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李瑞來-
dc.contributor.author한윤희-
dc.creator한윤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14Z-
dc.date.issued198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2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5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267-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residue levels and any risk of organochlorine insecticides in meats consumed by Korean people. Meat samples were collected on the basis of meat consumption pattern in 1978; that is, 80 samples consisting of 24 beef, 36 pork and 20 chicken, in which 14 domestic beef and 10 imported beef samples were taken. Th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whole country in proportion to the slaughtered numbers by province. The body parts of sampling were from the upper abdomen in beef and pork, and from the leg, abdomen, head and adipose fat in chicken which weighs more than 1.5 kg per head. Analytical method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were based on the U.S FDA procedure for their extraction, clean-up, identification and quantitation. Results obtained from above experimental procedure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Organochlorine pesticides detected in meat samples were α-BHC, γ-BHC, heptachlorepoxide and DDE. 2. The residue levels in beef samp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domestic than in imported ones. 3. The residue levels were found in the decreasing order of beef>pork>chicken. 4. The residue levels in beef, pork and chicken were found in the decreasing order of α-BHC>DDE>heptachlorepoxide>γ-BHC. 5. The residue levels detected in meat samples were far below the tolerance recommended by FAO/WBO Joint Committee. It is, therefore, considered that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detected in meats consumed by Korean people would not be hazardous from the standpoint of food hygiene.;본 실험은 한국인이 섭취하는 육류중 유기염소제 잔류농약의 수준을 검색함으로서 그의 위해[危害]여부를 판단코자 수행되었다. 시료가 되는 육류는 1978년도 한국인의 육류 소비패턴에 기준을 두어 총 시료수 80전중 쇠고기 24점 돼지고기 36점 닭고기 20점으로 나누었으며 쇠고기는 다시 수입쇠고기 10점 국산쇠고기 14점으로 나누어 수집하였다. 쇠고기와 돼지고기 시료수는 도별 도살두수에 의하여 닭고기는 도별 사육두수에 의하여 전국을 대상으로 채취하였다. 채취부위는 쇠고기, 돼지고기의 경우 상복부 부위로 200g씩 채취하였으며, 닭고기의 경우, 한 마리당 무게가 1.5kg이상 되는 것을 구입해 다리, 배. 머리, 피하지방을 부분적으로 채취하여 각마리당 총채취량이 200g이 되도록 하였다. 유기엽소계 농약의 분석방법은 미국의 FDA[Food & Drug Administration] 방법에 준해 추출 및 정제과정을 거쳐 gas chromatography에 의한 정성 및 정량분석을 하였다. 이상과 같은 실험방법에 의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육류에서 검출된 유기염소제 잔류농약은 α-BHC, γ-BHC, heptachlorepoxide, DDE만이 확인되었다. 2. 수입쇠고기와 국산쇠고기내 농약잔류분을 비교할 때 국산쇠고기에서 유의적으로 많았다. 3. 국산쇠고시, 돼지고기, 닭고기내 농약잔류분은 쇠고기>돼지고기>닭고기의 순으로 많았다. 4. 쇠고기, 돼지고기와 닭고기에서 농약의 잔류분은 α-BHC>DDE> heptachlorepoxide>γ-BHC의 순으로 검출되었다. 5. 육류에서 검출된 농약잔류분은 FAO/WHO 합동위원회에서 권고하는 잔류허용량[tolerance]과 비교할 때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따라서 한국인이 섭취하는 육류중 유기염소계 잔류농약은 식품위생적인면서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iii 논문개요 = vii Ⅰ. 서론 = 1 Ⅱ. 실험재료 및 방법 = 10 A. 시료채취 및 조제 = 10 B. 시약 = 13 C. 추출 및 정제 = 14 1. 추출 = 14 2. 정제 = 15 ① Partition〔petroleum ether acetonitrile partitioning〕 = 15 ② Florisil Column = 16 D. Gas Chromatography에 의한 유기염소계 농약 정량 = 16 Ⅲ. 실험결과 = 19 A. Gas chromatography에 의한 유기염소계 잔류농약의 동정 = 19 B. 육류중 유기염소계 잔류농약의 검색 = 24 1. 쇠고기중 농약잔류량 = 24 2. 돼지고기중 농약잔류량 = 26 3. 닭고기중 농약잔류량 = 28 4. 쇠고기, 닭고기, 돼지고기중 평균 농약잔류량 = 28 Ⅳ. 고찰 = 31 Ⅴ. 결론 = 35 참고문헌 = 36 ABSTRACT = 4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494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인이 섭취하는 육류중 유기염소계 잔류농약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organochlorine pesticides residues in meats consumed by Korean people-
dc.format.pageviii, 4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198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