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9 Download: 0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 지식공유태도와 학습 성과 간의 관계에서 학습자 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검증

Title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 지식공유태도와 학습 성과 간의 관계에서 학습자 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검증
Other Titles
Mediating effect of the interaction among stud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Knowledge sharing attitude and Learning outcomes in Wiki-Based Collaborative Learning
Authors
전미경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규연
Abstract
As we enter the 21st century, the Web became important part in the life of modern people and the purpose of education has been changed. learner should be able to solve a variety of problems in order to do this, visual access to a variety of other peopl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urgently required (Koriji, Ogawa, & Watanabe, 2001). Widely known in the mid-2000s, the Web 2.0 technologies bring about chang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ooperation can freely share and exchange information, knowledge. Wiki has great potential for cooperation among these Web 2.0 technology. anyone is free correction and learners create knowledge collaboratively through the process of co-authoring on the web. Wiki-like activity on the web,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learners all produce knowledge and participate actively in the learning process. brisk participation means active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ers, interaction in the teaching-learning situation is mentioned very important element in the improvement of learning satisfaction and achievement(Swan et al., 2000). Accordingly, the self-directed learning(SDL) could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web based learning(Driscoll & Alexander, 1998; Siddens, 1999). If a learner leads a learning process and participate actively with the ability of independent learning in the wiki based learning, he or she can produce good performance. In addition, the wiki based learning pursue knowledge sharing or construction of common and cooperative knowledge. The knowledge sharing could support collaboration between members and increase learning performance. If a learner has a positive attitude for knowledge sharing, he or she tries to transfer knowledge to the group and leads to active interaction between other members. The knowledge sharing is necessary for learners in the wiki based learning. This study aims to test if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play a mediating role when a learner’s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or attitude of knowledge sharing predicts learning performance in the wiki based learning.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Does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serve as a mediating variable wh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of learners predict satisfaction? 2. Does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serve as a mediating variable wh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of learners predict achievement? 3. Does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serve as a mediating variable when knowledge sharing attitudes of learners predict satisfaction? 4. Does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serve as a mediating variable when knowledge sharing attitudes of learners predict achievement? This study investigated 111 students in E university in Seoul who took a lecture together. This was an off-line class but used a method of wiki based learning to some extent. The instructor offered wiki-based cyber space for discussion between learners right before the mid-term examination on what correct answers for existing med-term examination problems were. It spent eight weeks for this study. Surveys were performed two times: the first survey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knowledge sharing attitude before the wiki-based wiki based learning and the second survey on satisfaction after the mid-term examination. The number of learners’ writings in the wiki before the mid-term exam were used for measurement of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was measured. Descriptive, correlative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and especially the mediating analysis of Judd & Kenny(1981) was used for testing the research questions. The major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ly,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atisfaction could not be tested, because the self-directed learning failed to predict satisfaction. For the mediating analysis of Judd & Kenny(1981), independent variable should predict dependent variable significantly in the first stage. The reason might be that most of the participants were freshmen and had hard time in adapting to the wiki based learning. In addition, the examination information could be used through other paths including other wiki boards, not the wiki. However, this result might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learning strategy because the satisfaction could be a reference of whether the same instruction method or media would be utilized hereafter. Secondly,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played a mediating role partly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hievement. This means that independent and autonomous self-directed learners interact with other learners actively and have some merits for wiki based learning because this type of learners are are much interested in learning and have attitude to learn even in the bad learning environment and open mind for new learning opportunities. Accordingly learners should strength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r high achievement and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support this ability and active participations. Thirdly,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knowledge sharing attitude and satisfaction could not be tested, because the knowledge sharing attitude failed to predict satisfaction. The reason could be due to low participation rate where a learner could be dissatisfied even though he or she has positive attitude for knowledge sharing because her or she could not expect other participants’active feedback. Additionally, another reason might be that the wiki-based wiki based learning was performed right before mid-term exam and the learners spent very short time on cooperative activities. Fourthly,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played a mediating role partly between knowledge sharing attitude and achievement. This means that positive knowledge sharing attitude of learners might lead to their active interaction between other members which could influence positively on learning achievement through collection and expansion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Therefore learners should be interested on knowledge sharing and interaction between other learners for high achievement and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support learners’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especially considering that learners are the subject of knowledge sharing process. Based on some limitation of this study, it suggests some implications for the next studies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investigated only females and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not be generalized because there could be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 on perception of learning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Henceforth, another study on influence of gender is recommended. Secondly, the activities in the wiki-based wiki based learning were not mandatory and the learners could collect important or critical information through other paths. In other words, the learners were motivated little with participation. In addition, the learners discussed only examination problems. This low-level utilization could limit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Therefore the next study should consider better ways to motivate more active participation including mandatory wiki based learning or product-oriented work. Thirdly, this study used only quantitative data such as survey data and hard data(number of writings). Contents of writings are difficult to be analyzed in the wiki-based wiki based learning because the writings are modified and edited constantly. For in-depth analysis, not only quantitative data analysis but also qualitative data analysis on content of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between learner and instructor through in-depth interview or content analysis is needed. Additionally, other variables which could promote interaction such as ability to use a specific medium or subject type need to be conside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learning performance. The wiki based learning is perceived as a proper learning method for changing future society. However without learning strategies or plans, this innovative method could not be used appropriately. As there are many factors which could lead to active learning and good learning performance in the cooperative learning, the next study should investigate diverse learning variables in order to devise strategies of designing effective wiki based learning environment and developing learning activities in the wiki based learning.;21세기 들어서면서 정보통신의 발달로 인해 웹은 현대인의 생활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고 일상생활은 물론 사회 전반의 모습까지 변화시키고 있다. 급격한 사회 변화와 더불어 교육의 목적과 방법도 변화되고 있으며 학습자 또한 지식의 능동적인 구성자로서 실세계의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이숙현, 윤성철, 정동욱, 2008). 이를 위해서는 정보와 아이디어를 소유하기보다는 서로 공유함으로써 다른 사람의 다양한 시각을 접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김연순, 정현미, 2010). 2000년대 중반에 널리 알려지기 시작한 웹 2.0(Web 2.0) 기술은 인간 경험, 사회 문화 및 교육 환경에 또다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허희옥, 강의성, 2010). 웹 2.0은 웹 1.0과 비교하여 좀 더 상호작용적이며 집단 활동을 가능하게 하여 참여자들이 자유롭게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고 교환하고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한다(허희옥, 강의성, 2010: Zhang, 2009). 웹 2.0 기술 중에서도 협력을 위한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위키(wiki)이다(Cress & Kimmerle, 2008; Paker & Chao, 2007). 위키는 누구나 자유로운 첨삭이 가능하며 여러 명의 학습자들이 웹상에서 공동저작 과정을 거치면서 협동적으로 지식을 생성하기 때문에 지식을 계속하여 정교화 시킬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박종선, 2008). 위키와 같은 웹상에서의 활동은 학습자 모두가 지식 생산의 주체라는 것을 인식하고 학습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능동적인 참여는 학습자들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또한 교수학습 상황에서의 상호작용은 학습 만족도와 성취도의 향상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언급되고 있다(김원경, 황성현, 곽승우, 2006; Swan, Shea, Fredericksen, Pickett & Maher, 2000). 이러한 위키 기반 협력학습 환경에서 상호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자발적 학습활동이 강조되며 이는 학습자 스스로 적극적인 참여자, 정보의 능동적인 처리자로 그 역할이 변화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습자는 학습의 과정에 있어서 학습자의 행동과 사고방식에 따라 학습전략을 세우며 이에 따라 학습 전체를 주도하고 관리할 수 있는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학습의 효과를 좌우하는 중요한 변인이 된다고 할 수 있다(Siddens, 1999).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습에 임하면서 적극적으로 학습과정에 참여하고 독립적인 학습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지녔는지의 여부가 웹 기반 학습의 효과를 결정짓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한정선, 김소희, 2010). 또한 위키 기반 협력학습은 웹을 매개로 여러 명의 학습자가 공동의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개인의 지식체계를 다른 학습자들과 공유하는 지식 형성의 과정으로 다른 학습자들과의 공동의 지식구축 즉, 협력적 지식을 형성하는데 목적이 있다(김유정, 김현철, 2005; 원지영, 한승록, 2009; Raygan & Green, 2002). 지식공유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때 구성원간의 상호 협력은 더 원활하게 될 것이며 학습 성과도 극대화될 수 있다. 이는 지식공유에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 학습자는 개인이 소유했던 지식을 집단 수준으로 이동시켜 지식의 활용을 극대화시키고 동료들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고 할 수 있다(Ipe, 2003). 따라서 위키 기반 협력학습과 같은 집단적 학습 환경에서 지식공유와 이에 대한 학습자의 긍정적인 태도는 활발한 상호작용을 위해 학습자들에게 필수적으로 전제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 있어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지식공유태도가 학습 성과를 예측할 때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 위키를 기반으로 한 협력학습의 효과적인 교수설계방안을 마련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만족도를 예측하는데 있어,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가? 2.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성취도를 예측하는데 있어,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가? 3.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지식공유태도가 만족도를 예측하는데 있어,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가? 4.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지식공유태도가 성취도를 예측하는데 있어,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소재 E 대학교에서 웹 기반 협력학습으로 진행되는 과목을 수강하는 학부생 11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과목은 주 2회 면대면 수업으로 진행되면서, 2학기 중간고사를 대비하여 협력학습의 공간으로 사이버캠퍼스 내 탑재된 위키를 사용하여 전체 학습자들이 자유롭게 기존에 행해진 시험문제에 대한 답을 개진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8주에 걸쳐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위키 기반 협력 활동이 일어나기 전 주에 자기주도학습능력, 지식공유태도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중간고사가 끝난 후 만족도에 관한 설문이 실시되었다. 학습자 간 상호작용은 중간고사 전에 위키 내에서 학습자들이 의견을 나눈 글을 양적 분석방법인 횟수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한 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Judd와 Kenny(1981)이 제시한 매개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와 이에 대한 해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만족도를 예측하는데 있어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매개 효과를 나타내는지 Judd와 Kenny(1981)의 매개효과 3단계 분석에 따라 검증한 결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은 1단계의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을 예측해야 하는 단계를 충족하지 못하여 Judd와 Kenny(1981)의 매개 분석을 검증할 수 없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위키 내에서의 시험 문제 해결이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크게 요하는 과제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수업 시간을 통해서 배웠던 내용을 바탕으로 답을 제시하는 시험 문제들이 학습자들의 정보와 지식을 취합하고 정리하는 과정에서 해결이 되면서, 학습에 대한 열정이나 창의성, 문제해결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과 같은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학습자들에게 중요한 특성으로 필요했던 것은 아니라고 보여진다. 그러나 만족도는 이후의 수업에 있어 동일한 교수방법이나 매체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준거를 마련해주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는 차후의 웹 기반 협력학습에의 전략적인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사료된다. 둘째,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성취도를 예측하는데 있어 학습자 간 상호작용은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성향을 지닌 자기주도적 학습자가 웹 기반 학습을 수행해 나가는 데 유리하며, 집단적 학습에서도 다른 학습자들과 활발하게 상호작용한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은 학습자들은 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고 어떤 상황에서도 학습하려는 태도를 지니는 등 새로운 학습기회에 대한 개방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Skager, 1978) 다른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에도 적극성을 띄게 된다. 따라서 협력적인 학습 환경이 많아지고 협력적 지식이 중요한 이때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기주도학습능력을 기를 수 있는 교육적 대책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낮은 학습자들을 어떻게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게 할지에 대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지식공유태도가 만족도를 예측하는데 있어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매개 효과를 나타내는지 Judd와 Kenny(1981)의 매개효과 3단계 분석에 따라 검증한 결과, 지식공유태도는 1단계의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을 예측해야 하는 단계를 충족하지 못하여 Judd와 Kenny(1981)의 매개 분석을 검증할 수 없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협력 환경에서 학습자들의 전반적인 참여도가 낮아, 어떤 학습자가 지식을 공유하려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자신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개진하려고 해도 여러 다른 동료들의 활발한 피드백을 기대하기 힘들었기 때문에 만족도가 낮았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연구에서 위키를 이용한 목적은 시험 문제에 관한 답과 의견을 서로 나누고 정리하는 것이었으므로, 동료들과의 협력이 시험 직전에 몰리면서 협력학습이 진행되었던 기간이 짧았던 것도 만족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넷째,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지식공유태도가 성취도를 예측하는데 있어 학습자 간 상호작용은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른 학습자들과 지식을 공유하려는 긍정적인 태도는 학습자들과의 활발한 교류로 이어져 기존의 지식을 축적, 확장시켜 나갈 수 있으며 이는 높은 학습 성과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위키라는 공간에서 학습자들은 모두 편집자로서 공동의 학습결과물을 작성함으로 공동의 책임감을 가지며 더 친밀함을 느끼게 된다(허의옥, 강의성, 2009). 이러한 위키 기반 협력학습 환경에서 학습 효과를 결정하는 것은 지식을 공유하려고 하는 학습 구성원들의 참여의지이며, 이 참여의지는 학습자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게 된다. 효과적인 협력을 위해서는 학습자들 들로 하여금 지식과 경험을 공유함으로서 얻게 되는 결과를 인식시켜 서로 신뢰감을 형성하게 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또한 교수자가 학습자들의 상호작용에 보다 더 주의를 기울이고 격려하는 것 혹은 참여도를 성적에 반영하여 학습자들이 적극적인 태도로 활발한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수업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의 제한점을 토대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서울 소재 E대학의 특정 수업을 듣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대상은 모두 여성이었다. 그러나 수업의 내용구성과 진행방식에 따라 남성과 여성이 느끼는 학습 만족도와 효과성에 대한 인식은 다르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후의 연구들은 성별에 따라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가 어떻게 다른지 실증적으로 확인해 볼 것을 제안한다. 둘째, 위키를 사용하여 기존의 중간고사 문제에 대한 답과 관련된 지식을 서로 공유하는 과정자체가,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과목에서 필수가 아니었다. 학습자는 위키라는 협력의 공간이 아니어도 학습자 질문게시판이나 자유게시판 등을 통해 필요한 정보나 지식을 수집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학습자 입장에서 동기부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위키의 사용 목적이 시험 문제와 관련된 학습자들의 의견 개진이었기 때문에 시험 직전에만 한정적으로 위키를 이용하여 상호작용을 했던 것도 한계점이라고 볼 수 있다. 이후의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위키 기반 협력학습을 필수의 과정으로 정하고, 산출물이 있는 과제물로 변경하여 학습자들이 어떻게 웹상에서 다른 학습자들과 협력하게 되는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와 글의 개진 횟수 등 양적 연구 방법만을 사용하여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는 협력의 공간으로 위키를 이용하였는데 위키의 특성상 글이 계속 수정되고 편집되는 상황에서 글의 내용을 분석 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보다 현실적으로 협력학습 과정을 이해하려면 양적 분석뿐만 아니라 교수자와의 면접이나 학습자 간의 상호 관계에 대한 분석 또한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학습자 특성 이외에 상호작용을 촉진 시킬 수 있는 예를 들면 컴퓨터 같은 특정 매체 활용능력, 협동학습 수준, 과제 유형 등도 고려해 볼만한 변인들이다. 따라서 추후연구에서는 이러한 변인들에 따라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학습 성과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관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위키 기반 협력학습은 분명 미래사회에 변화된 학습세대에게 적합한 학습방법이다. 하지만 아무런 학습전략과 계획 없이 학습이 진행된다면 바람직한 학습방법이 될 수 없다. 따라서 협력학습에서 학습활동의 역동성과 학습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매우 다양하다는 견해 아래서 효과적인 위키 기반 협력학습 환경을 설계하고 학습활동을 촉진하는 전략을 고안하기 위해서 다양한 학습 변인들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