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0 Download: 0

고등학교「과학」수업에서 활용된 영상자료에 대한 학생들의 선호도 및 교육적 효과 탐색

Title
고등학교「과학」수업에서 활용된 영상자료에 대한 학생들의 선호도 및 교육적 효과 탐색
Other Titles
A Study on high school students' media preference and educational effects of media-based science instruction
Authors
김기정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물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현주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교과에서 영상자료를 활용한 수업을 진행한 후, 학습자가 어떤 유형의 영상자료를 선호하며 영상자료의 어떠한 특성이 학습효과와 관련이 있는지를 탐색해 보았다. 또한 과학 성적이 높은 학생들과 낮은 학생들을 분류하여 영상자료의 선호도 및 교육적 효과에서의 차이도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에는 서울시 소재 인문계 여자 고등학교 1학년 161명이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교과에서 다양한 유형의 영상자료를 활용한 수업을 두 학기에 걸쳐 수강하였다. 영상자료는 내용에 따라 교과내용중심, 과학의 실생활적용사례, 과학의 윤리적·사회적 기능, 과학사, 첨단기술연구동향의 5가지, 형식에 따라 모형·모식도, 실제촬영영상, 다큐멘터리 및 시사채널영상, 가상시뮬레이션, 스토리텔링, 과학실험영상의 6가지로 분류하여 제공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구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영상자료 선호도에 대한 설문조사와 34명의 학생들과의 개별 면담을 통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일반적으로 가장 선호하는 영상자료는 내용면에서는 ‘교과내용중심’, 형식면에서는 ‘모형·모식도’영상 이었다. 그러나 상위권 학생들은 내용면에서 ‘첨단기술연구동향’, 형식면에서 ‘다큐멘터리 및 시사채널’영상을 선호한 반면, 하위권 학생들은 내용면에서 ‘교과내용중심’, 형식면에서 ‘모형·모식도’영상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영상자료를 활용한「과학」수업은 학생들의 과학 내용 이해 및 기억을 도와 학업 성취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또한 과학교과에 대한 흥미 및 태도, 과학-사회-기술의 관계 인식 등도 향상되었다. 그리고 진로 및 과학탐구활동에 대한 동기부여의 효과도 나타났다. 이중 상위권 학생들에게는 진로 및 탐구활동에 대한 동기부여와 과학의 역기능과 사회적 역할 및 윤리적인 면에 대한 가치판단 능력의 함양 등의 효과가 두드러진 반면, 하위권 학생들에게는 과학지식의 활용범위와 효용가치에 대한 인식의 변화, 교과서의 읽기자료에 대한 관심증가와 같은 교육적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과학교사가 영상자료를 제작하고 선별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The purposes of the study included 1) to investigate high school students' preference of image materials which applied to high school 'Science' subject over a year, and 2) to explore educational effects of media-based science instruction using image materials. The 161 10th grade students, in a girls'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by a survey with 161 students on their preference on image materials implemented in the course. Individual interviews with 34 students were also conduced after giving the instru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 First, generally the most preferred image material was textbook-based image material in respect to the content, and model or diagrams in respect to the media format. High achievers in science preferred materials on cutting-edge science and technology and current science research topics, whereas low achievers preferred textbook-based ones. Second, media-based science instruction using image materials contributed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science subject and their interest and attitude toward science. Especially, higher achievers in science were motivated to explore related careers and to conduct independent science research related to the contents. On the other hand, lower achievers became aware of value of science, science class, and science lear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물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