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종임-
dc.contributor.author민지연-
dc.creator민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0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57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7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5706-
dc.description.abstract현대 사회가 정보화, 세계화 되어감에 따라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능력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추세에 부응하여 제7차 교육과정은 실제 의사소통이 가능한 생활 영어 습득을 목표로 언어의 네 가지 기능인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 능력의 균형적 발달을 꾀하고 있으나, 영어 어휘 학습에는 많은 시간이 할애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어휘 능력이 없다면 의사소통이 완전히 단절되며, 텍스트 이해를 위해서 필요한 최소한의 어휘량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어휘 학습은 학습자들의 개인적 영역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이마저도 철자와 의미 관계를 파악하는 단어 목록을 통한 학습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맥락 안에서 어휘의 용례와 의미를 파악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어휘를 학습할 수 있는 코퍼스(corpus) 기반의 어휘 과업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실제 교실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코퍼스 어휘 교육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적게 진행되었으며 연구 대상 또한 편중되어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코퍼스 활용 연구에서 소외되어 온 중학교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학습자의 인지, 학습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학습자 맞춤형 교과서 코퍼스를 기반으로 어휘 학습 과업을 구성하였으며, 보다 효과적인 어휘 과업 활동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코퍼스 데이터 양과 어떤 방식의 과업 수행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알아보고, 이러한 학습 방식이 한국 중학생의 영어 어휘 능력 향상과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중학교 3학년 학습자 93명을 대상으로 2주 동안 총 4회의 영어 다의어 동사의 의미 추론 활동 과업을 실시하였다. 어휘 과업에는 연구자가 직접 제작한 학습자 맞춤형 교과서 코퍼스가 사용되었으며, 이를 위하여 중학교 3학년 교과서 10종의 읽기 본문과 듣기 대본을 수집하여 Compleat Lexical Tutor의 Concordance 기능을 활용하였다. 다의어 동사 의미 추론 활동 시 학생들을 세 집단으로 나누어 첫 번째 집단에게는 소량의 코퍼스 데이터를 제시하고 짝과 함께 과업을 해결하도록 하였고, 두 번째 집단에게는 소량의 코퍼스 데이터를 제시하고 개별적으로 과업을 해결하도록 하였으며 세 번째 집단에게는 다량의 코퍼스 데이터를 제시한 뒤 개별적으로 과업을 해결하도록 하였다. 실험 전 영어 어휘 능력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매 차시 수업이 종료된 직후, 학습 내용 이해 여부를 알기 위한 형성평가를 진행하였다. 모든 수업이 종료된 이후 사전 어휘 능력 평가와 동일한 형태의 사후 평가 및 정의적 영역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데이터 제시량과 과업 수행 방식에 따라 각 집단별 영어 어휘 능력을 장기적, 단기적 효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코퍼스를 활용한 학습 방식에 대한 학습자들의 정의적 태도를 살펴보았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퍼스 데이터 제시량과 과업 수행 방식의 차이가 영어 다의어 동사 학습에 미치는 단기적 영향을 알아본 결과, 소량의 코퍼스 데이터로 짝 활동을 진행한 집단, 소량의 코퍼스 데이터로 개별 활동을 진행한 집단, 그리고 다량의 코퍼스 데이터로 개별 활동을 진행한 집단 중 소량-짝 집단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어휘 학습에 단기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량-짝 집단의 경우 어휘의 의미, 사용 영역의 학습 효과가 다른 집단의 효과에 비하여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후 분석 결과, 집단간 학습 효과의 차이는 과업의 수행 방식에 따른 것으로, 영어 다의어 동사의 의미 추론 과업을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것에 비하여 협동적 과업 수행이 단기적으로 학습자의 어휘 학습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코퍼스 데이터 제시량과 과업 수행 방식의 차이가 영어 다의어 동사 학습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을 알아본 결과, 소량의 코퍼스 데이터로 짝과 함께 어휘 과업을 수행한 집단만이 전반적인 어휘 학습에 있어 사전 대비 사후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특히 어휘의 형태, 의미, 사용 영역 중 의미 영역에 있어 더 성공적으로 회상함을 통해 보다 유의미한 학습이 이루어졌음을 나타냈다. 그러나 나머지 두 개 집단의 경우 사전 대비 사후 어휘 능력에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즉, 소량의 코퍼스 데이터로 협동 학습을 하는 경우, 장기적으로 동사의 의미 학습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집단간 사후 점수 비교 결과, 세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과서 코퍼스 제시량과 과업 수행 방식의 차이가 어휘 학습에 있어서 장기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지는 못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교과서 코퍼스 기반의 어휘 활동이 중학교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 설문을 분석한 결과, 대다수의 학습자들이 영어 학습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어휘 학습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평소 어휘 학습을 꾸준히 하는 학습자들은 17%로 나타남에 따라 학습에 대한 관심이 실제 적용으로까지 연결되지 않고 있음을 나타냈다. 한편, 학습자들은 교과서 코퍼스를 활용한 어휘 과업에 대하여 전반적 어휘 학습 및 다의어 개념 습득, 문법 학습에 있어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협동 학습의 효과에 대해 소량-짝 집단의 경우 다른 집단에 비하여 보다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협동 학습을 하지 않은 집단의 경우에도 과반수 이상의 학생들이 짝 활동이 어휘 학습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하였는데, 이는 학습자들이 인지적으로 학습 부담을 줄 수 있는 코퍼스 어휘 과업 수행시 짝에게서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도움에 대한 기대감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학습 시간과 관련하여 소량의 코퍼스 데이터로 학습한 두 집단의 경우 다량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한 집단에 비해 과업 수행 시간이 충분했다는 설문에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학습자들의 이러한 반응은 코퍼스 기반 과업을 실시할 때 학습자의 언어 수준에 적합하도록 교사가 코퍼스의 수준과 양을 조절해야하며 코퍼스 활용을 위한 훈련이 요구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사후 심화 설문에 대한 학습자들의 응답 결과를 정리해보면, 우선 세 집단 모두 교과서 코퍼스 기반의 다의어 동사 학습에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퍼스 기반 어휘 과업이 단순 단어 암기식 어휘 학습 방법에 비해 의미 학습이 쉽고 기억에 더 오래 남는다는 것을 장점으로 꼽았다. 반면, 세 집단 모두 공통적으로 매 차시마다 반복되는 과업 형태가 지루했다는 것을 가장 큰 단점으로 꼽았다. 추가적으로 다량의 데이터로 개별 과업을 수행한 집단의 경우 문장이 많아 시간이 부족하고 어려웠다는 불만 사항을 개진하였다. 본 연구의 교육학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데이터 제시량 및 과업 수행 방식을 달리한 코퍼스 기반의 어휘 학습이 한국 중학생들의 영어 다의어 동사 어휘 학습과 정의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본 연구 결과는 중학교 수준의 학습자들에게도 코퍼스 활용 어휘 과업의 효용을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교실 현장에서 코퍼스를 활용한 어휘 학습을 보다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교사는 코퍼스 활용 수업 계획시 학습자의 수준, 학습자에게 적절한 코퍼스 데이터의 양, 협동 학습을 통한 인지적 부담의 경감 필요 여부, 충분한 과업 수행 시간 등을 고려하여 수업을 계획하고 실시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study was motivated from a growing need for effective vocabulary instruction in Korea. Although corpus-based vocabulary instruction has shown to be essential in many EFL/ESL classrooms, the applications of corpus-based vocabulary learning in the classrooms have not yet been thoroughly investigated in second language vocabulary research. As such, the study aimed to look into the short-term and long-term effects of the quantity of the corpus data and the task performing method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polysemic verbs learning and their attitud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otal of 93 Korean students in grade 9 who are taught by the same instructor were selected from one middle school.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randomly into three homogeneous groups according to the amount of given corpus data and the task performing methods to examine the varying effects, if any, of vocabulary learning in the short- and long-term period. The three groups were as follows: : cooperative analysis of small amount of corpus data (CS), individual analysis of small amount of corpus data (IS), and individual analysis of large amount of corpus data (IL). The study was conducted over a seven-week period, including three-week break to examine the long-term retention, and took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 all participants took pre-vocabulary tests, after which their homogeneity was examined. Then, From Week 1 through Week 2, students were given two corpus based-vocabulary tasks per week, learning high-frequency polysemic verbs cooperatively and individually. Immediately after each session, all groups took the immediate vocabulary test about form, meaning, and its usage to ensure that they learn the target word of each session correctly. After the three-week vacation, all the students took the post-vocabulary test to examine their long-term retention on four target words, and answered the "Review Form" to assess the attitudes toward the corpus-based vocabulary learning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given data and the method of task completion. In addition to answering questions on the form, the students were asked to offer their own thoughts on the advantages and the disadvantages of corpus-based vocabulary learning. The results were compiled and analyzed quantitativel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ustomized corpus-based vocabulary task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data and the way of data analysis. The participants' attitude toward corpus-based vocabulary activity was also examined. The finding obtained from the study are threefold: First, in the short-term period, the CS group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e other groups, especially in the vocabulary meaning and the usage. In terms of the vocabulary form, all three group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hich can be interpreted to mean that as the target words appear so frequently in the text books, the students already knew the form of the words. Meanwhile, only the CS group showed high performance in the vocabulary meaning and usage. Based on this result, it can be inferred that cooperative learning in the vocabulary classroom made significant gains in the areas of meaning and usage of polysemic verbs in the short-term period. Second, among the groups, the CS group showed improvement in the long-term retention. To be specific, while the other groups, the IS and the IL, did not benefit from the corpus-based vocabulary learning in any way, the CS group showed significant overall improvement, especially in the area of vocabulary meaning.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cooperative learning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vocabulary learning in the long-term. In the case of intergroup analysis,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lthough the CS group had improved in vocabulary ability, which can be interpreted to mean that cooperative learning might help improve the English vocabulary ability of L2 learners, the difference in post-test scores between groups was not significant, meaning the effects of learning was not sufficient to be retained in the long-term. Third, the participants' overall attitude toward customized corpus-based vocabulary learning leaned toward the positive side of the spectrum, but there were intergroup differences in some areas. As to the different amount of given corpus data, most participants in the CS and the IS groups were found to be satisfied with the given task time. The IL group, however, suggested to increase the amount of the time. In addition, the in-depth survey results showed that most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the corpus-based vocabulary learning in that they could easily learn and retain the target vocabulary than they could do in the traditional vocabulary instruction, which focused on the meaning-to-spelling memorization. All the group members affirmed that the corpus-based vocabulary learning tasks made them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grammar and the diverse usage of vocabulary and that the task was a good way to find out how to learn English vocabulary better, even though the recurrent tasks were not interesting. As suggested, cooperative vocabulary learning with the customized corpus is an effective way to develop students' vocabulary ability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English learning. With the adequate amount of corpus data and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considering learners' current ability and the sufficient task-solving time, students can learn L2 vocabulary effectively and also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L2 learning. A number of caveats need to be noted regarding the present study. The small sample size from a single middle school impedes the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nd the two-week treatment is by no means a sufficient length of time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a particular task. Furthermore, the tasks are based on the customized corpus, which was collected from the national textbooks of Korean middle schools. Therefore, the results can be varied when other corpus data is used. Neverthel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lead to important pedagogical implications in Korean educational settings. First, L2 learners can improve their vocabulary abilities and foster positive attitude toward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through the cooperative corpus-based tasks. Also, teachers should consider their students' cognitive and language proficiency level when they plan to make full use of the corpus-based vocabulary task, especially in terms of the difficulties of linguistic resources, the amount of given data, the way to reduce learners' cognitive burden and affective filter, and the task time. Finally, the corpus-based activities should be conducted with the long-term plan for the successful retention of the target vocabular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4 A. 어휘 학습 4 1. 어휘 능력의 정의 4 2. 어휘 교수 및 학습 6 3. 고빈도 어휘와 다의어 학습의 필요성 8 B. 영어 교육과 코퍼스 9 1. 코퍼스의 정의 9 2. 구조화된 코퍼스와 학습자 맞춤형 코퍼스 10 C. 협동 학습 12 1. 협동 학습의 개념 및 필요성 12 2. 협동 학습의 효과 13 D. 선행 연구 15 1. 협동 학습을 활용한 어휘 학습 15 2. 코퍼스를 활용한 어휘 학습 16 Ⅲ. 연구 방법 20 A. 연구 질문 20 B. 연구 대상 20 C. 연구 자료 21 1. 교과서 코퍼스 21 2. 학습 자료 25 3. 사전.사후 어휘 능력 평가지 28 4. 형성평가지 29 5. 정의적 영역 설문지 29 D. 연구 절차 및 자료 분석 방법 31 1. 실험 절차 31 2. 자료 분석 34 E. 연구의 제한점 35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37 A. 코퍼스 제시량과 과업 수행 방식이 어휘 학습에 미치는 단기적 영향 37 B. 코퍼스 제시량과 과업 수행 방식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장기적 영향 41 1. 집단내 영어 어휘 능력 변화 비교 41 2. 집단간 영어 어휘 능력 향상도 비교 45 C. 코퍼스 활용 어휘 학습이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47 1. 사후 설문지 분석 47 2. 사후 심화 설문지 분석 53 Ⅴ. 결론 및 제언 57 참고문헌 61 부록 70 ABSTRACT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0895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코퍼스 어휘 제시량과 과업 수행 방식이 중학생의 영어 다의어 동사 학습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the Quantity of the Corpus Data and the Task Performing Method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English Polysemic Verbs Learning and Attitude-
dc.creator.othernameMin, Ji-yeoun-
dc.format.pagexi, 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