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래영-
dc.contributor.author송현정-
dc.creator송현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8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802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7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0269-
dc.description.abstractEnglish immersion education in the method of study that teaching text knowledge of other subject except English in English, then learners can learn English with the contents of the subject naturally in the countries where nobody uses English as a native language. From the start of English immersion education policy for public educations by Lee Myung-bak presidential transition committee at 2008, concerns on English immersion has been risen, but educational reality of our country is not backing up it. Even though textbooks are taking charge of important roles in school educations, educational actuality of ours is not preparing textbooks for English immersion education well. Thus a developing the mathematics textbook of middle-school for English immersion education has to be preceded to establish an English immersion environment. For this reason I choose the problems of study as follows. 1. How to develop mathematics textbooks for English immersion educations on linear equations unit of the second grade at middle school through certain processes? 2. What are responses of students when carrying out bilingual classes objecting to A group (Korean language lesson after English class) and B group (English lesson after Korean language class) by using mathematics textbooks for English immersion educations at developed linear equations unit in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In order to solve research issue 1, this study looked into common points by comparing and analyzing Mathematic in English 2 as mathematics textbook for English immersion educations having been used in several international middle schools in our country together with general mathematics textbooks that have been used in Korea now and Mathematics in Context that was mathematics textbook in the US. Based on textbook’s components deduced commonly, the study developed a mathematics textbook for English immersion textbook. For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developed textbook, this study judged that revisions were required in viewpoints of scopes in mathematic subject and English by considering mathematics textbook for English immersion. By requesting to 2 mathematics teachers having experiences of textbooks and materials, 1 English teacher, 1 expert on English textbook developments, this study got analyses and evaluations on the developed textbook. ‘The Project 2061’ was used to the analytical framework for mathematics textbook, and ‘evaluation model research on English textbook’ to the framework for English textbook. This study judged that opinions of students were important because the textbook was used by students above all, so got students’ opinions on the developed textbook after executing classes by using the developed textbook. By reflecting analyses and evaluations of mathematics teacher, English teacher, and developing experts on English textbooks, the study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developed textbook. This study judged that opinions of students were important because the textbook was used by students above all, so got students’ opinions on the developed textbook after executing classes by using the developed textbook. By reflecting analyses and evaluations of mathematics teacher, English teacher, and developing experts on English textbooks, the study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developed textbook. In order to solve research issue 2, I divided 14 students into two groups and taught each group. Group A took a class in English and then took a class in Korean. On the country to this, group B took a class in Korean and then took a class in English. After the classes, students participated in survey and expressed their idea about the instruction and the textbook. The result of research issue 1 are listed as follows. Generally configurations of general textbooks and Mathematic in English-2 were similar, but contents of general textbooks in Korea were consisted by more considering learners. On the other hand, the textbook ‘Mathematics in Context’ made a cornerstone that could lay corresponding concepts firmly while students’ background knowledge and intuitive one were connected so that it could be approached easily with mathematics concepts owing to provisions of various context questions. The result of research issue 2 are listed as follows. Response of students was compressed to ‘concerns on learning’ among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achievements and its difficulties’ among cognitive characteristics. In the responses displaying affective characteristics, majority responses showed interests in English immersion classes. And learning achievements and its difficulties were divulged to responses displaying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most responses of learning achievements were like ‘It’s good because mathematics and English can be learnt at the same time.’ In contrast, most responses on learning difficulties were like ‘If English words or English are not familiar to, it is difficult to study mathematics.’ With these results, we can conclude as follows. In the first, while proceeding developments on mathematics textbooks for English immersion educations, a special institution that produces and develops mathematics textbooks for English immersion educations is necessary. This study was performed by passing through a lot of steps such as analyses, developments, revision, supplement etc. Though more developments of textbook’s configuration and contents were developed as much as steps were repeated, high specialty, time, and efforts together with further developers and evaluators are required so as to pursue a little more completeness. Second, as English learning status in our country is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it is not considering specific situations of learners in case of applying the nation’s textbook learning from ESL situations or learning English as the first language. Responses of students who attended English immersion classes showed opinions such like they felt interesting to English immersion educations very much even though its situations were unfamiliar, so methods of being able to enhance interesting on learning have to be demanded strongly. It is related to listing relevant games in mathematics textbooks using English or selecting textbook materials that could attract interests of students.;영어 몰입교육(English immersion education)은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국가에서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방법으로 학교의 영어교과목뿐 아니라 다른 교과목을 영어로 학습하는 것이다. 2008년 이명박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공교육 영어 몰입교육 정책을 시작으로 영어 몰입교육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고조되어 있으나, 우리나라의 교육현실은 이를 뒷받침하고 있지 못하다. 심지어 교과서는 학교 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우리의 교육현실은 영어 몰입교육을 위한 교과서조차 제대로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수학교과에 대한 영어 몰입교육이 본래의 취지와 특성에 맞게 잘 정착하기 위해서는 영어 몰입교육용 수학교과서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에 본 연구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중학교 학생들 대상으로 한 영어 몰입교육용 수학교과서 개발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기존의 방법과 달리 중학교 2학년 연립방정식 단원의 영어 몰입교육용 수학교과서를 어떤 과정을 거쳐 개발할 수 있는가? 2. 개발된 중학교 2학년 연립방정식 단원의 영어 몰입교육용 수학교과서를 이용하여 집단 A(영어 수업 후 한국어 수업)와 집단 B(한국어 수업 후 영어 수업)에 이중 언어 수업을 실시하였을 때, 학생들의 반응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1을 해결하기 위해 ‘The Project 2061’을 참고하여 분석의 기준을 마련하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일반 수학교과서와 미국 수학교과서인 Mathematics in Context 교과서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일부 국제중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영어 몰입교육용 수학교과서인 Mathematic in English 2 을 비교·분석하여 공통점을 알아보았다. 공통적으로 추출된 교과서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영어 몰입교육용 수학교과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과서를 수정 및 보완을 하기 위해 영어 몰입교육용 수학교과서임을 감안하여 수학과 영역과 영어과 영역의 관점에서 수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교과서 및 교재 개발 경험이 있는 수학교사 2명, 영어교사 1명 그리고 영어교재 개발 전문가 1명에게 의뢰하여 개발된 교과서에 대한 분석 및 평가를 받았다. 이때 분석틀은 수학교과용과 영어교과용 분석틀을 각각 사용하였다. 수학교과용 분석틀은 ‘The Project 2061’을 사용하였으며, 영어교과용 분석틀은 ‘영어 교재 평가 모형 연구’를 사용하였다. 무엇보다 학생들이 사용하는 교과서이므로 학생들의 의견도 중요하다고 판단되어 개발된 교과서를 이용하여 약 40분 동안 수업을 실시한 뒤 개발된 교과서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받았다. 수학교사, 영어교사 그리고 영어교재 개발 전문가의 분석 및 평가와 그리고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개발된 교과서를 수정 및 보완하였다. 연구문제 2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 중학교 2학년 14명을 7명씩 집단 A와 집단 B로 나눈 후에 집단 A에게는 교수언어를 영어로 사용하여 40분 정도 수업을 한 후 한국어를 이용하여 30분 정도 수업을 진행하였다. 집단 B를 대상으로 교수 언어를 한국어를 이용하여 30분 정도 수업을 한 후 영어를 이용하여 40분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후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과서에 대한 의견을 묻는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으며, 교과서에 대한 장점 및 단점에 관하여 의견을 수렴하였다. 학생들의 반응은 ‘중학교 학생의 수학과 학습 특성연구’에 제시된 분석틀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문제 1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우리나라 일반 교과서와 Mathematic in English-2 교과서의 구성은 비슷하였으나 우리나라 일반 교과서의 내용이 학습자들을 더 고려하여 구성되었다. 반면에 Mathematics in Context 교과서는 다양한 맥락 문제가 제공되어 수학적 개념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배경지식과 직관적인 지식이 연결되고 해당개념을 견고하게 다질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하였다. 세 종류의 교과서의 공통요소 18개가 추출되어 이를 바탕으로 교과서를 개발하였다. 연구문제 2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의 반응은 정의적 특성 중의 ‘학습에 대한 흥미’와 인지적 특성 중의 ‘학습 효과 및 학습 곤란’으로 압축되었다. 정의적 특성을 나타내는 반응 중에서 대다수 반응은 영어 몰입 수업에 대한 흥미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인지적 특성을 나타내는 반응은 학습 효과와 학습 곤란이 모두 드러났는데 학습 효과의 대부분의 반응은 ‘수학과 영어를 동시에 배울 수 있어 좋다’ 이다. 반면에 학습 곤란의 대부분의 반응은 ‘영어 단어 혹은 영어를 못하면 수학을 공부하기 어렵다’ 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영어 몰입교육용 수학교과서 개발을 진행하면서, 영어 몰입교육용 수학교과서를 전문적으로 제작 및 개발을 하는 전문기관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여러 단계에 걸쳐서 분석, 개발, 수정, 보완 등이 이루어졌다. 단계가 거듭될수록 교과서의 구성 및 내용을 한 층 발전한 것을 알 수 있었지만, 조금 더 완벽성을 추구하려면 더 많은 개발자와 평가자 그리고 높은 전문성과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한다. 또한 영어 몰입교육용 수학교과서 개발에 있어서 수학적인 측면과 영어적인 측면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어 몰입교육은 영어 교육의 한 방법으로 시작되었다. 하지만 영어 몰입교육용 수학교과서는 영어 교재이기 이전에 수학교재인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따라서 두 교과 측면을 모두 갖춘 교과서를 개발하기 위해서 수학교육 전문가와 영어교육 전문가의 협력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영어 몰입교육용 수학교과서 개발에 있어서 우리나라 학습자의 특수한 정의적 측면과 인지적 측면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영어 학습 상황은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이므로 영어를 모국어로 배우거나 ESL 상황에서 배우는 국가의 교재를 그대로 우리나라에 적용할 경우 학습자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는 것이다. 영어 몰입수업을 받은 학생들의 반응은 영어 몰입교육 상황을 낯설지만 매우 흥미롭다는 의견을 보였는데 정의적 측면에서 학습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간구해야한다. 예를 들면, 영어로 하는 수학교과에 관련된 게임을 교과서에 수록하거나 학생들의 흥미를 끌만한 교과서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다. 또한 인지적인 측면에서는 수학 개념과 영어로 된 수학용어 연결에 대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모르는 영어 단어의 뜻을 쉽게 이해하거나 유추할 수 있도록 각종 그림이나 삽화 혹은 해설을 첨가하여 수학용어를 정리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C. 용어의 정의 4 D. 연구의 제한점 5 Ⅱ. 이론적 배경 6 A. 영어 몰입교육 6 B. 방정식 영역의 수학교과서 15 C. 선행연구 18 Ⅲ. 연구절차 및 연구방법 20 A. 연구절차 20 B. 연구방법 및 연구일정 34 Ⅳ. 연구결과 및 해석 41 A. 영어 몰입교육용 수학교과서 개발 과정 41 B. 이중 언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105 Ⅴ. 결론 및 논의 118 A. 요약 및 결론 118 B. 제언 122 참고문헌 123 부록 128 <부록 - 1> 수정 전 교과서 128 <부록 - 2> 수정 후 교과서 150 <부록 - 3> 교과서 평가 동의서 및 평가서(1) 180 <부록 - 4> 교과서 평가 동의서 및 평가서(2) 189 <부록 - 5> 학생 연구 참여 동의서 194 <부록 - 6> 학생 참여 수업 설문지(1) 197 <부록 - 7> 학생 참여 수업 설문지(2) 198 <부록 - 8> 학생 참여 수업 설문지(3) 201 <부록 - 9> 학생 참여 학부모님 동의서 204 ABSTRACT 2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719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500-
dc.title영어 몰입교육용 중학교 수학교과서 개발에 관한 사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교 2학년 연립방정식 단원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developing the mathematics textbook of middle-school for English immersion education : Focusing on Simultaneous Equation-
dc.creator.othernameSong, Hyun Jeong-
dc.format.pagexv, 21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수학교육학과-
dc.date.awarded201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수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