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4 Download: 0

뇌졸중 환자 대상의 악기 및 음악 활용 연구 분석

Title
뇌졸중 환자 대상의 악기 및 음악 활용 연구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n the studies conducted on stroke patients about the use of musical instruments and musical elements for their rehabilitation : Focused on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exercises
Authors
박지혜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types of musical instruments and musical activities that were used for arm rehabilitation exercises in previous studies conducted on stroke patients, and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used in the rehabilitation process. Study subjects were twenty-five articles listed in domestic and foreign journa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use of each musical instrument, the types of musical activities, and the application of musical elements.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usical instruments used by stoke patients for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exercises were divided into percussions with pitch, percussions without pitch, other rhythm instruments, and electronic instruments. The instruments were used by stroke patients in various ways, such as tapping with their damaged hands, tapping with tools, playing the instruments with their damaged hands holding them, rubbing the surface of the instrument, pressing, shaking and throwing, to improve their strength, the range of motion, agility, and coordination. Secondly, the types of musical activities performed by stroke patients for arm rehabilitation exercises included playing the instruments, which is related to TIMP (Therapeutic Instrumental Music Performance) and listening to music or singing, which is related to PSE (Patterned Sensory Enhancement). In some cases, both methods were applied, which means playing the instrument and listening to music are being done at the same time. Thirdly,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used by stroke patients for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exercises were as follows. While patients were exercising, tempo, beat, rhythm pattern and the type of music were used to give a time signal; and pitch, volume, continuity of the sound and harmony were used to give a spatial signal; and accent and tempo were used to give a power signal. The first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percussion instruments without pitch are mostly used by stroke patients for their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exercises, and that unusual playing techniques are adopted according to the patients' needs. Second, when it comes to the types of musical activities for rehabilitation exercises, playing the instrument using damaged parts of the body is the most common choice. Third, although rehabilitation exercises for stroke patients contain many musical elements, tempo is the one that is most widely used. This study shows how music is used for stroke patients'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exercises. The use of music leads to the improvement in the range of motion of joints, the gross motor and fine motor skills, agility and coordination. But related studies are not enough to draw generalized conclusions, so more research is much needed in the future.;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에서 환자들의 상지 재활을 위한 음악 활동의 유형을 살펴보고 악기의 활용 및 음악의 요소의 활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은 국·내외의 석·박사 학위 논문 및 학술지에 등재 된 25편의 논문을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활동 유형, 악기의 활용, 음악 요소의 활용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만성기 뇌졸중 환자들의 상지 재활을 위한 음악 활동 유형은 치료적 악기연주(Treatment Instrumental Music Performance: TIMP)를 기반으로 한 악기 연주 활동(12편)과 패턴화된 감각 향상(Patterned Sensory Enhancement: PSE)를 기반으로 한 음악 요소 청각자극 활동(10편)이 있었다. TIMP와 PSE를 동시에 적용한 활동(3편)이 구성되기도 하였다. 둘째,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재활을 위해 활용된 악기는 다음과 같았다. 관절 가동범위 향상을 위해 활용된 악기는 탬버린(6회), 에그쉐이커(5회), 징글스틱(2회), 콩가드럼(2회), 패들드럼(2회), 오톤블럭(2회), 투바노(2회), 테이블 캐스터네츠(2회), 마라카스(2), 드럼(1회) 등이 사용되었다. 근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에그쉐이커(5회)와 패들드럼(5회) 드럼세트(4회), 탬버린(4회), 리듬스틱(3회), 터치벨(2회), 큐코드(2회), 피아노(2회), 기타(1회), 심벌(1회), 클레이브(1회) 등이 사용되었다. 기민성 향상을 위해서는 미디피아노(2회), 미디드럼(2회), 피아노(2회), 기타(2회), 큐코드(2회), 콰이어차임(2회), 탬버린(2회), 패들드럼(2회), 멜로디언(1회), 키보드(1회) 등이 활용되었고, 협응감(coordination)의 향상을 위해서는 탬버린(3회), 콰이어차임(2회), 패들드럼(2회), 드럼(2회), 클레이브(1회), 오토하프(1회), 탐탐(1회), 자일로폰(1회), 메탈로폰(1회) 등이 활용되었다. 셋째,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재활을 위해 활용된 음악적 요소는 다음과 같았다. 관절 가동 범위 향상(Range of motion)을 위해 활용된 음악적 요소는 악센트(7회), 음량(7회), 박자(6회), 연속성(4회), 템포(3회), 곡의 형식(3회), 패턴(2회), 음고(1회), 화성(1회) 등이었다. 근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템포(2회)가 사용되었고, 기민성의 향상을 위해서는 템포(3회), 패턴(1회) 등이 사용되었다. 협응감 향상을 위해서는 템포(2회)와 패턴(1회)이 사용되었다. 이 연구의 결론은 첫째,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재활을 위한 음악치료 활동은 TIMP와 PSE 기법이 비슷한 빈도로 활용되었다. 둘째,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재활을 위한 활동의 대부분에서 음고가 없는 타악기가 활용되었으나, 소근육의 기민성 향상을 위한 활동에서는 모두 음고가 있는 타악기가 활용되었다. 셋째, 아급성기(Sub-acute) 및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재활을 위한 모든 활동(ROM향상, 근력향상, 기민성 향상, 협응감 향상)에서 음악 요소인 템포가 활용되었다. 또한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견관절, 주관절, 손목관절 ROM 향상을 위한 모든 활동에 음악 요소인 악센트가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상지 재활을 위해 음악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향후 뇌졸중 환자의 상지 재활을 위한 음악 치료 연구를 계획할 때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겠지만, 아직까지 그 연구 수가 부족하여 이것을 일반화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향후 지속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