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규연-
dc.contributor.author은주희-
dc.creator은주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0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3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8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374-
dc.description.abstract지식기반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평생교육’ 또는 ‘평생학습’은 이제 낯설지 않은 용어가 되었다. 지역 내에 있는 다양한 평생교육기관을 통해 학습참여가 가능해졌고, 다양한 영역의 교육프로그램이 개발·운영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평생교육 참여인구도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교육프로그램의 수와 운영기관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평생교육의 양적 성장과 더불어 평생교육기관은 학습자에게 교육을 단순히 제공하는 역할에서 벗어나 학습자들의 요구에 맞게 설계하고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평생교육환경의 내실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평생교육프로그램의 학습성과와 이를 예측하는 요인에 대한 고찰도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평생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를 예측하는 독립변인으로 참여동기(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교수실재감을 선정하여 이들 변인이 학습성과(만족도, 성취도, 학습지속의향)를 예측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참여동기(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교수실재감과 성취도 간 그리고 참여동기(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교수실재감과 학습지속의향 간 만족도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평생교육환경에서 참여동기(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교수실재감은 만족도를 예측하는가? 2. 평생교육환경에서 참여동기(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교수실재감, 만족도는 성취도를 예측하는가? 3. 평생교육환경에서 참여동기(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교수실재감, 만족도는 학습지속의향을 예측하는가? 4. 평생교육환경에서 만족도는 참여동기(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교수실재감과 성취도 간을 매개하는가? 4-1. 평생교육환경에서 만족도는 내재적 동기와 성취도 간을 매개하는가? 4-2. 평생교육환경에서 만족도는 외재적 동기와 성취도 간을 매개하는가? 4-3. 평생교육환경에서 만족도는 교수실재감과 성취도 간을 매개하는가? 5. 평생교육환경에서 만족도는 참여동기(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교수실재감과 학습지속의향 간을 매개하는가? 5-1 평생교육환경에서 만족도는 내재적 동기와 학습지속의향 간을 매개하는가? 5-2. 평생교육환경에서 만족도는 외재적 동기와 학습지속의향 간을 매개하는가? 5-3. 평생교육환경에서 만족도는 교수실재감과 학습지속의향 간을 매개하는가?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의 지방자치단체 평생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 중 87명의 응답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성과(만족도, 성취도, 학습지속의향)를 예측하는 변인들에 대해 검증하였고,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환경에서 학습자의 참여동기(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교수실재감이 학습성과(만족도, 성취도, 학습지속의향)를 예측하는지 분석한 결과, 교수실재감은 학습성과 즉 만족도, 성취도, 학습지속의향을 모두 예측하였다. 그러나 참여동기(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는 상관분석에서 학습성과와 유의하지 않아 회귀분석에서 제외하였다. 둘째, 평생교육환경에서 학습자의 참여동기(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교수실재감과 만족도가 성취도, 학습지속의향를 예측하는지 분석하였다. 성취도는 교수실재감과 만족도가 예측을 하였고, 학습지속의향은 만족도만이 예측하고 있었다. 그러나 참여동기(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는 상관분석에서 학습성과와 유의하지 않아 회귀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셋째, 평생교육환경에서 학습자의 만족도가 참여동기(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교수실재감과 성취도, 학습지속의향 간 매개역할을 분석한 결과, 만족도는 교수실재감과 성취도 간, 교수실재감과 학습지속의향 간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만족도는 교수실재감과 성취도 간 부분매개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고, 교수실재감과 학습지속의향 간 완전매개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참여동기는 성취도와 학습지속의향 각각에 유의하지 않아 매개검증을 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평생교육환경에서 교수실재감은 학습성과(만족도, 성취도, 학습지속의향)를 예측하는 요인이었으며, 이를 통해 평생교육환경에서 학습자의 높은 학습성과를 이끌어내기 위한 결정적인 요인 중 한 가지가 교수실재감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만족도는 교수실재감과 성취도, 학습지속의향 간 매개효과를 하는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평생교육프로그램 설계시 교수자 및 운영자는 교수실재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학습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설계 및 운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본 연구의 연구대상으로 삼은 평생교육프로그램의 연구결과를 모든 평생교육프로그램에 그대로 적용하고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학습 성과를 검증하기 위한 변인으로 참여 동기(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와 교수실재감에 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다른 유형의 프로그램과 연구대상을 확대하여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변인들과 관계 속에서 평생교육환경의 학습성과가 어떠한지에 대해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o the modern people who live in knowledge-based society, the term, 'lifelong education' or 'lifelong learning' has became familiar. It is partly because there exist a variety of local-based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thereby making it possible for people to have an easy chance to learn and the various kinds of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various fields are currently being developed and actively in service. A growing number of people in Korea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and the number of educational programs and its organizations has been on the rise as well. In accordance with the quantitative growth of lifelong education, its organizations are asked not only simply to provide educational programs but also to design and develop the programs based upon learners' needs. Therefor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predictable factors on learning outcomes and the effectivenes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So,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if participation motivation(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and teaching presence as independent variables can predict the learning outcomes(satisfaction, achievement, learning persistence). Also, this study will examine whether the satisfaction plays a meaningful role as mediator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teaching presence and achievement, or learning persistence in life-long education setting. Based on these assumptions, the primary question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1. Does participation motivation(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teaching presence predict the satisfaction? 2. Does participation motivation(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teaching presence and satisfaction predict the achievement? 3.Does participation motivation(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teaching presence and satisfaction predict the learning persistence? 4.Does satisfac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teaching presence and achievement? 4-1. Does satisfac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4-2. Does satisfac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ins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4-3. Does satisfac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achievement? 5.Does satisfac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persistence? 5-1. Does satisfac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5-2. Does satisfac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insic motiva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5-3. Does satisfac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persistence? To verify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the data of 87respondents who participated in lifelong education provided by a local government in Seoul were used. We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in SPSS win 18.0. and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was implemented. Based on the date, we examined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motivation(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and teaching presence on learning outcomes(satisfaction, achievement, learning persistence) as well as the role of satisfaction as mediato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listed below. First, teaching presence was found to predict on outcomes, in other words, satisfaction, achievement, learning persistence. However, participation motivation was not found to have a meaningful correlation of outcoming, in other words, satisfaction, achievement, learning persistence. Second, after analyzing if participation motivation, teaching presence and satisfaction of learners could predict achievement, and learning persistence, teaching presence and satisfaction predicted achievement, and in terms of learning persistence, satisfaction only predicted it. However, participation motivation was not found to have a meaningful correlation of outcoming, in other words, satisfaction, achievement, learning persistence. Third, it was proven that satisfaction played meaningful roles in mediating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achievement, and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persistence. In other words, satisfaction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was found to perfectly mediate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persistence. But it turned out participation motivation had no predictable factor on achievement, and learning persistence, so analysis on its effect as mediator was not conducted. Based 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e could know that teaching presence has a predictable factor on outcomes in lifelong education setting. And we found that one of critical factors to enhance learning outcomes is teaching presence. Also these results imply that learning outcomes on lifelong education are important to enhance satisfaction. When planning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e instructor and the tutor must seek ways to enhance the teaching presence, and they need strategies that can carry out effective and efficient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learning results by giving suitable stimulates and promotions to learners. Also, they need to consider the factors that can raise learners' satisfaction. In this study, however, we only used one lifelong education program as a convenience sample so it may be difficult to generalize its result. Therefore other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to find out the same results could be produced from different other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lso, we limited it by using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teaching presence as variables to inspect learning results. Thus, we need following studies on learning results of the lifelong education environment in various variables and relationship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 1 B. 연구문제 4 C.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9 A. 평생교육환경 9 1. 평생교육 프로그램 9 2. 평생교육 학습자의 특성 11 3. 평생교육 학습성과 12 B. 참여동기 14 1. 동기의 개념 14 2. 참여동기 유형 15 C. 교수실재감 19 1. 실재감의 개념 19 2. 교수실재감 요소 21 D. 학습성과 23 1. 만족도 23 2. 성취도 24 3. 학습지속의향 26 E. 관련선행연구 27 1. 참여동기와 학습성과의 관계 27 2. 교수실재감과 학습성과의 관계 29 3. 만족도의 매개역할 30 F. 연구가설과 모형 32 Ⅲ. 연구방법 34 A. 연구대상 34 B. 연구도구 37 1. 참여동기 측정도구 37 2. 교수실재감 측정도구 38 3. 학습성과 측정도구 38 C. 연구절차 40 D. 자료분석방법 41 Ⅳ. 연구결과 43 A. 기술통계 43 B. 상관분석 44 C. 회귀분석 45 1. 참여동기, 교수실재감의 만족도 예측력검증 45 2. 참여동기, 교수실재감, 만족도의 성취도 예측력검증 46 3. 참여동기, 교수실재감, 만족도의 학습지속의향 예측력검증 47 4. 참여동기, 교수실재감과 성취도간 만족도의 매개효과검증 48 5. 참여동기, 교수실재감과 학습지속의향간 만족도의 매개효과검증 51 Ⅴ. 결론 및 제언 57 A. 결론 및 논의 58 B. 제한점 및 제언 63 참고문헌 65 부록 74 ABSTRACT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8978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평생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 예측요인 규명-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nvestigation of the Predictable Factors on Learning Outcome in Lifelong Education-
dc.creator.othernameEun, Ju Hui-
dc.format.pageviii, 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