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1 Download: 0

교과교실제 선진형(A형) 운영 미술교과 교육 사례 연구

Title
교과교실제 선진형(A형) 운영 미술교과 교육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f the Art Subject Education Operated by the Advanced Type (A-type) of Subject Classroom System : Centering on D High School in Gyeonggi Province
Authors
박민정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영순
Abstract
The subject classroom system will be completely conducted in all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s from 2014. The subject classroom system of the advanced countries has been gradually developed through long-term studies while Korea's subject classroom system has been conducted only for the time of less than five years and the studies on this system are insufficient. The subject classroom system is a way that the specialized classroom exclusive to each subject is ready and students move to each subject classroom to take each class, and is currently being operated by dividing into the advanced type (A-type), subject-centric type (B & C types).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s regarding the advanced type as the type that reveals the effectiveness of the subject classroom best, it is planning to switch the subject-centric type to the advanced type by constantly institutionalizing the support for the cost of facility and operating expenses. Therefore, focusing on 'D' High School in Gyeonggi-do that was selected as the Excellent Creative Management School by the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2011,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art subject education in the advanced type of subject classroom syste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ase that art subject education is operated in the advanced type (A-type) of the direction pursued by the subject classroom system. The case study of the advanced type subject classroom system of 'D' High School was carried out through the data analysis such as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subject school and field trips, questionnaire survey,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art subject education in the advanced type subject classroom system in three aspects of facility, curriculum and student guidance are as follows. First, the art subject education in terms of operating facility in the advanced type subject classroom system was not able to achieve the subject blocking unlike the subject classrooms of other subjects. There were no storage boxes for art materials and the classroom for art theory class was not available. There was no space for the autonomous practice related to art activities of the students, and the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lighting facility appeared to be the general classroom for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art subject were not consider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rt subject classroom was constructed similarly to the general classrooms without consider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art subject in spite of the fact that "D' High School is the school with modern facilities designed for subject classroom system. In order to conduct art subject education efficiently, a sufficient space should be secured and the physical facilities including lighting facility should be prepared properly. It is essential that the space for art practice that students majoring in art can autonomously use in school, material storage and preparation room and works storage room are secured. Second, from the viewpoint of the advanced type subject classroom system,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s institutionally encouraging the introduction of level-based class, block time system and concentrated subject completion system. The block time system is the method operation that is suitable for the practical lesson of art subject education. However, the level-based class is not being applied due to the nature of art subject education, and the number of the students who can steadily take art education for three years was reduced. The case that distinctively appeared in 'D' High School is that the students wishing to enter a college related to the art are being considered in taking lessons appropriate to their major by opening the subject called 'sketch' in the subject 'exploration area' of the fifth unit of the third grade. In order to extend the range of opening of the subjects suitable for the student aptitude and the student choice by expanding such cases, the methods of separating students by the major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will have to be changed to the method of classifying in three different type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natural science and art and physical education. Third, the facts that the career guidance program for the students majoring in art should be prepar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advanced type student guidance and that the class organization considering students' major are necessary for the efficiency of the duties for which art teachers are responsible were found. If a student who did not apply for art subject is assigned to the class for which an art teacher is responsible while the art subject is operated as an elective subject of the art group, problems in student guidance will occur as the student would be having less contact with the homeroom teacher. Therefore, the method of organizing class after having students select the elective subjects first before organizing class in the early semester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the third grade students, organizing class by gathering students who wish to major in art would be a way to extend the professionalism to the relationship and class activities of the students. An absurd phenomenon that students who wish to go to the area of art have to listen to the information on entering universities by being classified as the students who would major in humanities and society is appearing in 'D' High School. Even though the number of the students who wish to major in art-related field is small, the plans of the information on entering the universities and career guidance should be necessarily prepared. In the reality that the number of art-centric middle and high schools is eight throughout the country at present, most students majoring in art are not enjoying its benefits. Therefore, studies on the positive characteristics that can be introduced to general middle and high schools will have to be continued.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making the subject classroom system as the policy that respect the personal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physical environment and economic and institutional supports that takes the characteristics of art subject education into account in all types are desperately needed.;우리나라의 모든 중·고등학교에서 2014년부터 교과교실제가 전면 시행된다. 선진국의 교과교실제는 오랜 연구를 통해 점진적으로 발전되어왔지만, 우리나라 교과교실제는 시행된 시간이 5년 미만에 불과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교과교실제는 각 교과마다 특성화된 전용교실을 갖추고 학생들이 교과교실로 이동하여 수업을 듣는 방식으로, 현재 선진형(A형)과 과목중점형(B·C형)으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교과교실의 효과가 가장 잘 드러나는 유형을 선진형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시설비 및 운영비 지원을 제도화하면서 과목중점형을 꾸준히 선진형으로 전환할 것을 계획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창의경영우수학교로 선정된 경기도의 D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교과교실제가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의 선진형(A형)에서 미술과 교육이 운영되는 사례 분석을 통해 교과교실제 선진형에서 미술과 교육의 발전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D고등학교의 교과교실제 선진형 사례연구는 연구학교와 관련된 문헌조사 및 현지답사, 설문지, 참여관찰, 인터뷰 등의 자료 분석을 통해 이뤄졌다. 교과교실제 선진형에서의 미술교과 교육의 운영 실태를 시설, 교육과정, 학생지도라는 3가지 측면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교실제 선진형에서의 시설 운영 측면에서 미술과 교육은 타 교과의 교과교실과 달리 교과블록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었다. 미술 재료 보관함이 없었으며, 미술이론 수업을 위한 교실이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았고, 학생들의 미술활동 관련 자율적인 실습공간이 없었으며, 조명시설을 비롯한 물리적 환경요소가 미술교과 특성이 배려되지 않는 일반교실의 모습을 띄고 있었다. D고등학교는 교과교실제를 위해 설계된 최신 시설을 갖춘 학교임에도 미술교과 특성에 대한 배려 없이 일반교실과 비슷하게 건축했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 미술과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충분한 공간의 확보 및 조명시설을 비롯한 물리적 시설이 제대로 갖추어져야 할 것이다. 교과교실제가 공교육 질을 높이고 사교육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취지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미술 전공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미술실습 공간과 재료 보관 및 준비실, 작품 보관실 등 부대시설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둘째, 교과교실제 선진형 교육과정 측면에서 보면, 교육과학 기술부는 수준별 수업, 블록타임, 집중이수제를 도입하도록 제도적으로 권장하고 있다. 블록타임제는 미술과 교육의 실기 수업에 적합한 운영 방법이다. 하지만 수준별 수업은 미술과 교육의 특성상 적용되지 않고 있으며, 집중이수제로 인하여 고등학교 3년 동안 미술교육을 꾸준히 받을 수 있는 학생 수가 감소한 실정이다. D고등학교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난 사례로는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선택하는 3학년 주 5차시 ‘탐구영역’ 과목에 ‘소묘’라는 과목을 개설하여 미술 관련 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전공에 적합한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배려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사례를 확대하여 학생 적성에 적합한 교과 개설 및 학생 선택의 범위를 늘이기 위해서는, 일반계 고등학교 내에서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학생 분류가 인문사회·이학 전공으로 나누던 방식에서 인문사회·이학·예술체육 전공의 3분류 방식으로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교과교실제 선진형의 학생지도 측면의 발전을 위해서는 미술 전공 학생들을 위한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과 미술 담당 교사의 담임 업무 효율화를 위하여 학생 전공을 고려한 학급편성이 필요한 점이 발견되었다. 미술교과가 예술군의 선택과목으로 운영되면서 미술과목을 신청하지 않는 학생이 미술교사 학급에 담임배정 될 경우 담임교사와의 접촉이 적어지므로 학생지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따라서 학기 초 반 편성 시기에 학생들의 선택교과를 먼저 선택하게 한 후에 학급을 편성하는 방식을 고려하여야 한다. 3학년의 경우 미술 전공을 희망하는 학생들을 모아 학급을 편성하는 것도 학생들의 유대관계 및 학급활동에 전문성을 신장할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다. 현재 D고등학교는 미술계통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인문사회전공 학생으로 분류되어 있어 불필요한 인문사회 진학안내를 들어야 하는 불합리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미술 관련 전공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소수일지라도 그 학생들을 위한 진학 안내 및 진로지도를 위한 방안들이 반드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미술 중점형 중·고등학교는 전국에 8개뿐인 현실에서 미술을 전공하는 학생들 대부분은 그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미술중점형 학교의 운영실태를 분석하여 일반계 중·고등학교에 도입할 수 있는 긍정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교과교실제가 학생의 개성과 특성을 존중하는 정책이 되겠다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교과교실제의 모든 유형에서 미술교과교육의 특성을 고려한 물리적 환경 및 경제적·제도적 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