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용-
dc.contributor.author김진아-
dc.creator김진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0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0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0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43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019-
dc.description.abstract다원주의 사회의 특성이 심화되고, 국가의 경계를 초월한 범세계적인 사회로 전환되어 가고 있는 현 세계는 정치, 경제, 문화,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가 활성화 되고 있다. 전혀 다른 인종, 언어, 문화, 교육에 대한 각기 다른 가치관들을 가진 다양한 국가들과 서로 교류하며 소통하고 있는 세계화 속에서 유일한 분단국가로서 대한민국은 통일을 대비하여 국가 사회의 이상적인 통합, 즉 서로 다른 영역으로서의 체제 인정과 이에 따른 새로운 통합 논의가 필요하다. 국가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사회구성원들의 세계관과 가치관을 형성하는 중추적 요인으로 국가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동질성과 이질성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유용하고 의미 있는 작업이라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남북한 미술의 특징과 남북한 미술과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여 민족의 동질성을 회복할 수 있는 바람직한 통합 미술교육과정 개발 과정에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남북한 미술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미술문화를 비교하고, 둘째, 남북한의 교육제도, 셋째, 남북한의 미술 교육의 목적, 미술교육과정의 목표 및 내용체계,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남북한 미술교과서의 외형 및 내용체제 등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연구는 주로 관련 문헌을 수집 분석하는 작업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대상은 남북한 미술관련 문헌과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과 미술교과서로, 남한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제작한 교육과정과 북한에서 출판된 1차 자료 중 수집 가능한 문헌 및 2차 자료로 국내 북한 관련 연구 자료를 통해 남북한의 미술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Bereday가 제시한 비교모형의 기술, 설명, 병치, 비교의 과정의 거쳐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북한 미술의 특징과 창작배경, 현황 등을 살펴본 결과, 남한의 미술은 한국적 특수성, 전통성과 국제적 보편성을 조화시키면서 발전을 거듭하며 다원주의라는 문화적 패러다임 속에 탈장르화, 탈영역화 되었고, 다양성과 대중성 등의 특징을 가진다. 반면 북한의 미술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와 김일성의 주체미학에서 비롯된 주체미술장려, 추상화 부재, 조선화 형식 주창 등의 특징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창작 배경에서 남한은 자아표현, 미적 가치 추구를 목적으로 자유로운 창작이 가능하지만, 북한은 정치·사상적인 교화 수단으로서 정치적 통제와 제한을 받으며 당성, 인민성, 노동계급성을 반영한 창작을 하고 있었다. 또한 여전히 북한은 사회주의 미술에 빠져있는 것 등 남북한 미술의 비교를 통해 남북한 미술문화의 이질화 정도를 느낄 수 있었다. 둘째, 남북한의 교육제도를 살펴본 결과, 남한의 교육은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민주시민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북한의 경우 사회주의, 공산주의, 주체사상 등에 따라 공산주의 인민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교육행정체제는 남북한 모두 중앙집권체제를 유지하고 있지만 남한의 경우 지방분권을 지향하고 정치적으로 자율성이 보장되는 반면, 북한의 경우 당의 지시와 감독에 따라 움직이며 교육의 자율성과 전문성이 미흡한 점을 볼 수 있었다. 학제 같은 경우 남한은 6·3·3·4제에 9년의 의무교육기간인 반면 북한은 4-6-4(6)제에 11년의 의무교육이 이루어진다는 점과 교육과정에서 정치사상교육이 강조되고 김일성 가계의 우상화를 위한 교과목의 설치와 시수 등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남북한 미술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살펴본 결과, 북한은 미술을 향유하고 창의성과 감성, 미적 감각 등을 키우고자 하는 남한의 넓은 목적과는 달리 기술적 습득을 강조하고 사회주의-공산주의 건설자로 키우는데 목적을 두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교육과정의 목표 및 내용체계,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에서는 남한의 경우 각 영역별로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학습자 위주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북한의 경우 영역 구분이 모호하며 교사위주의 교과서 중심 교수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교과서의 비교에 있어서도 교과서의 발행방식, 외형체계인 판형, 지질, 쪽수 등과 교과서 기술방식과 내용구성에서 이질적인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상 남북한 미술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통합 미술교육과정 개발 과정에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 본 연구를 통해 분단의 장기화와 북한 사회의 특수성으로 인해 미술교육의 이질화가 심화되고 있는 현실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교육목적과 환경에 따라 교육의 질이 다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육내용 및 질적인 측면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향후 통일을 대비하여 남북한 미술교육의 이질성 극복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노력과 함께 남북한 공동의 미술교육과정개발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는 북한 교육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와 북한 미술교육에 대한 냉정한 평가를 바탕으로 가능할 것이다. 북한의 미술교육에 대한 분석은 시대의 변화와 무관하여 지속되어야 할 과제이다. 북한의 미술 교육 현황과 그 변화에 대한 이해는 북한사회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통일 후 야기되는 갈등 및 교육격차를 해소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북한의 일차 자료 수집의 어려움으로 북한의 미술과 교육의 실제 현황과 북한 미술계와 교육계의 전모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보다 심도 있고 정확한 연구를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북한 미술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하며, 남북한 미술과 통합교육과정안을 마련하기 위한 전문가들의 후속 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In the middle of being deepened the characteristic of pluralist society and of proceeding with being changed into universal society beyond the national boundary, the world is exchanging in diverse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education. Amid globalization of mutually exchanging and communicating with diverse countries that have completely different race, language, culture and value in this way, the Republic of Korea as the sole divided nation requires the rational integration in national society, namely, the recognition of a system in mutually different spheres and the discussion about new integration according to this in preparation for unificatio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 are pivotal factor of forming social members' world view and value. What analyzes its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by comparatively analyzing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 is a very useful and significant work.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to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desirable integrated art curriculum available for recovering nation's homogeneity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outh and North Korean fine arts and South and North Korean fine arts curriculum & textbook, as part of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unification. For this, first, the fine arts culture was compared by examining characteristics of fine art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Second, South and North Korea's educational systems were comparatively examined. Third, it comparatively examined the objective of fine arts educ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goal & content system of fine arts curriculum, teaching-learning method & evaluation, and appearance & content system of fine arts textbook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 research was performed with a work of mainly collecting and analyzing relevant documents. As for research subjects, it comparatively analyzed South and North Korea's fine arts curriculum through the research materials related to North Korea at home as the documents available for collecting among the primary materials, and the secondary materials, which were published in North Korea in addition to the curriculum that was made by South Korea's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s South and North Korea's documents related to fine arts, and elementary·secondary school curriculum & textbook. As for data analysis, the comparative analysis was made after passing through the process of description, explanation, juxtaposition, and comparison in a comparative model proposed by Bereday. Summarizing and arranging the results that were obtained through this study, the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characteristics, creation background, and present status of fine art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South Korea's fine art was de-constructed genre and was de-territorialized amid cultural paradigm called pluralism, and is characterized by diversity and popularity. On the other hand, North Korea's fine arts could be known to be characterized by the socialist realism and by encouragement of Juche(self-reliance) art, the lack of abstract painting, and the advocacy for Joseon-hwa(朝鮮畵) form, which originated from Kim Il-seong's Juche(self-reliance) aesthetics. Also, in the background of creation, South Korea is possible for free creation with the aim of pursuing self-expression and aesthetic value. However, North Korea was creating with reflecting partisan nature, people-lized, and laboring class nature while being politically controlled and restricted, as a means of political and ideological edification. Also, heterogeneous level could be felt in South and North Korea's fine arts culture through comparing South and North Korea's fine arts such as what North Korea is still absorbed in socialistic fine arts. Second, as a result f examining the South and North Korea's educational systems, South Korea's education is aiming at training democratic citizens under the humanitarian ideal. However, North Korea was aiming at training communist people according to socialism, communism, and Juche ideology. As for educational administrative system, the centralized system is being maintained by both South and North Korea. However, South Korea points to decentralized and is secured political autonomy. On the other hand, North Korea could be seen to move according to political party's direction and supervision and to be insufficient in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of education. In case of school system, South Korea has the 9-year compulsory schooling term with 6·3·3·4 system. On the other hand, North Korea was showing difference in what the 11-year compulsory schooling with 4-6-4(6) system is performed, in what the political-ideological education is emphasized in curriculum, and in installation & instructional hours of curricular subject for idolizing Kim Il-seong's family lin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South and North Korea's fine arts curriculum and textbook, North Korea could be seen to aim at emphasize technical acquisition and training as socialistic-communistic constructor, unlike our broad aim of enjoying fine arts and of fostering creativity, sensitivity, and aesthetic sense. In the goal & content system of curriculum, and teaching·learning method & evaluation, a case of South Korea systematically suggests by each sphere and is composed of contents centering on learners. However, a case of North Korea is ambiguous in division of sphere and is using a teaching method of centering on teacher-oriented textbook. Finally, even in comparison with textbooks, the heterogeneity could be examined in publication method of textbook, in appearance system such as book size, paper quality & page number, and in description method & content organization of textbook. As the above, the aim was to offer basic data to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desirable integrated art curriculum available for recovering nation's homogeneity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process of South and North Korean fine arts. Through this study, the reality could be examined that heterogeneity in fine arts education is getting deepened owing to the extension in division and the particularity in North Korea. Also, quality of education could be known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educational objective and environment. Accordingly, there is a need of discussing about developing South and North Korea's joint fine arts curriculum along with more positive effort for overcoming heterogeneity of South and North Korea's fine arts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future unification given considering that a great difference is being shown in the aspect of educational contents and quality. This will be possible based on objective understanding about North Korea' education and on cool evaluation on North Korea's fine arts education. An analysis on North Korea's fine arts education is unrelated to a change in times, thereby being task that will need to be continued. Understanding about the present status and its change in North Korea' fine arts education can offer very important implication in understanding North Korean society and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solving conflict and educational gap that are caused after unifi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서론 1 A.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연구의 내용 3 C.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4 II.남북한 미술의 특징 8 A.남북한 미술의 창작배경 8 B.남북한 미술의 특징 및 유형 11 C.남북한 미술의 현황 17 III.남북한 미술과 교육과정 비교 23 A.남북한 교육제도 비교 23 B.남북한 미술과 교육과정 비교 39 1.남북한 미술교육의 목적 39 2.남북한 미술과 교육과정의 목표 및 내용체계 비교 41 3.남북한 미술과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비교 44 C.교과서 제도 및 내용 비교 51 1.교과서 발행정책 및 활용정도 51 2.남북한 미술 교과서 판형 및 분량의 외형 체제 53 3.남북한 미술 교과서 기술방식 및 내용 구성 56 IV.통합 미술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제안 64 V.결론 및 제언 66 참고문헌 70 ABSTRACT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1665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통일대비 남북한 미술교육 통합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남북한 미술의 특징과 미술과 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ntegration Plan for Art Edu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in Preparation for Unification: Focused on Analysis of Fine Arts Characteristics, Fine Arts Curriulum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dc.creator.othernameKim, Jina-
dc.format.pagex,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