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현주-
dc.contributor.author하현덕-
dc.creator하현덕-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0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5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4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54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시설 청소년의 정서적 안정감에 관심을 가지고 정서적 안정감과 관련한 심상을 유도하기 위하여 감상 중심의 음악 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유도된 심상의 내용과 의미에 관하여 알아보고, 시설 청소년의 정서적 안정감과 관련한 심상들이 어떻게 언어적 반응으로 나타났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경기도 군포시 H 청소년 쉼터에서 거주하고 있는 시설 청소년을 대상으로 주 1회 6주간 총 6회기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참여자는 총 9명으로서 시설의 특성상 참여자들의 회기 수는 각각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음악 감상 프로그램은 정서적 안정감 유도를 위한 심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MI 프로그램을 근거로 수정·보완되었다. 음악 감상 프로그램을 위하여 총 54곡의 이완과 심상을 위한 음악이 선행 연구를 근거로 사전 선곡되었고, 이차적으로 감상 시 음악의 선곡은 연구자가 참여자들과 합의를 통하여 재 선곡하였다. 음악 감상 후 심상의 내용과 의미에 대한 경험 분석을 위해 참여자들의 언어적 반응을 녹취하여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하였다. 감상 후 참여자들이 경험한 내용을 구와 절로 이루어진 총 151개의 내용단위(content unit)로 도출하여 하위요인별로 범주화하여 주제를 도출하고, 참여자별로 내용과 의미를 분석한 뒤 각 회기별 반응으로 구분하여 서술하였다. 그림으로 표현된 심상들은 회기별, 주제별로 분류하여 상세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참여자들이 경험한 심상의 내용과 의미 분석 결과 편안함·행복감·즐거움 등의 정서적 안정감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심상과, 미래 꿈과 희망의 심상·자신과 의미 있는 대상의 심상·특정 장소에 대한 심상을 경험하였다. 그 중에서 시설 청소년의 정서적 안정감과 관련된 심상 경험이 42.4%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또한 심상 경험의 언어적 반응에 내포된 의미에 따른 주제 분류는 자기정서 인식, 자기정서 표현, 타인정서 인식 및 배려, 감정 조절의 반응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시설 청소년은 음악 감상을 통하여 정서적·심리적으로 지지를 받으며 정서적 안정감의 심상을 경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This research, with interest in emotional stability of teenagers in facility, found out the meaning and the context of induced imagery and checked how images related to emotional stability of teenagers in facility are represented verbally, by implementing the music therapy program focused on appreciation to induce imagery related to emotional stability. This research was done to teenagers staying in H youth shelter in Gyeonggi-do Gunpo-si once a week for six months, total 6 times. Total numbers of participant were nine, and numbers of session that each participant had were varied due to the nature of the facility. Listening to music program of this research was modified and complemented based on MI program in order to induce emotional stability. For listening to music program, total 54 pieces of music for relaxation and imagery were chosen in advance based on advanced research, and secondarily, some of them were reselected through agreement of both researcher and participants while listening to music. When listening to music is over, content analysis was done after recording verbal reactions of participants, in order to do experience analysis on content and meaning of imagery. It was described by drawing topic and analyzing content and meaning for each participant after drawing total 151 content units, composed with phrases and verses, from contents that were experienced by the participants after the program, categorizing them depending on subdivision. Imageries that were expressed as pictures were described in detail by session and topic. Through this research by analyzing the meaning and the content that were experienced by participants, imageries that were directly related to emotional stability like comfort, happiness and joy, imageries of future dream and hope, imageries that were related to something that were spicial and imageries that were on specific place, were experienced. Out of them, the experience related to subjects' emotional stability captured 42.4% which was the highest proportion. Furthermore, topical classification depending on connoted meaning of verbal reaction of imagery experience is found out as reaction of recognition of self-emotion, expression of self-emotion, recognition and consideration on others' emotion, control of one's emotion and usage of one's emotion. Therefore, it was shown b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at subjects experienced imagery of emotional stability with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upport through listening to music.-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C. 용어 정의 3 Ⅱ. 이론적 배경 5 A. 시설 청소년 5 1. 시설 청소년의 정서적 안정감 5 2. 시설 청소년과 음악 감상 8 B. 음악과 정서적 안정감 10 C. 음악 감상 13 1. 음악요소의 안정적이완적 특성 13 2. 음악 감상과 심상 경험 15 Ⅲ. 연구방법 21 A. 참여자 선정 21 B. 연구 설계 및 절차 27 1. 연구 설계 27 2. 연구 절차 27 3. 연구 환경 28 C . 음악 감상 프로그램 28 1. 감상 음악 선곡 28 2. 음악 감상 프로그램 근거 및 구성 34 Ⅳ. 연구 결과 42 A. 심상 경험에 대한 그림 분석 42 1. 참여자들이 경험한 심상의 내용 42 B. 심상 경험에 대한 내용 분석 57 1. 참여자들이 경험한 심상의 언어적 내용 57 2. 참여자들이 경험한 심상의 언어적 의미 61 C. 논의 79 Ⅴ. 결론 및 제언 82 A. 결론 82 B. 제언 85 참고문헌 86 부록 96 ABSTRACT 1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960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음악 감상을 통한 시설 청소년의 정서적 안정감 유도를 위한 심상 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magery analysis research for inducing emotional stability of teenagers in facility, through listening to music-
dc.creator.othernameHa, Hyun Duk-
dc.format.pageviii, 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