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상근-
dc.contributor.author이지영-
dc.creator이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8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otherOAK-0000000764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7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6416-
dc.description.abstract국가 간의 교류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상호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세계 공용어인 영어로 의사소통해야 할 필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영어교육도 문법과 독해 위주의 교육에서 의사소통능력을 기르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의사소통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상대방의 말을 이해하는 능력인 듣기 능력이 갖추어져야 한다. 즉, 영어 듣기 능력은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첫걸음이자 필수 요건인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듣기 지도 교육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정보전이활동의 활용이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듣기 이해와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고등학교 학습자의 듣기 능력 수준에 따라 정보전이활동이 듣기 이해에 차이를 가져오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정보전이활동이란 두 화자 간에 정보를 주고받는 식의 대화문을 듣고 표, 그림과 같은 시각적인 자료에 필요한 정보를 적는 활동을 가리킨다. 즉, 언어적인 형태의 입력을 시각적인 자료에 그대로 옮기는 것을 말한다. 이 활동을 통해 듣기 지문의 세부적인 내용 파악은 물론, 정보가 옮겨진 시각 자료를 통해 전체적인 내용을 동시에 알 수 있다. 듣기 중 단계에서 학습자들이 입력된 정보와 상호작용하며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정보를 적고 재구성하는 연습을 통해 실제 의사소통상황에서도 학습한 효과를 볼 수 있도록 듣기 지문과 시각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 정보전이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4주 동안 총 10차시에 걸쳐 실험이 이루어졌고 140명의 고등학교 1학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70명, 통제집단 70명으로 구분하고 사전평가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으로 나누었다. 실험집단에게는 정보전이활동을 활용한 듣기 수업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정보전이활동 대신 문제 풀이 위주의 듣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10차시 수업이 끝난 후, 사후 듣기 평가를 실시하고 영어듣기와 정보전이활동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samples t-test),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의 결과는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집단 간의 정의적 태도의 차이가 유의미한지 검증하고 설문에 응답한 학생 수와 백분율을 나타내어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전이활동을 활용한 실험집단과 문제풀이를 한 통제집단 간의 사후 전체 듣기 평가 점수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인지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통제집단의 사후 평균 점수는 10점 만점에 5.14점이고, 실험집단의 평균 점수는 5.85점으로 실험집단이 더 높았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보다 구체적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 전체 듣기 평가의 세부 항목인 단답형 듣기 평가의 점수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통제집단의 사후 단답형 평가 점수는 5점 만점에 2.55점인 반면, 실험집단의 단답형 점수는 3.06점으로 실험집단이 더 높았으며 이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인지 검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이어서 전체 평가 중 단답형을 제외한 선다형 듣기 평가 점수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분석한 결과, 5점 만점에 통제집단은 2.59점, 실험집단은 2.79점으로 실험집단의 평균점수가 더 높았다. 그러나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와 같이 사후 평가를 세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정보전이활동이 전체와 단답형 영어 듣기 평가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고 이에 영어 듣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정보전이활동이 실험·통제 집단별, 상·하위 수준별로 사후 전체 듣기 능력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집단과 수준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동시에 살펴보기 위하여 이원분산분석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집단별, 수준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실험집단과 상위집단의 평균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 집단들이 정보전이활동의 효과를 보았으며 또한 집단과 수준 간에도 유의미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즉, 하위집단이면서 정보전이활동을 활용한 실험집단의 평균 점수가 다른 집단에 비해 많이 향상되었다. 또한 단답형 영어 듣기 평가에서도 집단별, 수준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험집단과 상위집단의 단답형 평균 점수가 높았다. 그러나 단답형 영어 듣기 평가에서는 집단과 수준 간의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정보전이활동이 선다형 영어 듣기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수준별로는 상위집단이 하위집단에 비해 사후 선다형 점수가 높았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후 선다형 점수에 있어서 집단과 수준 간의 상호작용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보면, 전체 영어 듣기 능력 평가에 있어 정보전이활동을 활용한 실험집단과 상위집단에서 점수의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집단과 수준 간의 상호작용효과는 하위집단에서 정보전이활동을 활용한 학습자의 평균 점수가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그러므로 정보전이활동은 영어 듣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며, 특히 하위 수준의 학습자들에게도 효과적이다. 셋째, 10차시의 듣기 수업을 모두 마친 후 영어 듣기와 정보전이활동이 학습자의 정의적인 측면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설문을 통해 살펴보았다. 우선 영어듣기와 관련된 질문에는 두 집단 모두 각 문항에 대해 사전과 사후설문이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두 집단 모두 과반 수 이상의 학습자들이 영어실력을 위해 듣기 학습이 중요하다고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지만 듣기에 대한 자신감을 보이는 학습자의 수나 스스로 계획해서 듣기 학습을 하는 학습자의 수는 여전히 절반에 미치지 못하였다. 두 집단의 차이를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정보전이활동과 관련해서 실험집단에게만 사후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과반 수가 넘는 학습자들이 정보전이활동이 재미있고 정보전이활동을 활용한 영어 듣기 수업을 계속해서 하고 싶다고 응답하였다. 응답자의 40%가 정보전이활동이 자신의 영어실력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긍정적으로 답을 하였고 46%에 달하는 학습자들이 정보전이활동을 통해 듣기 이해에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고 하였다. 정보전이활동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듣기 후 단계에서 정보전이된 시각적인 결과물을 활용해 전체적인 내용을 정리해서 발표하기와 같은 표현 학습으로 연계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 결과가 교육 현장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정보전이활동을 하나의 듣기 과업으로 활용하여 문제풀이 위주의 듣기 학습이 아닌,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필요한 정보를 선별해서 듣고 직접 기록하는 과정을 통해 듣기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도와야 한다. 이를 위해 듣기 수업의 각 단계를 체계적이고 짜임새 있게 구성하고 다양한 시각 자료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정보전이활동을 활용할 때, 의사소통상황에서 학습자가 직접 사용할 기회가 많은지, 즉 학습자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인지를 고려해야 한다. 이는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적극적인 태도로 듣기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이끌어준다. 또한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지문과 난이도를 고려한 듣기 수업이 듣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정보전이활동이 학습자의 영어 듣기 이해 능력과 정의적인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는 하위수준 학습자들에게 정보전이활동의 활용이 적극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듣기 지문의 상황과 맥락이 다소 한정적이었던 점, 정보전이활동에 쓰였던 시각적인 자료가 다양하지 못하였던 점, 짧은 기간의 실험으로 인한 연구의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한다면 정보전이활동의 활용으로 듣기 이해 능력의 향상 정도와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을 보다 명확하고 자세하게 밝힐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formation transfer technique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listening comprehension. The Information Transfer technique is converting the content of the verbal language form into the non-verbal form to make the information easy to understand and convey. This technique is student-centered, leading students actively to participate in completing visual materials while listening to the dialogue. The study was conducted 10 times over 4-week perio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Each group was further divided into two groups each according to their listening proficiency levels: the higher group and the lower group. Also, the students' attitude towards listening and information transfer technique respectively was examined.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instructed to transfer information through visual materials such as a table, picture and memo while listening.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answered the multiple-choice questions while listening to the dialogue.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overall listening comprehension, but the control group did not. When it comes to writing a short answer to the ques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in the case of multiple-choice questions,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Based on the outcomes, it can be interpreted that information transfer technique may help improve students' English listening skills. Second, information transfer technique was more helpful to the students in the lower level. According to the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ly meaningful interaction between groups. Namely, the students in the lower groups who transferred information via visual materials improved more than other groups in the post-test. When students are given any types of visual materials to gather information, less confident students may receive more support in their task than more confident students. Third, there were little changes in the students' attitude towards studying listening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 majority of students in both group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listening in the communication. However, their efforts to become confident listeners were not increasing as much as compared to the beginning. When it comes to the survey asking the aspects of information transfer technique,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great interest and willingness to continue using this technique in their learning listening. But the result showed that students in the low level especially had trouble writing down answers while listening in order to complete visual materials. To help them, time for vocabulary practice should be essential in the post-listening stage.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for the educational field of English listening in Korea are twofold. First, teachers should assist the students with their listening improvement by providing diverse information transfer tasks. Through them, learners can practice advanced selective listening while completing a chart, table, diagram etc. to gather necessary information. Second, teachers should consider the relevance of content with the target students in advance when using information transfer technique. This leads students to focus on listening with great motivation and participate in listening tasks actively.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transfer technique on learners' overall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y and attitude. It was found that the improvement of students in the low level using information transfer technique was significantly meaningful.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the study such as a small number of visual materials and the short period of the experiment. Therefore, it is encouraged to do further study with a variety of context and materials of listening and the longer period of experimental time in order to confirm the positive effects of information transfer techniqu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5 A. 영어 듣기 5 1. 영어 듣기의 중요성 5 2. 듣기 이해과정 7 B. 듣기 지도 11 1. 듣기 지도의 원칙 11 2. 듣기 지도의 단계 12 3. 듣기 지도에서 교사의 역할 14 C. 정보전이활동 16 1. 정보전이활동의 정의 16 2. 정보전이활동의 장점 21 3. 선행연구 24 Ⅲ. 연구 방법 29 A. 연구 질문 29 B. 연구 대상 30 C. 연구 자료 30 1. 듣기 지문 31 2. 듣기 학습 자료 33 3. 실험 사전·사후 평가지 36 4. 실험 사전·사후 설문지 37 D. 연구 절차 38 1. 실험 이전 절차 38 가. 집단의 동질성 검증 38 나. 상·하위 수준별 집단의 동질성 검증 38 다. 사전 설문조사 실시 39 2. 실험 중 절차 39 3. 실험 이후 절차 42 가. 사후 듣기 평가와 설문 실시 42 나. 결과 분석 42 E. 연구의 제한점 43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44 A. 영어 듣기 능력 변화 분석 44 1. 집단 간 사후 전체 듣기 평가 결과 비교 44 2. 집단 간 사후 단답형 듣기 평가 결과 비교 45 3. 집단 간 사후 선다형 듣기 평가 결과 비교 45 4. 집단별, 수준별 사후 전체 듣기 평가 결과 비교 46 5. 집단별, 수준별 사후 단답형 듣기 평가 결과 비교 47 6. 집단별, 수준별 사후 선다형 듣기 평가 결과 비교 48 B. 영어 듣기와 정보전이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 분석 49 1. 영어 듣기에 관한 집단 간 사전·사후 태도 비교 49 2. 정보전이활동에 관한 실험집단의 사후 태도 52 Ⅴ. 결론 및 제언 54 참고문헌 58 부록 62 ABSTRACT 11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772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정보전이활동이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듣기능력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Information Transfer Technique o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Listening Ability and Attitude-
dc.creator.othernameLee, Ji Young-
dc.format.pagexi, 11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