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차영순-
dc.contributor.author홍정화-
dc.creator홍정화-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3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3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22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9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223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smart learning utilization in art education. For that purpose, the study examined the definition of smart learning and the significance of its utilization in art education. The study also examined the use patterns of smart learning, perceptions, and characteristics when using smart learning in art education among the subjects of art education, namely, the learners of art education and the art teachers. It then looked into their perceptions of the effectiveness of smart learning in art education and analyzed its applicability to actual lessons and practical problems. A survey was taken with 200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esign and visual media as the learners of art education and 50 art teachers and professors as the art teachers providing art education. Total 2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collected, and analyzed. Collected data were presented in a graph showing the statistics in percentage(%) on EXCEL 2010 according to data analysis methods.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survey, both the learners and teachers showed a high utilization level of smart media. Many of them had their own smart phones with 96% of the learners and 86% of the teachers using personal smart media. More than 90% of the learners used smart media for a year or longer, while about 60% of the teachers did for a year or longer, which indicates a very high use and spread rate of smart media among the subjects. With a smart environment established that way, the subjects were asked about their perceptions of smart learning. The learners did not have very good knowledge about smart learning and showed no particular awareness of it even though their use rate of smart media was very high.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s mostly knew about smart learning and had much interest in it with only 2% of them saying they had no idea about what smart learning was. As for the possibility of using smart learning in art education, 42% of the learners and 62% of the teachers had a positive perception of it. Both the learners and teachers mentioned visual culture, promotion of creativity, connections with daily life, and culturality in the order as the congruous characteristics between art education and smart learning. In that sense, many of the respondents said smart learning used in art education would be effective for appreciating and discussing visual and film materials. They also mentioned applications, SNS, and Internet search in the order as the functions to be most used when applying smart learning to art education. Compared with the high interest level in smart learning, however, the development of breakthrough applications for art education is poor, which explains why the utilization rate of art education content was considerably low. In today's smart environment that has moved into our lives in such a fast and broad manner, the teachers and learners were suffering from lack of information and good content about smart learning despite their perceptions of its utilization in art education. Even though they were willing to use smart learning in their classes, the teachers were worried about accompanying issues such as equipment shortage, fear for use, lack of skills, doubt about effectiveness, and lowered concentration on class among the students. About 46% of the teachers, however, expressed their wish to use it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and apply it to their classes.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s of using smart learning in art education among learners and teachers, the study generated results to be useful for its application in class. The results will also provide useful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smart content in art education by taking the perceptions and problems of teachers and learners, the subjects of study, into account.;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교육의 Smart-Learning 활용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러닝은 어떤 것이며 미술교육에서 스마트러닝을 활용하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알아본다. 미술교육의 주체인 미술교육학습자와 미술교수자의 스마트러닝의 이용형태를 알아보고 이들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미술교육에서 스마트러닝 활용 시 어떤 특징을 보이는지 미술교육에 스마트러닝 활용 시 그 효과성에 대해서는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실제 수업에 적용 가능성과 현실적인 문제점은 무엇인지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미술교육을 받고 있는 학습자로서 디자인학과 및 영상학과 대학생 200명과 미술교육을 교수하는 교수자 50명의 두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부 및 수거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수집된 자료는 EXCEL 2010 을 사용하여 설문에 해당하는 통계수치를 그래프로 구현하였으며 통계는 백분율 (%)로 표기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통계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작성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설문에 참여한 학습자와 교수자 집단 모두 높은 스마트 매체의 이용률을 나타냈다. 학습자 96%, 교수자 86%가 개인용 스마트매체를 이용하고 있었으며, 다수가 개인용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있었다. 이들이 스마트 매체를 사용한 연한은 학습자 집단은 90%이상이 1년 이상 사용하고 있으며, 교수자 집단은 60%가량이 1년 이상 이용 중이라고 답한 것으로 보아 스마트 매체에 대한 이용과 보급률이 매우 높았다. 이렇게 스마트 환경이 이루어진 가운데, 스마트러닝에 대한 인식을 물어본 결과 학습자의 스마트 매체 이용률이 높았던 것에 비해 스마트러닝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지는 않았으며 특별한 인지가 이루어져 있지는 않았다. 반면에 교수자는 스마트러닝에 대해 전혀 모른다고 답한 경우는 단 2%뿐으로 대부분의 교사들이 스마트러닝에 대해 알고 있었으며 관심이 높았다. 미술교육에 스마트러닝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학습자의 42%가, 교수자는 그 보다 높은 62%가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하고 있었다.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 미술교육과 스마트러닝이 부합되는 특징에 대해 시각문화, 창의성의 증진, 실생활과의 연계, 문화성의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미술교육에 스마트러닝이 활용된다면 시각 및 영상자료에 대한 감상 및 토론에 효과적일 것 이라고 다수가 응답하였다. 또한 기능적인 부분으로는 애플리케이션, SNS, 인터넷검색 순으로 미술교육에서 스마트러닝이 이용될 때 가장 많이 사용 될 수 있다고 대답했다. 그러나 스마트러닝에 대한 관심도에 비해, 미술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상태는 미비한 상태인 이유로 아직 미술교육용 컨텐츠의 이용률은 현저히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의 삶 속에 빠르고 널리 자리 잡은 스마트 환경 속에서 교수·학습자가가 미술교육에서 스마트러닝을 활용하는 데에 대한 인식에 비해 실제로는 정보 부족과 좋은 컨텐츠가 미비한 실정이었다. 교수자는 현장에서 이용하고 싶은 의사가 있어도 장비의 부족 및 사용에 대한 두려움, 미숙함, 효과성에 대한 의심 및 학생의 수업의 집중도 하락에 대한 원인 등의 수반되는 문제점을 우려하고 있었다. 그러나 약 46%의 교수자는 미술교육현장에서 이용해 보고 싶다고 수업에 적용하겠다는 응답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가 학습자와 교수자가 미술교육의 스마트러닝 활용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해 앞으로 수업현장에서의 이용 및 미술교육 스마트 컨텐츠 개발 시 학습의 주체자인 교수·학습자의 인식과 문제점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방법 2 II. 이론적 배경 3 A. 스마트러닝 3 B. 미술교육과 스마트러닝 14 III. 연구방법 21 A. 연구대상 및 방법 21 B. 설문항 준거 24 IV. 연구결과 27 A. 설문분석 결과 27 B. 논의 67 V. 결론 74 참고문헌 77 부록목차 79 ABSTRACT 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452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미술교육의 Smart-Learning 활용에 대한 인식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Smart Learning Utilization in Art Education-
dc.creator.othernameHong, Jung Hwa-
dc.format.pagex, 9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