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2 Download: 0

미술 감상교육 연구현황 분석

Title
미술 감상교육 연구현황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Current Research State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Authors
최유지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영순
Abstract
The Sixth Curriculum put an emphasis on understanding education, opening a door to the prominent importance of appreciation education in art education across the nation. The Seventh Curriculum then highlighted appreciation education in a way that the students would understand the traditional Korean art among various cultures, establish their independence, and take an easy approach towards global art culture. The following Revised Art Curriculum of 2007 expanded the scope to the environments of visual culture and emphasized critical activities in the area of appreciation while promoting an understanding of the diverse functions and roles of art in daily life. However, the previous studies covered the current state of papers on art education, hardly dealing with that of appreciation education. Thus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current research state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and provide basic data for appreciation education research in art so that follow-up researchers could set a research direction and conduct various researches. Total 374 research papers for a master's degree in relation to art appreciation education housed at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from 2004 to 2011 were examined and analyzed according to six classification criteria, which include the years, school levels, appreciation content, integration in appreciation, methods of appreciation, and methods of presenting appreciation material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published research papers on art appreciation education was the smallest in 2004 and the greatest in 2009. There was an overall increasing tendency in number over time even though there were some fluctuations according to the years. Second, art appreciation education researches with middle school showed the highest level of activity, which raises a need to conduct research with high school and elementary school for the balanced growth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research. Third, there were many researches on art appreciation education in the area of paintings and Korean paintings. The other areas of appreciation content recently made an increase little by little, which demonstrates the increasingly diverse appreciation content. The most diverse appreciation researches were conducted in middle school. Fourth, they gave appreciation lectures on one piece of appreciation content in many of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researches. The researches that integrated appreciation content recorded the highest number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lowest number in high school. Fifth, there were more art appreciation education researches that involved only appreciation without integration within the art subject than those which involved integration within the art subject. Of the research papers with integration within the art subject, the ones that integrated the appreciation area with that of expression were the most, while the ones that integrated the appreciation area with that of aesthetic experiences were the fewest. Sixth, the research papers on art appreciation education involving no integration with other subjects showed an overwhelming percentage compared with those involving integration with other subjects. The number of researches involving integration with other subjects was the highest in 2009 and the lowest in 2004. In the papers involving integration with other subjects, social studies, Korean history, and world history were popular to integrate art with. Seventh, the analysis results of current research state according to the methods of appreciation reveal that the utilization level of worksheets was the highest along with critiques and written descriptions of impressions. Researches with middle school used the most diverse methods of appreciation with 12 out of 13 in the group of other methods of appreciation, being followed by those with elementary school with 8 and those with high school with 2. Finall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pictures, video, and multimedia and their utilization emphasized in the Seventh Art Curriculum and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were reflected in the appreciation researches. In short,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research papers from 2004 to 2011 showed an inclination towards one of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the years, school levels, appreciation content, integration in appreciation, methods of appreciation, and methods of presenting appreciation materials with an inclination towards one instead of an even distribution among them. There was especially a heavy inclination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s. A closer look at the research state according to years, however, shows an increase with various methods. In follow-up study, they need to alleviate such an inclination by dealing with the lacking aspects in art appreciation education and cover a range of educational programs and follow-up researches in relation to art appreciation.;우리나라 미술교육에서 감상교육은 제6차 교육과정에서 이해 교육이 강조되면서 감상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하였으며 제7차 교육과정부터 다양한 문화 속에서 우리나라의 전통 미술을 이해함으로써 주체성을 확립하는 한편, 세계적 미술 문화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감상교육을 강화하였다. 그리고 2007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미술의 범위를 시각 문화 환경으로 확대하였고 감상 영역에서도 비평 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감상영역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감상교육에 관한 논문의 현황을 파악하여 분석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 감상교육에 관한 연구현황을 제시함으로써 후속 연구자들이 연구의 방향을 잡고 다양한 연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미술 감상교육 연구의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04년부터 2011년까지의 국회도서관에 소장된 미술 감상 교육에 관한 석사학위 논문 총 374편을 대상으로 연도별, 학교급별, 감상 내용별, 감상 통합별, 감상 방법, 감상자료 제시 방법 등 총 6가지 분류기준 별로 연구 현황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 감상교육 연구논문은 2004년도에 발표된 논문 수가 가장 낮은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2009년도에 발표된 논문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연도에 따라 수치가 등락을 나타내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증가하고 있다. 둘째, 미술 감상교육 연구논문에서는 중학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 감상교육 관련 연구의 균형적 발전을 위해 고등학교와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미술 감상교육 연구논문에서는 회화 영역과 한국화 영역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상내용의 기타영역은 최근 들어 조금씩 늘어나는 추세를 보여 감상내용이 좀 더 다양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교급별로 살펴보면 중학교에서 가장 다양한 감상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넷째, 미술 감상교육 연구논문에서는 1가지 감상 내용으로 감상수업을 한 연구논문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감상 내용을 통합한 연구는 초등학교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고등학교가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미술 감상교육 연구논문에서는 미술 교과 내 통합을 하지 않고 감상만 하는 연구가 미술 교과 내 통합을 한 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미술 교과 내 통합을 한 연구 논문에서는 감상과 표현영역을 통합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감상과 미적 체험영역을 통합한 연구가 가장 적게 연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미술 감상교육 연구논문에서는 다른 교과와 통합을 한 감상 수업보다 통합을 안 한 감상 수업이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또한, 다른 교과와 통합한 연구를 연도별로 살펴보면 2009년도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며 2004년도가 가장 적게 연구되어졌다. 다른 교과와 통합한 논문에서는 사회, 국사, 세계사 교과가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감상방법에 따른 연구현황을 분석한 결과 미술 감상교육 연구논문은 워크시트와 비평문·감상문의 활용도가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감상방법 기타에서는 13가지의 기타 방법 중 중학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12가지로 가장 다양한 감상방법을 활용하고 있었고 다음으로는 초등학교가 8가지, 마지막으로 고등학교에서는 2가지를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과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ICT)과 사진, 영상, 멀티미디어 등을 활용이 감상연구에서도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2004년부터 2011년까지의 미술 감상교육에 관한 논문이 연도별, 학교급별, 감상 내용별 감상과 통합, 감상 방법, 감상자료 제시방법별 분류기준에서 고른 분포를 보이기보다는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학년급별 분류기준에서 연구의 편중된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연도에 따른 연구현황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양한 방법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후속 연구자들이 미술 감상교육에서 부족한 부분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편중된 연구를 완화시키고 미술 감상과 관련된 교육 프로그램 및 기타 후속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