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3 Download: 0

전자칠판을 활용한 읽기 전 스키마 활동이 고등학생의 영어 읽기 이해도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전자칠판을 활용한 읽기 전 스키마 활동이 고등학생의 영어 읽기 이해도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Schema Activation Pre-reading Activities Using Interactive Whiteboard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nd Affective Attitude
Authors
박효경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종임
Abstract
In Korean high school English class, reading skill is a main focus of the lesson, and lots of time is spent on teaching reading skills by teachers. This is because reading is a very important skill to get a good grade in Korean SAT exam. However, most students think English reading class is boring and not interesting. For teachers, the level of some English texts is very challenging, so they need more materials and background knowledge to teach students those texts. Fortunately, 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ies many schools is adapting interactive smartboard and replace traditional blackboard with it. As some experts say this is the most developed technology which can be used in education field, the effective use of interactive smartboard can solve thes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chema activation as pre-reading activities using interactive whiteboard on reading comprehension. This study is conducted in February 2012 involving 54 first year students in high school. In order to test its efficiency in high school classroom, the content and formal schema activation as pre-reading activities were treated to two different sample groups, and were given their assigned schema activation activities in pre-reading stage during two classes. These classes were taught by the same teacher. The subjects took the pre-test before the experiment and post-test after the experiment. Also, a survey was conducted to see subjects’ affective attitude toward English reading class, and recognition on pre-reading activities using interactive smartboar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effects of schema activation pre-reading activities using interactive whiteboard on the comprehension of basic and difficult reading text. Compared to students’ pre-test score, post-test score is improved significantly. Especially, when students was supposed to read difficult version of texts, content schema activ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formal schema activation. This is because the difficult version of text require more background knowledge to be understood fully by students. Second, both in content and formal group the post scores of low proficiency students were improved meaningfully. On the other hand, high proficiency students in content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ost scores of both texts while the ones in formal group showed no meaningful increase in easy version of text. In easy version of texts, formal schema activation was more effective for the low proficiency students. However, in difficult version of texts content schema activation was more effective for the low proficiency students. In the case of high proficiency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to the effectiveness of the content and formal schema activation when they read easy version of texts. On the other hand, when high proficiency students read difficult version of texts content schema activation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post scores. Third, in the survey most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toward the use of interactive whiteboard, and they said English reading lesson using interactive whiteboard is very motivating and interesting. However, some students point out the use of interactive whiteboard distracted their attention from the lesson. For the better use of technology, teachers should know its merits and demerits in advance. In conclusion, the schema activation pre-reading activity using interactive whiteboard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nd their attitude & recognition toward English reading lesson.;본 연구의 목적은 교단 선진화 작업의 일환으로 현재 각 시·도교육청에서 보급하고자 힘쓰고 있는 전자칠판을 활용 영어 읽기 수업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전자칠판을 활용한 내용 스키마와 형식 스키마 활성화 읽기 전 활동을 각 집단에 다르게 처지 함으로써 본 연구의 목적은 교단 선진화 작업의 일환으로 현재 각 시·도교육청에서 보급하고자 힘쓰고 있는 전자칠판을 활용 영어 읽기 수업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전자칠판을 활용한 내용 스키마와 형식 스키마 활성화 읽기 전 활동을 각 집단에 다르게 처지 함으로써 이것이 학생들의 텍스트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학습자 수준에 따른 읽기 이해도의 향상 정도를 살펴봄으로써 어떤 읽기 전 활동이 학생의 읽기 능력에 따라 더 효과적인지를 밝히고 읽기 학습이나 전자칠판을 사용한 영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태도를 조사하여 전자칠판을 활용 효과적인 영어 읽기 수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고등학교 1학년 학습자 54명을 내용 스키마 활성화 집단과 형식 스키마 활성화 집단으로 나누고 각 집단에 해당 읽기 전 활동을 제공하였다. 다양한 읽기 전 활동 중 내용 스키마와 형식 스키마를 전자칠판을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활성화 시키고자 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많은 국·내외 논문을 통해 배경지식, 즉 내용 스키마가 읽기 활동에 중요한 요소라는 것이 증명되었다. 더불어 각종 멀티미디어 매체의 발달로 교사들은 보다 간편하게 학생들에게 주변 세계와 관련된 배경지식을 제공해 줄 수 있게 되었다. 예를들어 인터넷 웹사이트를 통해 교실에서도 멀티미디어 기기만 갖추어져 있으면 영국 런던의 대영 박물관이나 프랑스 파리의 루브르 박물관의 전시물들을 마치 실물을 보는 것처럼 생생하게 눈앞에서 볼 수 있는 시대가 열린 것이다. 다양한 전자매체 중에서도 최근들어 전자칠판이 많은 학교에 속속 등장하면서 교과서와 인터넷을 더욱 간편하게 연결해 줄 수 있게 되었다. 이 점을 활용하여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으로 구성된 두 집단을 대상으로 4개의 공통된 읽기 지문을 가지고 어휘 스키마는 두 반 모두에게 제공하고 한 집단에는 지문의 내용과 관련된 배경지식을 활성화하는 내용 스키마 활성화 수업을 진행하고, 다른 한 집단에는 글의 구조나 흐름을 명시적으로 보여주는 형식 스키마 활성화 수업을 진행하였다. 읽기 전 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먼저 사전 검사를 실시하여 전자칠판을 통한 읽기 활동을 하기 전의 독해 지문에 대한 이해도를 측정하고 실험처치 후의 이해도를 측정하였다. 수업 시작일과 마지막 날에는 전자칠판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태도를 질적으로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자칠판을 활용한 내용 스키마와 형식 스키마 활성화 활동이 학생들의 영어 텍스트의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측면에서는, 집단 내에서 내용 스키마 활성화 집단과 형식 스키마 활성화 집단 모두 사전점수에 비해 사후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어 두 활동 모두 학생들의 텍스트에 대한 이해도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집단 간 차이 검정에서 기본독해 평가에서 보다 심화독해 평가에서 내용 스키마를 활성화한 집단이 형식 스키마를 활성화 한 집단보다 사후검사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는데 그 이유는 심화독해 평가에서 사용된 독해 지문이 학생들의 배경지식을 더 필요로 하는 어려운 텍스트였기 때문에 형식 스키마를 읽기 전에 활성해 주는 것 보다는 내용 스키마를 활성해 주는 활동이 더 효과적이기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학습자의 독해 수준에 따른 내용 및 형식 집단 내 차이 검정에서는 내용집단과 형식 집단의 하위 학습자의 경우 기본 및 심화 독해의 사후 평가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하지만 내용 집단의 상위 학습자들은 기본 및 심화 독해의 사후 점수에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던 반면에 형식 집단의 상위 학습자는 기본 독해에서는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지만 심화 독해에서는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학습자의 독해 수준에 따른 내용 및 형식 집단 간 차이 검정에서는 하위 학습자의 경우 기본 독해에서 내용 집단과 형식 집단의 교정평균을 비교해 본 결과, 형식 집단의 평균이 더 높았기 때문에 하위 학습자들이 비교적 쉬운 난이도의 지문을 이해할 때는 내용 스키마 보다는 형식 스키마의 활성화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심화독해에서는 내용 집단 하위 학습자의 평균이 형식 집단 하위 학습자들의 평균보다 높았기 때문에 어려운 내용의 지문을 다룰 때는 내용 스키마를 제공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학습자의 경우 비교적 평이한 난이도의 독해 지문을 다루었던 기본 독해 수업에서는 내용 스키마와 형식 스키마의 활동 간에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심화 독해에서 두 집단 간 사전 평가에서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고 내용 집단 상위 학습자들의 사후 점수의 평균이 형식 집단의 상위 학습자들 보다 더 높았기 때문에 역시 상위 학습자들의 경우에도 어려운 지문을 다룰 때에는 내용 스키마의 활성화가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읽기 전·후 설문조사를 통해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전자칠판의 사용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였고 읽기 학습에 동기부여도 되고 수업에 대한 흥미도도 올라갔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교사가 훌륭한 좋은 수업의 보조 자료가 있다 하더라도 이를 잘 활용하지 못한다면 그 효과는 감소할 수밖에 없다. 실제로 전자칠판의 부정적인 측면을 언급한 서술형 응답을 살펴보면 몇몇 학생들은 전자칠판이 오히려 수업에 대한 집중을 방해하고 학습을 방해한다고 지적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텍스트의 난이도와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약간의 차이가 존재하기는 했지만 전자칠판을 활용 스키마 활성화 활동이 고등학생들의 텍스트 이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단 2차시의 실험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실험 결과를 전체 고등학생들에게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읽기 지문의 장르나 난이도가 실험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또한 본 연구의 실험대상이 이미 기존에 선발된 상위, 차상위 학생들로 구성된 동질하지 않은 두 집단이었기 때문에, 이는 연구 결과의 타당도에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연구자가 재직하고 있는 학교에 전자칠판이 들어오면서, 연구자가 직접 현장에서 이를 활용하여 읽기 수업을 한 지난 몇 년간의 교직 경험을 바탕으로 구상하게 된 현장연구이다. 또한 수업 보조 도구로서의 앞으로 전자칠판의 활용 방안이 무궁무진하며 학교현장에 적용하기에 유용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다만, 앞서 말한 본 연구의 한계점들을 보완한 후속연구가 등장한다면 더욱 의미 있는 결과들이 도출되리라고 생각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