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희-
dc.contributor.author심은정-
dc.creator심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4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6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7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657-
dc.description.abstract사람은 누구나 원만한 대인관계에 대한 욕구를 가지고 있다. 사회 구성원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은 일생동안 수많은 관계를 형성하고 그 관계 속에서 살아가게 되는데, 타인과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지속될 경우 삶에 대한 만족감과 행복감은 높아진다. 따라서 모든 사람들은 대인간에 긍정적인 관계가 형성되고 유지되기를 희망한다. 이는 장애학생도 다르지 않다. 장애학생의 대인관계에 대한 욕구가 타인과의 바람직한 상호작용으로 이어질 때 그들은 행복감과 만족감을 느끼게 되고, 이는 장애학생의 삶의 질에 기여하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장애학생들은 장애로 인한 적응행동 상의 제한으로 사회성 기술에 결함을 보이며, 타인과의 관계에서 부정적인 경험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뿐만 아니라, 통합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은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보다 대인관계에서 더 많은 어려움을 경험할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사회성 결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대인간의 부적응행동들은 통합된 환경 내에서 상대적으로 더 부각되고 문제시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장애학생이 겪는 대인관계 상의 어려움은 학생의 삶의 질뿐만 아니라 또 다른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는데, 개인의 자아개념과 같은 심리·정서적 부분에서부터 성인기 직업생활의 유지 및 성과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장애학생을 위한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대인관계기술의 교수가 절실히 요구된다. 특히나 통합된 환경에서 학교생활을 하는 특수학급 학생들, 그 중에서도 성인기로의 전환을 앞둔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들에게는 대인관계에 대한 교수가 보다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특수학급의 장애학생들에게 대인관계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이러한 대인관계기술의 교수가 장애학생의 핵심적 대인관계인 친구관계에 대한 인식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전원인 18명으로, 이 중 9명은 대인관계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실험집단이고 나머지 9명은 대인관계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통제집단이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사회성 지수, 학년, 성별 등의 조건을 고려하여 1:1로 짝을 지어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주 3회, 50분씩, 총 22회기 동안 학교수업의 일환인 직업교과 시간에 대인관계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직업교과 수업에 참여하되 대인관계와 관련된 내용은 제외하고 학습하였다. 대인관계향상 프로그램의 내용은 Sitlington, Neubert와 Clark(2009)이 대인관계기술의 하위 구성요소로 제시한 공유하기, 협력하기, 타인 존중하기, 타인에게 민감하기, 상황에 맞게 행동하기의 5가지 기술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중재가 실시된 이후 대인관계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친구관계인식 및 자아개념을 측정하기 위하여 아동·청소년 교우관계문제검사 및 중·고등학생용 자아개념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두 집단 간의 사전 및 사후 점수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집단별 사전·사후 점수 차이에 대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친구관계인식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학생들의 친구관계인식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친구관계인식이란 장애학생이 친구관계에서 지각하는 불편함의 정도를 측정한 것으로, 대인관계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들이 통제집단 학생들보다 친구관계인식에 대한 불편함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대인관계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자아개념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학생들의 자아개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대인관계 향상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친구관계인식 및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대인관계 향상 프로그램을 학교 교육과정 안에 삽입 및 교수하여 현장실천이 가능함을 보여주었고, 기존의 대인관계기술 교수를 보다 정교화 시켰으며, 이전의 사회성 기술 프로그램에 비해 집중교수를 실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이 통합된 환경 내에서 학교생활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학생만이 프로그램에 참여했다는 제한점을 고려할 때, 비장애학생 및 장애학생 모두에게 대인관계를 교수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확장 및 관련 실행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I-REP) on the peer relationship recognition and self-concept of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high school.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8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high school. A group of 9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had participated in the I-REP was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 of 9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had not participated in the I-REP. A pretest-posttest control-group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he program was carried out with 22 sessions, 3 times a week in a vocational class. The program consists of following sections: 1) Sharing of emotion; 2) cooperating with others; 3) respecting others; 4) being sensitive to others; 5) behaving situationally In this study, the Korean Inventory of Peer Relationships(KIPR) and the Self Concept Inventory(SCI) were used to measure the students' peer relationship recognition and self-concept. In order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I-REP, peer relationship recognition and self-concept of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were measured twic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difference in the scores of the students' peer relationship recognition and self-concept between two groups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s t-test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I-REP showed significantly better peer relationship recognition than the control group. This means that the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peer relationship recognition of the students.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I-REP showed significantly better self-concept than the control group. This means that the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self-concept of the students. In conclusion, the study found that the I-REP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eer relationship recognition and self-concept of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high school.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extend the previous research literature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especially in the area of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developmental disabilit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용어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6 A. 발달장애 청소년의 성인기로의 전환 6 1.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전환교육의 실제 6 2.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대인관계기술 교수의 중요성 10 B. 발달장애 청소년의 대인관계와 자아개념 13 1. 발달장애 청소년의 대인관계의 이해 13 2.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아개념의 이해 15 3. 대인관계와 자아개념 간의 상관성 17 C. 대인관계기술 교수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18 1. 대인관계기술 향상을 위해 교수한 내용 21 2. 대인관계기술 중재의 교수방법 22 3. 대인관계기술 중재의 평가방법 23 Ⅲ. 연구 방법 25 A. 연구 참여자 25 B. 실험 기간 및 장소 26 C. 독립변인: 대인관계 향상 프로그램 27 D. 종속변인 35 E. 실험설계 및 절차 40 F. 자료 처리 42 G. 사회적 타당도 42 Ⅳ. 연구결과 45 A. 대인관계 향상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친구관계인식에 미치는 영향 45 B. 대인관계 향상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장애학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49 Ⅴ. 논의 및 제언 53 A. 논의 53 B. 연구의 제한점 60 C.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61 참고 문헌 63 부록 75 ABSTRACT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300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대인관계 향상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발달장애학생의 친구관계인식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I-REP) on the Peer Relationship Recognition and Self-Concept of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High School-
dc.creator.othernameShim, Eun Jung-
dc.format.pageix, 9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