howed high response of 50% for all three stimuli with little disparity. Autistic children responded with more variance among stimuli, and the impact of the stimulus was stronger in the following order: musical instrument>songs>language. In other words, autistic children showed the lowest response for language stimulus, while the highest response was for the musical instrument. Both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utism showed the highest response for the musical instrument, despite the disparity among stimuli. The main conclusion drawn from this research is that musical stimulus have a positive effect on responses to joint attention, and especially music therapy through musical instruments can be implemented effectively in order to draw children’s attention toward others.;유아는 주로 부모와의 비언어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상호작용을 하며 이후 언어능력, 자기표현 능력이 발달되고 점차 관계 맺는 대상도 다양해진다. 초기 상호작용에서 유아가 다른 사람과 함께 다른 사물에 주의를 기울이기 시작하며, 관심을 공유하려고 하는 공동주의 행동이 발달함에 따라 이후 사회성 발달 과정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유아의 발달단계에 따라 공동주의 행동도 발달하게 되는데 이 시기에 발달이 지연되면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유발하게 된다. 발달지연으로 인해 공동주의 발달에도 현저한 저하가 나타나는 대표적인 장애로 자폐스펙트럼 장애(이하 자폐성장애)와 지적장애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폐성장애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언어, 노래, 악기 자극이 제시되었을 때 공동주의 반응행동 차이를 알아보고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부산에 위치한 특수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미취학 연령인 5~8세 자폐성장애아동 10명과 지적장애아동 10명이 두 그룹으로 참여하였다. 아동에게 3가지 종류의 자극을 제시하였는데 이름과 구체적인 언어자극, 4마디 구조의 노래자극, 리듬 악기 자극으로 구분하여 무작위순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자극이 주어질 때 아동의 공동주의 반응행중 시선 따르기 행동의 빈도수를 기록하여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ANOVA로 자료를 분석하고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언어, 노래, 악기 자극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지적장애아동은 세 자극간 반응에는 큰 차이 없이 세 자극 모두 비교적 높은 반응을 보였으며, 자폐성장애아동의 경우에는 악기>노래>언어 순서로 높은 반응을 보였고 세 자극간의 차이도 많이 나타났다. 언어자극에 가장 낮은 반응을 보였고, 악기 자극에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다. 지적장애아동과 자폐아동은 자극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악기자극이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음악자극이 자폐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공동주의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그 중 악기 자극을 사용한 음악치료 중재는 다른 사람에게 주의를 갖도록 하는 중재도구로 효과적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공동주의 5 1. 공동주의 발달 5 2. 상호작용 내 공동주의와 사회적 기술 6 B. 발달장애아동의 공동주의행동 9 1. 자폐성장애아동의 공동주의 특징 9 2. 지적장애아동의 공동주의 특징 11 3. 상호작용 내 공동주의와 사회적 기술의 손상 12 C. 자극에 따른 공동주의 반응 14 1. 언어자극 14 2. 노래자극 15 3. 악기자극 17 III. 연구방법 20 A. 연구대상 20 B. 측정도구 21 C. 연구 설계 및 절차 22 D. 자료 분석 26 Ⅳ. 결과 및 논의 27 A. 결과 27 1.자극 간의 지적장애아동의 공동주의 반응행동 27 2. 자극간의 자폐성장애아동의 공동주의 반응행동 29 3.지적장애아동과 자폐성장애아동의 공동주의 반응행동 비교 30 B. 논의 34 V. 결론 및 제언 37 A. 결론 37 B. 제언 38 참고문헌 41 ABSTRACT 4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632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자폐성장애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의 공동주의 반응행동 비교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언어, 노래, 악기 자극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omparing the disparity of responses to joint attention among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autism-
dc.creator.othernameLee, So Ra-
dc.format.pageviii, 4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